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종교: 십자가의 길을 걷는 필리핀의 부활절은 고행의 부활절
필리핀 종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종교 필리핀 종교: 십자가의 길을 걷는 필리핀의 부활절은 고행의 부활절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3월 13일 필리핀은 전체 인구의 79%를 가까운 8564만 명이 가톨릭 신자인 '가톨릭 국가'이다. 적극적으로 종교 활동을 하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고 하지만, 종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여전히 인구 열 명 중 여덟은 가톨릭을 믿는다고 답한다. 가톨릭 문화는 필리핀 사람의 일상생활 곳곳에서 숨 쉬고 있으며, 출생에서부터 죽음까지 종교가 함께 한다. 예를 들어 출산만 봐도 그렇다. 필리핀에서는 가톨릭 교리에 따라 낙태를 죄로 보며 금지하는데, 필리핀 입국 시 작성하는 세관신고서의 반입금지용품 목록에서 낙태용품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그리고 부활절과 만성절, 크리스마스는 필리핀에서 가장 중요한 공휴일로 손꼽힌다. 요즘은 부활절 성주간(Holy Week)을 휴가의 시간으로 보는 이도 많지만, 부활절이 주는 종교적 의미는 여전히 강렬하다. 필리핀의 가톨릭을 설명할 때 빠지지 않는 설명이 바로 가톨릭과 토착 종교가 공존한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가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필리핀의 종교 관련 축제를 보면 된다. 블랙나자렌 축제(Feast of the Black Nazarene)나 톤도 락바야 축제(Lakbayaw Festival) 등을 보면 거의 열광적이라고 할 정도로 블랙나자렌(검은 예수상)이며 산토니뇨(아기 예수상)와 같은 성물에 열광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눈에 보이는 성상이나 성물이 신앙을 돈독하게 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고는 하지만, 필리핀 사람 상당수는 좀 지나쳐 보일 정도로 성물을 숭배한다. 매년 1월에 마닐라 퀴아포 성당에서 열리는 블랙나자렌만 봐도 검은 예수상을 만지면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굳은 믿음으로 성당 옆에서 여러 날을 노숙하기도 마다하지 않는다. 부활절의 풍경 역시 다른 나라와 사뭇 다르다. 필리핀에서 부활절은 예수의 부활을 축하하는 날이라기보다는 예수의 고통과 희생을 느끼며 속죄하는 날이 된다. 필리핀의 부활절은 고행의 부활절 예수의 부활은 예수 그리스도가 그를 믿는 모든 자의 죄를 사하여 구원하였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부활절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어야만 했던 예수가 사흘 만에 부활했음을 기념하는 날이다. 하지만 필리핀의 부활절 풍경은 다른 기독교 국가에서의 부활절 풍경과 다르다. 필리핀의 부활절은 예수의 부활에 대한 기쁨을 누리고 축하하는 시간이라기보다는 예수의 고난과 희생을 느끼는 시간으로 채워지기 때문이다. 부활절의 상징도 토끼나 부활절 달걀이 아닌 채찍과 면류관이 된다. 팜팡가의 산페르난도에서는 예수의 십자가형을 실제로 재현하기도 하는데, 미리 재현자를 선발한 뒤 예수의 고난을 묵상하며 십자가의 길을 걷는다. 그리고 실제로 손과 발에 못질을 하면서 참회의 의식을 치른다. 굳이 산페르난도까지 가지 않아도 부활절이면 필리핀 곳곳에서 예수의 고난을 따라 하는 풍경을 쉽게 볼 수 있다. 부활절 시기는 필리핀에서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인지라 한낮에 거리로 나와 걷는 것만으로도 쉽지 않지만, 기꺼이 무거운 십자가를 짊어지고 맨발로 고행의 길을 걷는다. 육체적 고통이 동반되는 극단적인 행위도 마다하지 않는데, 상의를 벗고 자기 몸을 회초리와 채찍으로 때리는 모습도 흔한 모습 중 하나이다. 물감 등을 활용하여 피 흘리는 모습을 그려내기도 하지만, 실제 피가 흐를 정도로 심하게 채찍질을 가하기도 한다. 필리핀 사람들이 이렇게 손바닥에 못을 박는다거나 채찍질하는 것은 부활 이전의 죽음, 혹은 그 죽음 이전의 고통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고통을 되새기는 이런 일련의 활동을 통해 자신이 저지른 잘못이나 죄를 회개할 수 있다고 믿는다. 자신의 죄를 속죄하면 신의 은총을 받아 좋을 일이 생길 것이라 믿기도 한다. 물론 모든 필리핀 가톨릭 신자가 이렇게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는 것은 아니다. 가볍게 십자가 행렬을 따라가는 등의 방법으로 신앙심을 표현하거나 조용히 성경을 읽으면서 부활절을 보내는 이도 분명 많다. 하지만 그 방법의 차이가 있을 뿐, 어떤 방식이든 예수가 고통을 이겨내고 부활했으며 예수님의 희생으로 속죄받았다는 점을 좀 더 강조한다. 참, 필리핀의 부활절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중 하나는 팔라스파스(Palaspas)라고 부르는 코코넛 야자나무 잎이다. 부활절 기간이 되면 성당 주변에서 연두색 팔라스파스를 파는 상인을 흔히 볼 수 있는데, 필리핀 사람들은 이 팔라스파스가 나쁜 악령과 불운을 막아준다고 믿는다. 물론 그냥 성당 주변에서 팔라스파스만 사서 가지고 있는다고 부적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성당으로 가지고 가서 신부님이 팔라스파스에 축복의 성수를 뿌려주면 그걸 집으로 들고 와서 현관문에 걸거나 창문에 놓아둔다. 그리고 1년 후 사순절이 시작되는 재의 수요일에 성당에서 모아 불태운다. 보홀 등 일부 지역에서는 풍년을 기대하면서 팔라스파스의 재를 모아다 밭에 뿌리기도 한다. Palaspas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Palaspas · 필리핀 통계청(PSA): Religious Affiliation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필리핀 관보: The unique and varied observance of Holy Week in the Philipp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종교: 종교인구 현황 - 가톨릭, 이슬람교, 개신교 신자의 비율
필리핀 종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종교 필리핀 종교: 종교인구 현황 - 가톨릭, 이슬람교, 개신교 신자의 비율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3월 11일 Sto. Nino de Paz Greenbelt Chapel 필리핀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키워드 중 하나는 바로 '가톨릭 국가'이다. 필리핀 내 가톨릭 신자 비중이 계속 줄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기도 하지만, 실상 가톨릭 신자의 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 카톨릭 인구의 증가보다 인구증가율이 높을 뿐이다. 필리핀에는 가톨릭을 믿는 사람의 수가 무려 8,564만 명에 이른다. 가톨릭 다음으로는 이슬람교(6.4%), 이글레시아 니 그리스도(2.6%) 순으로 신자 수가 많다. 종교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가톨릭(천주교) 78.81% 이슬람교 6.42% 이글레시아 니 그리스도 2.58% 기타/개신교 12.12% 무응답/무교 0.04% 1. 필리핀 가톨릭 - 필리핀 통계청(PSA)에서 발표한 필리핀인의 종교 현황에 대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0년을 기준으로 필리핀 인구의 78.8%는 가톨릭 신자이다. 즉, 필리핀 사람 10명 중 8명은 가톨릭 신자 이다. - 로마 가톨릭을 종교로 하는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방(Region)은 비콜 지방(Bicol Region)이다. 비콜 지방 사람의 93.5%는 가톨릭 신자이다. 동부 비사야(92.3%)와 중부 비사야(90.5%)도 가톨릭 신자가 많은 편이다. - 필리핀에서는 도시의 인구와 재정 규모 등에 따라 시티(City)를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UC) ▲독립구성 도시(ICC) ▲ 구성 도시(CC) 3가지로 분류한다. 가톨릭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Highly urbanized city)'는 세부의 만다웨 시티(City of Mandaue)이다. - 주(province) 단위로 볼 때 가톨릭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주는 알바이(Province of Albay)이다. - 가톨릭을 종교로 하는 인구의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역시 방사모로 민다나오 이슬람 자치구(BARMM)이다. BARMM 지역에서는 5.3%만이 가톨릭을 믿는다. 필리핀 마닐라 파식시티 Al-Noor Mosque,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마닐라에서도 이슬람의 사원인 모스크를 종종 볼 수 있다. 2. 필리핀 이슬람교 필리핀은 가톨릭 국가이지만, 이슬람교는 필리핀에서 가톨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신자를 가진 종교이다. 필리핀 통계청(PSA)에 따르면 2020년을 기준으로 필리핀 인구의 약 6.4%는 이슬람교이다. - 필리피노 무슬림 국가위원회(NCMF)에서는 전체 인구의 약 10% 정도가 무슬림 인구라고 보고 있다. - 필리핀 내에서 이슬람교(Islam)를 종교로 하는 인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민다나오에 있는 방사모로 민다나오 이슬람 자치구(BARMM)이다. BARMM 지역에 사는 493만 명 중 449만 명(90.9%)이 무슬림이다. - 타위타위에 사는 사람 중 97.2%는 무슬림이다. - 민다나오섬에 사는 사람들은 모두 이슬람교를 믿는다고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민다나오섬 전체에서 이슬람교가 강세인 것은 아니다. 민다나오섬 북동부 카라가 지방 사람들 대부분은 비이슬람교(NONISLAM)이다. God is love 3. 필리핀에서의 비종교인의 수 필리핀에서는 어딜 가도 종교가 무엇인지 묻는 경우가 많다. 비종교인 입장에서 보면 종교와 무관한 각종 신청서를 작성할 때마다 왜 굳이 종교를 기재하도록 하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지만, 필리핀에서는 무교인 사람의 수가 극히 적은 편이다. 2020년 조사에서도 필리핀 사람의 0.04%만이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 - 참고로 2023년 한국리서치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사람의 51%는 무교라고 한다. 한국에서 신자의 수가 가장 많은 종교는 개신교(20%)이며, 개신교 다음으로는 불교(17%)와 천주교(11%) 신자가 많다. 필리핀 투게가라오-St. Peter Metropolitan Cathedral 주요 종교별 종교인구 비율 - 출처 : 필리핀 통계청(PSA),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O Religious Affiliation 인구 비율 1 가톨릭(Roman Catholic) 85,645,362명 78.81% 2 이슬람교(Islam) 6,981,710명 6.42% 3 이글레시아 니 그리스도(Iglesia ni Cristo) 2,806,524명 2.58% 4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Seventh Day Adventist) 862,725명 0.79% 5 아글리파이(Aglipay) 818,916명 0.75% 6 IFI(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640,076명 0.59% 7 성경침례교회(Bible Baptist Church) 540,364명 0.50% 8 UCCP(United Church of Christ in the Philippines) 470,792명 0.43% 9 여호와의 증인(Jehova's Witness) 457,245명 0.42% 10 그리스도의 교회(Church of Christ) 429,921명 0.40% - 기타(Other religious affiliations) 8,954,291명 8.24% - 무교 43,931명 0.04% - 무응답 15,186명 0.01% - 합계 108,667,043명 100% ※ 필리핀 인구가 1억 800만 명으로 표기된 까닭은 이 통계 자료가 2020년에 실시된 인구주택총조사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필리핀 통계청(PSA)에서는 5년마다 한 번씩 인구주택총조사를 실시한다. Sto. Nino de Paz Greenbelt Chapel 필리핀 투게가라오-St. Peter Metropolitan Cathedral Iglesia Ni Cristo - Lokal ng Angono - Rizal Iglesia Ni Cristo - Lokal ng Angono - Rizal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통계청(PSA): Religious Affiliation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3대 고용보험: 필리핀의 국민주택기금, 파기빅(Pag- IBIG) 가입 대상과 분담금
필리핀 월급과 최저임금· 필리핀 노동법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월급·최저임금·노동법 필리핀 3대 고용보험: 필리핀의 국민주택기금, 파기빅(Pag- IBIG) 가입 대상과 분담금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1월 20일 ※ 이곳에 기재된 정보는 2020년 1월 현재 확인되는 자료를 모두 모아서 내용을 취합하고, 파기빅(Pag- IBIG) 사무실에 방문하여 관련 내용을 문의한 뒤 정리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의 의견이 아니므로, 자세한 내용은 노동고용부(DOLE)나 변호사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기빅 하우스는 보통 매우 작은 서민형 주택이 많다. 물론 전부 소형 주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역에 따라 주택 규모 및 가격이 달라진다. 필리핀 파기빅이란? Pag-IBIG Fund 파기빅(Pag-IBIG)은 필리핀 정부에서는 서민들을 위해 시행하는 대표적인 주택정책이다. 파기빅(Pag- IBIG)은 '미래의 협력: 당신, 은행, 업계, 정부( P agtutulungan s a K inabukasan, I kaw, B angko, I ndustriya at G obyerno)'를 줄인 단어로 필리핀 정부에서 근로자의 주택자금 대출 등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주택개발뮤추얼펀드(Home Development Mutual Fund)인 HDMF를 의미한다. 필리핀인들은 파기빅(Pag- IBIG)을 '빠기빅'으로 강하게 발음하는데, 현금 대출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주택 융자 프로그램으로 많이 이용하여서 파기빅(Pag- IBIG)이라고 하면 필리핀 정부에서 운영하는 내 집 마련 주택기금을 의미하는 단어로 인식 된다. 참고로 파기빅은 타갈로그어로 사랑 혹은 열정, 애정 등의 의미가 있다고 한다. - 주택개발뮤추얼펀드(주택개발 연금공단)는 1978년에 필리핀 정부에서 국민의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시작된 펀드로 가입 시 단기 대출, 주택자금 대출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서민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필리핀 정부에서 개발하는 서민용 주택을 사면 연 3%의 저금리로 돈을 빌려주고 최장 30년간 장기간에 걸쳐 분할상환이 가능하게 집을 살 수 있게 하는 식이다. 급하게 대출이 필요할 때 급여에서 매월 상환하는 조건으로 긴급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등의 혜택 도 있어서 필리핀에서 서민들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으로 꼽힌다. - 파기빅(Pag- IBIG)을 통해 받을 수 있는 대출액은 납부했던 월 금액 및 구매하려는 집의 가격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월 200페소씩 냈을 경우 최대 50만 페소(약 1,150만 원) 정도 가능하지만, 월 2,950페소를 냈을 경우는 최대 600만 페소(약 1억 4천만 원) 정도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주택 가격이 40만 페소 이하면 100% 대출까지 가능하지만, 125만 페소(2,858만 원)라면 주택가격의 80%까지 대출된다. 간혹 파기빅에 대해 주택 구매 비용을 100% 대출로 지원을 받게 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 잘못된 정보이다. 구매하려는 주택 가격과 대출 자격자의 지불 능력 등에 따라 대출 가능 금액이 달라진다 고 보는 것이 좀 더 정확하다. - 필리핀 서민을 위한 정책이라 그런지 외국인은 파기빅(Pag- IBIG)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정부 차원에서 공급하는 파기빅 주택단지를 보면 매우 규모가 작은 주택이 대부분이라 외국인이 선호하는 주택 타입이 아니기도 하다. 파기빅 가입 대상 1. 필수 가입자 ㉠ SSS(Social Security System) 및 Government Service Insurance System(GSIS) 의무가입 대상자 ㉡ 국방, 소방, 치안서비스(교도, 경찰 등) 종사자, ㉢ 외국에서 일하는 근로자(OFW),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고용되어 필리핀에서 일하는 필리핀 근로자 - 필리핀 사회보장제도 가입 회원들은 Pag-IBIG 서민주택을 공급받을 수가 있다는 말을 가끔 보게 되는데, Pag-IBIG 가입대상이 SSS 의무가입 대상자이기 때문이다. - 외국인 근로자는 해당 사항 없음. 2. 선택적 가입자(자율 가입자) 18세 이상 65세 미만 사회보장제도(SSS) 의무가입 대상자는 Pag-IBIG 펀드 가입이 필수이지만. 아래의 경우는 가입 여부를 본인이 선택할 수 있다. ㉠ Pag-IBIG 멤버의 비근로 배우자 ㉡ 필리핀내 외국정부, 국제기구, 또는 그 산하 기관에 종사하는 필리핀 근로자 (관련 협약부재시) ㉢ 종교단체 지도자, 관계자 ㉣ 사직했거나 자영업을 그만뒀지만 분담금 지속 납부를 원하는 경우 ㉤ GSIS 혜택을 받지 못하는 공무원 (Barangay 직원 등) ㉥ Pag-IBIG 펀드 가입 의무가 면제 또는 박탈된 자로부터 고용된 직원 ㉦ 만 18세 미만, 65세 이상 근로자 파기빅(Pag- IBIG) 분담금 납부방식 - 고용주는 영업 개시 후 30일 이내에 Pa gibing 에 사업, 근로자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신규직원을 채용했을 때도 30일 내 운영 주체인 Pag-IBIG에 주택개발뮤추얼펀드(Home Development Mutual Fund: HDMF)를 등록시켜야 한다. - 직원의 파기빅(Pag- IBIG) 분담금은 월급에서 공제된다. 급여 수준별 파기빅 펀드 월 분담금 Pag-IBIG contribution table 일반 근로자 - 파기빅(Pag- IBIG) 금액은 급여 총액의 3~4%로 근로자와 고용주가 나누어 내게 된다. 월 급여 월 분담금 비율 직원 부담(EE) 고용주 부담(ER) 1,500페소 이하 급여의 3% 1% 2% 1,500페소~ 급여의 4% 2% 2% - 월급이 보통 1,500페소를 넘기 때문에 고용주와 직원이 각각 절반씩 부담 한다고 알려져 있다. - 작년까지만 해도 최소 납입 금액이 100페소였지만, 2021년 1월부터 150페소로 올랐다. 필리핀 정부에서는 이 금액을 2023년 1월까지 200페소로 늘릴 예정이다. - 월 급여 1,000페소 이하의 근로자는 파기빅(Pag- IBIG) 납입 대상이 아니다. 가정부 가정부(Kasambahay)의 월급이 5,000페소 이하인 경우 고용주가 파기빅(Pag- IBIG)전액을 부담하게 된다. 가정부 월급이 매달 3,000페소라면 120페소를 모두 고용주가 부담하게 되는 식이다. 월 분담금 가정부 부담(EE) 고용주 부담(ER) 1,500페소 이하 급여의 3% 0% 3% 1,500페소 ~ 4,999페소 급여의 4% 0% 4% 5,000페소 이상 급여의 4% 2% 2% 필리핀 수빅으로 가는 길에도 파기빅 주택단지를 여럿 볼 수 있다. 앙헬레스에 조성된 서민주택단지 내 파기빅 하우스, DECA Clark Resort And Residences(Deca Homes Townhouse)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3대 고용보험: SSS 사회보장제도와 필헬스, 그리고 파기빅은 가입이 의무일까? 필리핀 3대 고용보험: 필리핀의 국민연금, SSS(Social Security System) 가입 대상과 분담금 필리핀 3대 고용보험: 필리핀의 국민건강보험, 필헬스(PhilHealth) 가입 대상과 분담금 필리핀 3대 고용보험: 외국인도 필헬스(PhilHealth) 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을까?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택개발뮤추얼펀드(Home Development Mutual Fund - HDMF)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반려동물 동반 해외여행: 필리핀 동물관리국(BAI)으로부터 수입허가증(SPS) 발급받기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반려동물 동반 해외여행: 필리핀 동물관리국(BAI)으로부터 수입허가증(SPS) 발급받기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9월 19일 한국에서 필리핀으로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을 데리고 가려면 꼭 필요한 것 중 하나가 필리핀 정부의 수입허가서이다. 수입허가증(반입허가서)는 필리핀 동물관리국(BAI)의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유효 기간은 발급일로부터 60일(2달) 이다. 필리핀 도착 후 공항에서 당일 접수 처리는 불가하기 때문에 반드시 미리 신청해서 반입 허가를 받아야 한다. - 수입허가증은 필리핀 도착 후 공항에서 검역심사를 받을 때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이다. 검역 기준을 지키지 못했을 경우 애완동물은 출발 국가로 반송 또는 격리 처분을 받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비용은 동물의 보호자가 부담해야 한다. - 필리핀 동물관리국(BAI)에서 발급한 수입허가증은 Import certificate 또는 Import permit, SPS permit 등으로 표기된다. SPS Clearance 또는 SPSIC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SPSIC는 Sanitary and Phytosanitary Import Clearance의 약어이다. - 최대 3마리까지 동물 반입이 가능하며, BAI 수입허가증에도 최대 3마리까지 동물을 등록할 수 있다. - 개인이 데리고 오는 반려동물인 경우 BAI 수입허가증 신청 시 'Create/Open SPS Import Clearance for BAI One Time Importer '를 선택 후 신청서를 입력하면 된다. - 접수 후 동물관리국(BAI)의 심사를 거친 뒤 서류 발급을 받게 된다. 보통 접수 후 영업일 기준 3일(토,일,공휴일 제외) 이내 처리된다. - 승인(Approved)된 경우 참조 번호(reference number)를 클릭하면 허가증을 다운로드 받아서 인쇄할 수 있다. 이메일 주소로 로그인하기 때문에 회원가입 시 정확한 이메일 주소를 적어야 한다. - 수입허가증(반입허가서) 신청하기: BAI One-time Import Permit BAI 수입허가증 발급 신청 시 필요한 서류 필리핀 BAI의 수입허가증(SPS)을 받으려면 애완동물의 종류(Species), 수량(Quantity), 품종(Breed), 성별(Sex), 모색(Color/Marks), 연령(Age), 보호자의 이름 및 주소 등과 같은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아래 서류를 첨부파일로 올리면 된다. 파일명은 특수문자 없이 영문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하며, 5메가 미만 용량의 JPG 또는 PDF 파일만 업로드 가능하다. ① 마이크로칩 이식 번호 및 인증서류 Proof of Microchip number (must embedded in the skin of the dog/cat) ② 대상 반려동물의 예방접종 및 구충 기록 Vaccination and deworming records of pets, dog/cat (must be original or certified true copy) [별지 제25호 서식 예방접종 및 건강증명서] 사용 가능 필리핀 도착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발급된 것만 사용 가능 필요한 예방접종 개 DOGS Rabies Canine Distemper Infectious Hepatitis Leptospirosis Parvovirus Parainfluenza 고양이 CATS Rabies Feline Herpesvirus Feline Calicivirus Feline Panleukopenia Feline Leukemia ③ 대상 동물의 사진 Photograph/s of pet, dog/cat ④ 애완동물 여권 PET Passport of pet dog/cat, if applicable 팻패스포트는 해당되는 경우에만 준비. 없는 경우 예방접종 및 건강증명서 첨부 𖠿 관련 글 보기: 반려동물 동반 해외여행: 필리핀 동물관리국(BAI)의 애완동물 반입 규정 필리핀 BAI의 애완동물 수입허가증(SPS) 발급 신청에 대한 안내문 DA-Pet Animals Importation Importer Registration 필리핀 마닐라공항 터미널2(NAIA Terminal 2)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Bureau of Animal Industry: NATIONAL VETERINARY QUARANTINE SERVICES DIVISIO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세부퍼시픽, 2021년 9월부터 기내수하물 7kg 초과 시 1,000페소 수수료 부과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세부퍼시픽, 2021년 9월부터 기내수하물 7kg 초과 시 1,000페소 수수료 부과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1년 8월 30일 세부퍼시픽(Cebu Pacific) 다음 달부터 세부퍼시픽(Cebu Pacific Air)을 이용하게 된다면 기내 수화물 무게를 꼼꼼하게 확인하고 공항으로 가야 할 것 같다. 세부퍼시픽 항공사에서 앞으로는 기내 반입 용량을 초과한 수하물에 대해 꼼꼼하게 수수료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세부퍼시픽에서 기내수하물에 대해 1인당 1개까지 무료 반입을 허용하고 있다. 기내수화물 크기는 최대 56cm x 36cm x 23cm까지 가능하며, 무게는 7kg으로 제한된다. 바퀴 달린 캐리어 형태의 가방도 반입이 가능하지만, 좌석 위에 있는 선반에 들어갈 수 있어야만 한다. 세부퍼시픽 항공사, 기내수하물 정책 변경 ■ 시행일: 2021년 9월 1일 ■ 기내 수하물 규정 - 1인당 1개만 허용 - 무게 : 7kg으로 제한 - 크기 : 56cm x 36cm x 23cm 이내 ■ 추가 수하물 비용 ※ 기내수하물 규정에 어긋난 수화물을 반입할 경우 수수료 부과 ① 국내선 항공편 : 1,000페소 ② 국제선 항공편 - 단거리 노선 : 1,500페소 - 장거리 노선 : 3,000페소 ■ 비고 - 면세품 : 영수증을 제시할 수 있는 경우에만 무료 반입 허용 - 휠체어, 목발 등 의료용 장비는 수수료 면제 - 어린이를 동반하는 보호자 : 35cm x 20cm x 20cm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방 1개를 추가로 반입 가능 세부퍼시픽(Cebu Pacific)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Cebu Pacific Air : Hand Carry Baggage · Philippine News Agency : Cebu Pacific to charge fees for extra carry-on bag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입국: 임신한 필리핀인 여자 친구가 있으면 주한필리핀대사관으로 비자 발급 신청 가능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입국: 임신한 필리핀인 여자 친구가 있으면 주한필리핀대사관으로 비자 발급 신청 가능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9월 3일 지난 2020년 8월 8일, 필리핀 정부에서는 필리핀 국민의 배우자 및 자녀라서 예외적으로 필리핀 입국이 허용된 외국인이라고 해도 미리 비자를 준비해야만 필리핀 입국이 가능 하다고 발표했다. 결혼증명서(혼인증명서) 등의 서류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채 필리핀인의 배우자라고 주장하면서 입국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어나자 한국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에서 비자를 받은 경우에만 필리핀 입국을 하도록 규정을 바꾼 것이다. 필리핀 국민의 외국인 배우자나 자녀의 자격으로 필리핀 입국을 하는 경우에도 미리 비자를 준비해야 하다니, 필리핀 입국이 점점 까다로워지는 것은 아닌가 싶지만, 입국 허용 범위를 늘린 부분도 있다. 이후 2020년 8월 26일, 주한필리핀대사관에서는 임신한 필리핀 국민(PARTNERS OF PREGNANT PH NATIONALS)의 외국인 파트너도 필리핀 입국 비자를 신청해볼 수 있음 을 알렸다. 임신한 필리핀 국민의 파트너라고 하니 말이 매우 어렵게 느껴지지만, 필리핀인 여성과 정식 결혼식을 올리지는 않았지만 사실혼 관계에 있는 외국인 남성이 대상을 의미한다고 한다. 하지만 단순히 파트너 관계라고 하여 입국 신청이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여성이 아이를 가진 경우 둘 사이의 관계가 증명될 수 있다면 필리핀 입국을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니 필리핀인 여자친구가 임신한 경우라고 하여 무조건 필리핀 입국이 허용된다고 보면 곤란하다. 필리핀 정부 입장에서는 필리핀인이 될 태아의 아버지에게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비자발급 요청을 수용하는 것이라서 둘의 관계가 진짜인지 평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임신진단서를 비롯하여 둘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진술서와 증빙 서류 등을 제출하면 주한필리핀대사관 측에서 입국 필요 여부를 평가한 뒤 9A비자(관광비자)를 발급해주는 것인데, 이렇게 입국 비자를 취득한 경우에도 공항의 입국심사관에게 관련 서류들을 별도 제출해야 하며, 발급된 비자가 필리핀의 입국을 보장하지는 않는다(visa does not guarantee entry into the Philippines)라고 안내하고 있다. 필리핀인 여자친구가 임신한 경우 필리핀 입국 신청 가능 대상자 임신 중인 필리핀인 여자친구가 있는 외국인 비자 발급 과정 필요 서류를 주한 필리핀 대사관으로 제출 -> 심사 -> 9A 비자 발급 - 심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서류를 제출했다고 하여 무조건 비자 발급이 되는 것은 아님 제출서류 ① 필리핀 여성이 임신했음을 증명하는 임신진단서 Medical certificate on the pregnancy of the Filipino national ② 필리핀인 여성과의 관계가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있었으며 현재도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내용의 진술서 Duly-notarized affidavit executed by the foreign national that he is the partner of the pregnant Filipino national (and father of the unborn child), and that they have been in a relationship eve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③ 필리핀인 여성과의 관계를 입증하는 기타 증빙 서류 Other documentary proof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ign national and the pregnant Filipino national ④ 임신한 여성이 필리핀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 (예 : 여권, 출생증명서) Documentary proof on the citizenship of the pregnant Filipino national (e.g., PH passport, birth certificate) 비고 - 비자를 받은 뒤에도 필리핀 입국 시 관련 증빙 서류 제출 필요 - 해당 비자는 필리핀 입국을 보장하지 않음 문의 주한필리핀대사관 𖠿 관련 글 보기: 서울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 전화번호와 위치, 업무시간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Embassy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Republic of Korea · FOREIGN SPOUSES, PARTNERS OF PREGNANT PH NATIONALS, MINOR CHILDREN, AND PARENTS OF PHILIPPINE NATIONALS MAY APPLY FOR VISA TO ENTER THE PHILIPP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평창올림픽으로 필리핀인의 한국 방문이 무비자가 된다는데 양양공항까지는 대체 어떻게 갈까?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평창올림픽으로 필리핀인의 한국 방문이 무비자가 된다는데 양양공항까지는 대체 어떻게 갈까?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7년 11월 15일 인천국제공항(Incheon Airport) 필리핀인 여자친구를 한국으로 초대할 수 있을까? 간혹 필리핀 사람을 한국으로 데리고 가고 싶다는 경우를 보게 되는데 이게 생각처럼 쉽지 않다. 필리핀은 한국과 사증 면제 협정 또는 무사증 허용 국가로 지정되지 않아 비자를 발급받아야 입국할 수 있는데, 필리핀 사람이 한국 비자를 받는 절차가 무척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무려 다섯 장이나 되는 사증발급신청서(APPLICATION FOR VISA)에는 학력과 직업, 입국목적 및 방문경비과 경비지불자까지 적게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정부가 발표한 "평창올림픽 및 개별관광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3개국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하지만 이 소식이 필리핀에서 크게 이슈가 되지 못하는 것은 지정 여행사를 통해 양양 공항을 입국하는 단체관광객만을 대상으로 무비자를 허용 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아직 필리핀 그 어디에서도 대한민국의 양양국제공항(Yangyang International Airport)까지 가는 직항 항공편이 없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항공권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무비자 허용이라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필리핀항공이나 제주항공에서 평창올림픽(PyeongChang 2018) 기간 중 임시 직항편을 운항할 수도 있다는 소문이 있으나 어디까지나 아직 소문에 불과한 형편이다. 그래서 다른 나라를 경유하여 양양국제공항으로 입국해야 하는데 이 경우도 쉽지 않은 것이 항공편이 많지도 많은 데다가 항공료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결국 평창올림픽의 비싼 티켓 가격이며 호텔 가격까지 고려하면 여행경비로 엄청난 비용을 써야 한다는 이야기인데, 사실 그렇게까지 해서 평창올림픽 경기를 보러 갈 정도가 된다면 굳이 무비자 입국 혜택을 받지 않더라도 정식으로 관광비자를 받을 경제 수준이 되지 않을까 싶다. 평창올림픽 준비위원회에서 "하나 된 열정(Passion. Connected.)으로 세계를 환영할 준비가 되어 있다(Ready to welcome world)"라고 말하기 전에 좀 더 의미 있는 혜택으로 외국인 여행객을 불러모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평창올림픽 활성화를 위한 동남아 단체여행객 무비자 입국 허용 ■ 대상 국가 :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 기간 : 2017년 11월 1일 ~ 2018년 4월 30일 (6개월) ■ 내용 - 지정 여행사를 통해 양양 공항을 입국하는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허용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를 1회 이상 방문한 경력이 있는 동남아·중국 국민에겐 복수사증을 발급 평창올림픽은 2018년 2월 9일부터 2018년 2월 2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그 기간 중 얼마나 많은 직항 노선이 운항할지 모르겠다. 스카이스캐너를 통해 필리핀에서 양양까지 항공권을 검색해보니 양양공항까지 가는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엄청난 돈과 44시간 25분이라는 긴 시간이 걸릴 뿐이다. 양양공항 홈페이지에서도 이용 가능한 국제선 노선이 검색되지 않았다. 인천국제공항(Incheon Airport)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방한 관광시장 활성화 방안 (최종) .hwp HWP 다운로드 • 220KB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행정구역: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도시는 어디일까? (도시의 면적)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행정구역: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도시는 어디일까? (도시의 면적)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1년 6월 11일 산후안(City of San Juan) 필리핀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도시는 어디일까? 면적이 가장 작은 시(City)는 메트로 마닐라의 산후안 시티(City of San Juan) 이다. 산후안 시티의 면적은 5.94km²로 여의도 두 배 정도 크기에 불과하다. 반면 가장 큰 도시인 다바오 시티(Davao City) 의 면적은 무려 2,444km²에 이른다. 다바오 도시 면적이 얼마나 큰지 짐작이 어려우면, 강원도 정선군의 두 배 정도 된다고 보면 된다. 기초자치단체별 도시 크기 순위 시(City)의 면적 / 2021년 기준 지방(Region) 시(City) 면적(km²) 메트로 마닐라 San Juan 5.94 메트로 마닐라 Navotas 10.77 칼라바르손 지방 Cavite City 10.89 메트로 마닐라 Pasay 13.97 메트로 마닐라 Malabon 15.71 메트로 마닐라 Mandaluyong 21.26 메트로 마닐라 Marikina 21.52 메트로 마닐라 Makati 21.57 칼라바르손 지방 San Pedro 24.05 일로코스 지방 Vigan 25.12 중부 비사야 지방 Mandaue 25.18 메트로 마닐라 Pasig 31 중앙 루손 지방 Meycauayan 32.1 메트로 마닐라 Las Piñas 32.69 중부 비사야 지방 Dumaguete 33.62 중부 비사야 지방 Tagbilaran 36.5 일로코스 지방 Dagupan 37.23 칼라바르손 지방 Trece Martires 39.1 메트로 마닐라 Muntinlupa 39.75 중부 비사야 지방 Talisay 39.87 메트로 마닐라 Manila 42.88 칼라바르손 지방 Cabuyao 43.4 칼라바르손 지방 Biñan 43.5 칼라바르손 지방 Bacoor 46.17 메트로 마닐라 Valenzuela 47.02 메트로 마닐라 Parañaque 47.69 메트로 마닐라 Caloocan 53.33 메트로 마닐라 Taguig 53.67 칼라바르손 지방 Santa Rosa 54.84 코르디예라 행정구 Baguio 57.51 중부 비사야 지방 Lapu‑Lapu 58.1 중앙 루손 지방 Angeles 60.27 칼라바르손 지방 Imus 64.7 칼라바르손 지방 Tagaytay 65 중앙 루손 지방 Malolos 67.25 중앙 루손 지방 San Fernando 67.74 서부 비사야 지방 Iloilo City 78.34 칼라바르손 지방 Lucena 80.21 칼라바르손 지방 General Trias 81.46 중앙 루손 지방 Mabalacat 83.18 비콜 지방 Naga 84.48 BARMM Marawi 87.55 칼라바르손 지방 Dasmariñas 90.13 서부 비사야 지방 Roxas 95.07 칼라바르손 지방 Santo Tomas 95.41 일로코스 지방 Urdaneta 100.26 중앙 루손 지방 Palayan 101.4 중부 비사야 지방 Naga 101.97 일로코스 지방 San Fernando 102.72 일로코스 지방 Candon 103.28 중앙 루손 지방 Olongapo 103.3 중부 비사야 지방 Bogo 103.52 중앙 루손 지방 San Jose del Monte 105.53 북부 민다나오 El Salvador 106.15 칼라바르손 지방 Tanauan 107.16 중부 비사야 지방 Danao 107.3 중앙 루손 지방 Balanga 111.63 일로코스 지방 Laoag 116.08 중부 비사야 지방 Carcar 116.78 비콜 지방 Tabaco 117.14 서부 비사야 지방 Victorias 133.92 서부 비사야 지방 La Carlota 137.29 비콜 지방 Iriga 137.35 카가얀밸리 지방 Tuguegarao 144.8 칼라바르손 지방 Calamba 149.5 소크사르젠 지방 Tacurong 153.4 비콜 지방 Legazpi 153.7 일로코스 지방 Batac 161.06 서부 비사야 지방 Bacolod 162.67 북부 민다나오 Tangub 162.78 중앙 루손 지방 Muñoz 163.05 일로코스 지방 Alaminos 164.26 중앙 루손 지방 Gapan 164.44 메트로 마닐라 Quezon City 166.2 일로코스 지방 San Carlos 169.03 북부 민다나오 Ozamiz 169.95 중부 비사야 지방 Canlaon 170.93 소크사르젠 지방 Cotabato City 176 중앙 루손 지방 San Jose 185.99 비콜 지방 Masbate City 188 중앙 루손 지방 Cabanatuan 192.29 서부 비사야 지방 Escalante 192.76 다바오 지방 Tagum 195.8 칼라바르손 지방 San Pablo 197.56 서부 비사야 지방 Talisay 201.18 동부 비사야 지방 Tacloban 201.72 칼라바르손 지방 Lipa 209.4 동부 비사야 지방 Maasin 211.71 카라가 지방 Cabadbaran 214.44 서부 비사야 지방 Silay 214.8 중부 비사야 지방 Toledo 216.28 잠보앙가 반도 Isabela 223.73 칼라바르손 지방 Tayabas 230.95 북부 민다나오 Oroquieta 237.88 잠보앙가 반도 Dipolog 241.13 카라가 지방 Surigao City 245.3 비콜 지방 Ligao 246.75 미마로파 지방 Calapan 250.06 다바오 지방 Panabo 251.23 서부 비사야 지방 Passi 251.39 카가얀밸리 지방 Santiago 255.5 중부 비사야 지방 Tanjay 267.05 동부 비사야 지방 Catbalogan 274.22 중앙 루손 지방 Tarlac City 274.66 비콜 지방 Sorsogon City 276.11 소크사르젠 지방 Koronadal 277 칼라바르손 지방 Batangas City 282.96 다바오 지방 Digos 287.1 카라가 지방 Tandag 291.73 다바오 지방 Samal 301.3 칼라바르손 지방 Antipolo 306.1 중부 비사야 지방 Cebu City 315 중부 비사야 지방 Bais 319.64 서부 비사야 지방 Sagay 330.34 카라가 지방 Bislig 331.8 카가얀밸리 지방 Cauayan 336.4 BARMM Lamitan 354.45 소크사르젠 지방 Kidapawan 358.47 서부 비사야 지방 Himamaylan 367.04 잠보앙가 반도 Pagadian 378.8 서부 비사야 지방 Sipalay 379.78 중부 비사야 지방 Guihulngan 388.56 잠보앙가 반도 Dapitan 390.53 서부 비사야 지방 Bago 401.2 북부 민다나오 Cagayan de Oro 412.8 서부 비사야 지방 San Carlos 451.5 동부 비사야 지방 Baybay 459.3 동부 비사야 지방 Borongan 475 소크사르젠 지방 General Santos 492.86 서부 비사야 지방 Cadiz 524.57 북부 민다나오 Gingoog 568.44 북부 민다나오 Valencia 587.29 다바오 지방 Mati 588.63 동부 비사야 지방 Ormoc 613.6 카라가 지방 Bayugan 688.77 서부 비사야 지방 Kabankalan 697.35 중부 비사야 지방 Bayawan 699.08 코르디예라 행정구 Tabuk 700.25 북부 민다나오 Iligan 813.37 카라가 지방 Butuan 816.62 동부 비사야 지방 Calbayog 880.74 북부 민다나오 Malaybalay 969.19 카가얀밸리 지방 Ilagan 1,166.26 잠보앙가 반도 Zamboanga City 1,414.70 미마로파 지방 Puerto Princesa 2,381.02 다바오 지방 Davao City 2,443.61 산후안 시청(City of San Juan Government Center)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San Juan City : History of San Jua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항공사 전화번호: 아시아나항공 고객센터 및 필리핀 현지 지점 전화번호 안내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항공사 전화번호: 아시아나항공 고객센터 및 필리핀 현지 지점 전화번호 안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12월 16일 아시아나항공(Asiana Airlines) 아시아나항공 고객센터 - 아시아나항공 웹사이트 : https://flyasiana.com/ - 한국 통합 예약센터 : 1588-8000 / 02-2669-8000 [국제선 상담] 주중 07:00 ~ 22:00, 주말과 공휴일 08:00 ~ 19:00 [국내선 상담] 07:00 ~ 19:00 - 아시아나클럽 : 1588-8180 / 02-2669-8180 - 인천공항 사무실 전화번호 : 82-32-744-2000 아시아나항공 필리핀 마닐라 지점 아시아나항공(Asiana Airlines)은 마카티의 살세도 빌리지 안에 마닐라 시내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살세도 타워 건물 6층에 사무실이 있는데 건물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1층 로비에 신분증을 맡겨야 하므로 신분증을 준비해서 방문해야 한다. 마닐라공항에는 터미널1 4층에 사무실이 있다. - 전화번호 : 63-2-8662-8000 - 주소 : 6th floor The Salcedo Towers 169 H.V Dela Costa Street Salcedo village Makati City - 위치 :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살세도 빌리지 - 아시아나항공 필리핀 지점 페이스북 : Asiana Airlines Philippines 아시아나항공 마닐라공항 사무실 - 전화번호 : +63-2-5310-2173 - 주소 : 4th floor IPT building Ninoy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Ninoy Aquino Avenue, Pasay City - 위치 :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터미널1 4층 아시아나항공 세부공항 사무실 - 전화번호 : +63-32-494-7645 / +63-32-494-7646 - 주소 : International Arrival Level, 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Lapu-lapu city - 위치 : 필리핀 세부, 막탄세부국제공항 터미널2 - 이메일 : cebureservations.flyasiana@gmail.com 아시아나항공 클락공항 사무실 - 전화번호 : +63-45-499-7536 / +63-917-519-3054 - 주소 : L1-008 Bay 1, Arrival Area, Ground floor, Clark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CRK Airport Road, Clark Freeport Zone, Pampanga - 위치 : 필리핀 클락, 클락국제공항 마닐라공항 터미널1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아시나아항공: 지점연락처 검색 · Asiana Airlines: Manila/Clark/Cebu Contact Information · Civil Aeronautics Board: Directory - FACP · 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에서 발급하는 외국인고용허가서 AEP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에서 발급하는 외국인고용허가서 AEP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5년 1월 15일 필리핀 AEP 카드 외국인고용허가서(AEP) 는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에서 노동을 해도 좋다는 의미로 외국인에게 발급하는 허가서이다. 필리핀에서 합법적으로 일을 하고자 하는 외국인은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로부터 AEP를 취득해야 하며, 이 AEP가 있어야만 필리핀에서 워킹비자(취업비자)를 받을 수 있다. 필리핀 AEP Alien Employment Permit 외국인고용허가서 ↳ AEP(Alien Employment Permit)는 외국인 고용 허가서, 외국인취업허가, 외국인 노동허가증, 외국인 취업허가증, 외국인 고용허가증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된다. 발급 대상자 필리핀에서 6개월 이상 일하려는 외국인 - 6개월 미만 단기 근무자는 이민국에서 임시노동허가(PWP)를 신청하거나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에서 AEP 제외 또는 면제증명서 신청 가능 - AEP 면제 대상 (EXEMPTED FROM AEP) : 외교관이나 외국 정부의 공무원, 국제기구의 임직원, 대학에서 강의나 연구를 수행하는 외국인, 영주권자 등은 AEP 취득이 면제된다. - AEP 제외 대상 (EXCLUDED FROM SECURING AEP): 회사를 일부 소유하고 있는 대표이사(President)와 재무이사, 외국 서비스 공급업체에 고용된 관리자 등은 AEP 확보에서 제외된다. 유효기간 보통 1년~3년(계약 상태에 따라 다름) 주무관청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 수수료 10,000페소(1년 유효기간) / 갱신 5,000페소 / AEP 카드 교체 3,000페소 - AEP 관련 위반 및 처벌: 유효한 AEP 없이 필리핀에서 일을 하는 경우 벌금이 부과된다. 이외 징역, 강제추방, 향후 5년간 AEP 신청 금지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위조된 AEP를 사용할 경우에는 영구적으로 AEP 발급이 거절될 수도 있다. - AEP 카드(AEP card) : AEP 카드(취업허가증)에는 AEP 허가번호와 이름, 국적, TIN 번호라고 부르는 납세자 번호(Tax Identification Number),잡포지션(회사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 회사명, 회사 주소, 발급일, 유효기간 등이 적혀 있다. - 특별취업허가(SWP)와 다르게 AEP는 장기 근무 계약을 위한 것으로 계약 기간에 따라 1년에서 3년 사이의 유효기간을 갖는다. - 은퇴비자(SRRV) 소지자도 취업/근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AEP를 받아야만 한다. - 외국인고용허가서(AEP)를 받았다고 해서 바로 근무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AEP가 있다고 해도 관광비자 상태에서는 필리핀에서 일을 할 수 없다. 필리핀 이민국(BI)으로부터 워킹비자(9G비자)를 발급받거나 은퇴비자 등 필리핀에서 체류 가능한 비자를 가진 사람이 AEP를 확보한 경우 필리핀에서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 - 근무지나 직위가 바뀌었어도 AEP는 유효하다. 다만 AEP는 발급된 회사에 대해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회사를 옮길 경우 기존에 받았던 AEP는 무효가 된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이민국: 6개월 미만 단기 근로자를 위한 이민국의 특별취업허가 SWP 필리핀 이민국: 워킹비자 발급을 기다리면서 받는 임시노동허가 PWP 외국인고용허가서(AEP) 발급 비용 AEP 확보 제외 대상에게 발급되는 AEP 카드 AEP 신청서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에 따르면 2023년을 기준으로 한국인 2,765명에게 AEP가 발급되었다고 한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 Bureau of Local Employment - Alien Employment Regulation AEP-FAQs .pdf PDF 다운로드 • 1.24MB AEP-2023-Annual-Report .pdf PDF 다운로드 • 2.09MB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