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행정구역 개편: 마카티가 아닌 타귁시티에 있게 된 마카티 대학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행정구역 개편: 마카티가 아닌 타귁시티에 있게 된 마카티 대학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3월 1일 타귁시티의 주소를 가지게 된 마카티 대학(University of Makati) 필리핀에서 비즈니스 상업중심지로 가장 유명한 두 지방자치단체인 마카티 시티(Makati City)와 타귁 시티(Taguig City)의 관할구역에 대한 다툼은 20년 가까이 된 해묵은 논쟁이었다. 논쟁 대상이 된 곳에 하필 마닐라에서도 가장 번화한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BGC)와 엠보 바랑가이(Embo barangay)가 포함되어 있어서 관할 구역을 더 넓히기 위한 행정구역 다툼은 실로 치열하였다. 필리핀 육군본부와 해군 사무실, 해병대(PMC) 본부, 미군묘지(Manila American Cemetery) 등의 관할권은 대체 누구에게 있단 말인가? 하지만 이 분쟁은 타귁시티의 승리로 끝났다. 시티 관할구역변경 2022년 4월 27일 필리핀 대법원(SC)에서는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Bonifcio Global City) 및 10개의 바랑가이(Barangay)가 타귁시티의 관할구역이라고 발표했다. 마카티 시티 입장에서 보면 10개의 바랑가이는 큰 문제였다.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BGC) 지역이야 원래 타귁시티에서 관할하던 지역이지만, 10개의 바랑가이는 수십 년 동안 마카티 시티의 관할구역이었던 곳이기 때문이다. 마카티에서는 즉각 불복신청을 했지만, 2023년 4월 3일 필리핀 대법원(SC)에서 마카티 시티의 재심 요구를 거부하면서 사건은 종결되었다. 문제는 지방세 수입과 선거구를 확보하기 위한 이 다툼에서 시민들의 편의는 뒷전으로 물러났다는 점이다. 엠보 바랑가이에 있던 공공시설이 타귁시티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되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우편번호에서부터 시작하여 의료 프로그램 제공처며 비즈니스 퍼밋 발행처까지 모두 바뀌었지만, 그 모든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것은 오롯이 시민의 몫이었다. 게다가 마카티 시티에서 운영하는 공립대학인 마카티 대학(University of Makati)이며 마카티 교도소(Makati City Jail)까지 타귁시티의 행정구역 내에 있게 되면서 혼선은 더욱 깊어졌다. 애써 도시 인프라를 구축한 마카티 입장에서 보면 타귁시티에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쉽게 받아들일 수 없겠지만, 필리핀 대법원(SC)에서는 미군이 작성했던 맥킨리 요새의 계획도와 지적도 등 타귁시티에서 제출한 역사적 증거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해당 지역을 타귁시티의 관할구역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타귁시티가 된 10개의 바랑가이 중 Pembo 바랑가이나 Comembo 바랑가이는 BCG와 파테로스 사이에 있어서 여기도 마카티 시티였던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이지만, 과달루페역 바로 옆에 있는 West Rembo 바랑가이는 지역 내 마카티 대학(University of Makati)이 있어서 당연히 마카티 지역인 것으로 인식되었던 곳이다. Barangay. Pembo 엠보 바랑가이(Embo barangay) 1949년 타귁시티에 있던 포트 윌리엄 맥킨리(Fort William McKinley)를 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은 필리핀 정부에서는 1957년 같은 자리에 육군본부(HPR, Headquarters Philippine Army)를 세우고 포트 보니파시오(Fort Bonifacio)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0년 2만 명 정도에 불과했던 이 지역의 인구는 1970년이 되면서 두 배 넘게 늘었는데, 육군본부가 만들어지면서 그 본부 주변으로는 사병들을 위한 주거지가 형성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조성된 주거지가 바로 엠보(Embo) 바랑가이 지역으로 엠보는 사병 거주지(Enlisted Men's Barrio)를 의미 한다. 엠보 바랑가이 지역은 처음 조성될 당시만 해도 하나의 주거지역으로 인식되었지만 이후 인구 및 지역이 늘어나면서 Cembo, Comembo, East Rembo, Pembo, Pitogo, Post Proper Northside, Post Proper Southside, Rizal, South Cembo, West Rembo 등 10개의 바랑가이(barangay)로 나눠지게 되었다. · 바리오(Barrio) 는 스페인어로 지역, 거주지역, 거주지 등을 뜻한다. · 바랑가이(Barangay) : 한국의 동(洞)이나 면(面)에 해당하는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지방 정부 단위 마카티의 시장(Mayor of Makati) 현재 마카티의 시장(Mayor)은 아비게일 비나이(Abigail Binay) 이다. 2016년 아비게일 비나이가 마카티 시장으로 취임하기 전에는 그녀의 남동생인 준준 비나이가 마카티 시장이었다. 아비게일 비나이의 아버지는 노이노이 아키노 대통령 시절 부통령이었던 조조 비나이(Jejomar Binay) 인데, 조조 비나이는 마카티가 시로 승격되기 전인 1986년에 마카티의 시장에 취임, 무려 4회에 걸쳐 재선에 성공한 인물이다. 마카티의 시장 자리는 조조 비나이가 마카티 시장으로 있었던 1986년 이후 거의 비나이 집안 식구들의 차지였는데, 준준 비나이가 2015년 마카티 시청 건물과 관련된 부정부패 혐의로 갑자기 시장 자리에서 물러난 뒤 당시 부시장이었던 로물로 페냐가 잠깐 시장 자리에 올랐을 뿐이다. 한편, 엠보 바랑가이는 전통적으로 비나이 집안의 지지자들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2024년 현재 타귁시티 웹사이트에는 행정구역 변경 전 지도가 올라와 있다. 마카티 시티에 속해 있던 10개의 바랑가이가 타귁시티로 행정구역이 변경되면서 타귁시티의 면적이 이렇게 넓어졌다. 필리핀대사관 근처 타귁강 근처에 있는 바랑가이 리잘. 마카티시티에서 타귁시티로 행정구역이 바뀌었지만, 요즘도 Barangay. Rizal 이라는 글씨 아래 마카티 시티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Barangay. Post Proper Northside Barangay. Post Proper Northside Barangay. Pembo Barangay. Pembo 파식강 근처에 있는 마카티 교도소 Makati City Jail ORE Central, Taguig City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SC Writes Finis to Makati City-Taguig City Land Dispute · 마닐라불루틴(Manila Bulletin): SC declares final 2021 decision on Taguig City-Makati City land dispute · INQUIRER: Binay insists: BGC, other barangays are Makati · The Philippine Star: Binay airs concern over Makati faciliti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행정구역 변화: 2019년 vs 2023년 vs 2024년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행정구역 변화: 2019년 vs 2023년 vs 2024년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30일 필리핀 행정구역에 대한 자료를 보면 자료가 발행된 시기에 따라 지방(Region) 및 주(Province), 시(City), 구(Municipality), 바랑가이(Barangay)와 같은 행정구역의 숫자가 다르게 표기된 것을 볼 수 있다. 행정구역이 변경되는 이유는 다양하다. 도시 규모가 커지면서 행정구역이 분할되기도 하고, 도시 개발을 위해 행정구역을 개편하기도 한다. 인구 수의 증가에 따라 구(Municipality)가 시(City)로 승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도시 개발로 관할 지역이 늘어나거나 인구가 15만 명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혹은 지역 내 연간 세수 수입이 늘어났을 경우 행정 구역은 개편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리핀 행정구역에 대한 자료를 확인할 때는 기준 날짜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 필리핀 행정구역의 변화 2024년 8월 현재 필리핀의 행정구역은 18개 의 지방(Region), 82 개의 주(Province), 149 개의 시(City), 1,493 개의 구(Municipality), 42,004 개의 바랑가이(Barangay)로 구성된다. · 2024년 6월 11일부터 네그로스섬 지방(NIR)이 신설됨에 따라 2024년 8월 현재 필리핀은 총 18개의 지방(Region)으로 나뉜다. Geographic Level 2024년 6월 11일 기준 2023년 11월 기준 2022년 11월 기준 2021년 기준 2019년 기준 지방(Region) 18 17 17 17 17 주(Province) 82 82 82 81 81 시(City) 149 149 147 146 145 구(Municipality) 1,493 1,485 1,487 1,488 1,489 바랑가이(Barangay) 42,004 42,001 42,047 42,046 42,045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행정구역 현황: 지방, 주, 시, 구, 바랑가이의 수 - 2024년 8월 기준 필리핀 행정구역 개편: 네그로스섬을 위한 NIR 지방(Region) 신설 필리핀 국기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지도: 민다나오 지역 행정구역과 종교에 대한 지도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지도: 민다나오 지역 행정구역과 종교에 대한 지도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1년 6월 1일 필리핀 지도: 민다나오 행정구역 마닐라에서 생활하다 보면 간혹 다바오 지역의 일에 대해 저 멀리 다른 나라의 일처럼 느끼는 필리핀인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도 그럴 것이 일단 거리가 대단히 멀다. 마닐라에서 다바오까지는 대략 1,300km나 떨어져 있다. 인천에서 동경까지 가는 거리보다도 먼 거리인 셈이다. 필리핀 지도를 펼쳐보면 말레이시아 사바주 센다칸 우측으로 커다란 군도를 볼 수 있다. 필리핀 국토를 삼등분했을 때 아래 부분에 해당하는 지역의 이름은 민다나오(Mindanao Island group)이다. 섬 크기가 대단히 크다고 생각했다면 정확히 본 것이다. 민다나오는 대한민국(남한) 면적(100,378㎢)과 거의 비슷한 크기로, 면적이 무려 97,530km²에 이른다. 민다나오는 세계에서 19번째로 큰 섬인 민다나오섬을 중심으로 카미귄(Camiguin), 디나가트 섬(Dinagat Island), 사말섬(Samal), 시아르가오섬(Siargao) 등 약 4백 개의 섬이 주변에 흩어져 있는데,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지형이 꽤 복잡한 편이다. 민다나오의 인구는 26,252,442명(2020년 통계청 인구조사)으로, 상당수는 다바오시티와 부키드논, 코타바토, 마긴다나오, 라나오델수르 등에 몰려 살고 있다. 2,600만 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지만, 땅덩이가 워낙 넓은 탓에 산간지방의 인구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필리핀 지도: 민다나오 종교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민다나오: 가톨릭 국가에 사는 606만 명의 이슬람교 무슬림 필리핀 지도: 민다나오 무슬림 방사모로 자치구(BARMM)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민다나오: 두테르테 대통령과 민다나오 무슬림 방사모로 자치구(BARMM)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MINDANAO DEVELOPMENT AUTHORITY · 필리핀 통계청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주필리핀대사관까지 지프니나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가는 방법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주필리핀대사관까지 지프니나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가는 방법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7년 6월 22일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Philippines) 대사관에 가야 하는데 지프니 또는 버스로 가는 방법은 없을까요?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이하 주필리핀대사관)까지 대중교통편이 어떻게 되느냐고 물으면, 많은 이들이 그냥 택시를 타라고 권유한다. 대중교통편을 이용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택시 기사가 부르는 바가지 요금이 지긋지긋하여 택시 타기가 싫다면 방법이 없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지상철 MRT를 타고 과달루페역 앞에서 내려 지프니를 타면 대사관 앞길까지 갈 수 있다. 대사관 앞까지 바로 가지 않아서 15분에서 20분 정도 걸어야 하기는 하지만 아얄라역 앞에서 버스를 타고 가는 방법도 있다. 또 FX밴(UV Express Service)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정류장이나 운행 간격을 정확히 안내하기도 어렵고 이용이 쉽지 않기에 아래에는 되도록 언급하지 않았으나, 운이 좋으면 C5 Road로 가는 FX밴을 타고 대사관에 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마카티에 있다면 Park Square UV Express Terminal에서 PALAR행 FX밴 이용하면 된다. 아얄라나 파시그, SM메가몰 쪽에서도 FX밴 노선이 있는데 McKinley Hill 혹은 Kalayaan Avenue라고 적힌 것을 타면 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어지간히 마닐라 대중교통 수단에 익숙해 있지 않다면 거의 이용이 힘들어 필리핀대사관에 처음 가본다면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아니다. 참고로 FX밴의 경우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달라져서 요금을 안내하기가 쉽지 않다. 파식시티 기준으로는 40페소이지만 마르키나(Marikina)나 알라방(Alabang) 스타몰에서부터는 70페소인 식이다. 하지만 안심하자. FX밴은 택시와 다르게 승객이 외국인이라고 바가지를 씌우는 일이 거의 없다. FX밴 운전기사에게 목적지를 말하면 정확한 요금을 안내받을 수 있다. MRT 과달루페역 MRT Guadalupe Station 방법 1. MRT 과달루페역에서 나와 졸리비 근처에서 지프니(FTI-C5 jeepney) 탑승. 주필리핀대사관까지 이동 - 이 지프니는 중간에 마켓마켓 쇼핑몰을 지난다. 마켓마켓이 보인다고 내리지 말고 대사관 근처까지 가서 내려달라고 이야기하자. - 교통체증 요인이 특별히 없다면 과달루페역에서 대사관까지는 대략 20분 정도 걸린다. - 앙헬레스나 클락에서 버스를 타고 온다면 쿠바오에 내려서 MRT나 지프니, 버스 등을 타고 과달루페역으로 이동하면 된다. 방법 2. MRT 과달루페역에서 나와 시티링크 버스(Citylink Bus)를 타고 마켓마켓까지 이동. 마켓마켓에서부터 주필리핀대사관까지 걷기 - 시티링크 버스는 1시간에 한 번씩만 운행된다. 따라서 바로 버스가 보이지 않으면 지프니를 이용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MRT 마갈라네스역 MRT Magallanes Station - 마갈라네스역에서 내려 San Lorenzo Place Terminal로 이동. Citylink Bus를 타고 McKinley Hill 까지 이동 후 대사관까지 도보로 이동 - 버스비 : 25페소 - 마갈라네스역(Magallanes Station) 주변에도 보니파시오로 가는 FX밴이 종종 다닌다. 혹 시티링크 버스가 보이지 않으면 주변 사람에게 보니파시오로 가는 FX밴을 어디서 타면 되느냐고 묻고 FX밴을 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곳에서 FX밴을 타려면 탑승 전에 운전기사에게 C5 길로 가느냐고 묻고 탑승하면 된다. 코리안 엠바시(Korean Embassy)쪽으로 가느냐고 물어보면 자신이 그쪽으로 운전해서 가면서도 가지 않는다고 답변하는 경우도 있으니 C5나 맥킨리힐 빌리지(McKinley Hills Village)로 간다고 이야기하고 노선을 확인 후 탑승해야 한다. MRT 아얄라역 MRT Ayala station 방법 1. 아얄라역에 내린 뒤 지프니를 타고 일단 맥킨리로드(McKinley Road) 5번가(5th Avenue) 하차. 버스에서 내린 뒤 SM아우라 쇼핑몰을 지나 대사관까지 도보 이동(약 20분 거리) 방법 2. 아얄라역에 내린 뒤 BGC Bus 버스터미널로 가서 East Route 나 Market! Market! EXPREEE Route 버스를 타고 마켓마켓까지 이동. 마켓마켓에서부터 주필리핀대사관까지는 도보 이동. - East Route 노선 : EDSA MRT Ayala Station > Globe Tower > Track 30th Park > University Parkway > Market! Market! > EDSA MRT Ayala Station - BGC Bus 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타기 전에 노선을 꼭 확인해야 한다. West Route 노선을 타면 마켓마켓 쪽으로 가지 않는다. West Route 노선을 타도 Mckinley Parkway에 내려 대사관까지 걸으면 되지만 그냥 East Route를 타는 쪽이 무난하다. 오카다 카지노 셔틀버스 이용 오카다 쪽에 있다면 오카다 카지노(Okada Manila)에서 운행하는 셔틀버스를 타고 SM아우라까지 이동하는 방법도 있다. 오카다의 셔틀버스를 타고 SM아우라까지 이동한 뒤 SM아우라에서 대사관까지 걸어가면 된다. ARCA South BGC Bus 노선 중 Sunshine Mall 옆에 있는 Arca South를 기점으로 하는 노선이 있다. 이 Arca South (FTI public transport terminal)에서 Arca South Route 버스를 타고 마켓마켓까지 간 뒤 대사관까지 도보 이동도 가능하다. 이 노선은 보니파시오의 BGC Bus Routes 노선 중 유일하게 주필리핀대사관을 지나는 노선이지만 대사관 앞에 정류장이 없어 마켓마켓까지 가서 내려야 한다. Arca South 지역에 있을 때만 이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 버스비: 24페소 - 버스노선: Arca South > Market! Market! > RCBC > Net One > Net Cube > Crescent Park West > University Parkway > Arca South - 운행시간: 월요일부터 금요일 사이 오전 6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오후 4시부터 오후 8시까지만 운행됨 주필리핀대사관 앞을 지나는 지프니와 FX밴 FX밴의 경우 차량 옆면이나 앞쪽에 노선이 적혀 있다. 지프니를 타기 전에 지프니 앞에 FTI 혹은 C5라고 적혀 있는지 확인하고 탑승하는 것이 좋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콘도 매매: 마닐라 타귁 아카시아 에스테이트 버치우드(The Birchwood)
필리핀 부동산 콘도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부동산 콘도 필리핀 콘도 매매: 마닐라 타귁 아카시아 에스테이트 버치우드(The Birchwood)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7월 17일 아카시아 에스테이트 버치우드 The Birchwood ■ 주소 : ACACIA Estates, Acacia Ave, Taguig City, 1633 Metro Manila ■ 위치 : 필리핀 마닐라, 타귁 아카시아 에스테이트(ACACIA Estates) ■ 부동산 개발사 : DMCI Homes ■ 분양가 : PHP 6,246,000 - PHP 8,993,000 ■ 평형 : 2BR 3BR ■ 입주시작일(Turnover) : 2017년 ■ 대지면적(Land Area) : 16,909 sqm ■ 개발 유형(Development Type) : Mid Rise Condominiums ■ 건축 테마(Architectureal Theme) : 발리 스타일(Modern Balinese) ■ 단지배치도 : 5개동 - Alder, Evergreen, Oleander, Maple, Calathea - Number of Buildings : 5 - Number of Floors : 6 ■ 단지 내 생활 편의시설 Outdoor Amenities Indoor Amenities Other Facilities Lap, Lounge and Kiddie Pool with Rock Slide Indoor Basketball / Badmenton Court Linear Park Picnic and BBQ Area Play Area Roof Deck Sky Patio (Lumiventt Technology) Fitness Gym Game Area Open Lounge Multi Purpose Area Audio Visual Room Landscaped Atriums Convenience Store Laundry Station Water Station Standby Electric Generator Reception Lobby 아카시아 에스테이트 버치우드(The Birchwood) 출처: https://philinlove.tistory.com/entry/The-Birchwood [필인러브:티스토리]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https://acaciaestate.com/birchwood/ · https://www.dmcihomes.com/the-birchwood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워킹비자 발급을 기다리면서 받는 임시노동허가 PWP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워킹비자 발급을 기다리면서 받는 임시노동허가 PWP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5년 1월 14일 마닐라 인트라무로스에 있는 필리핀 이민국 본청 임시노동허가(PWP) 는 워킹비자를 신청한 뒤 비자가 나오기를 기다리는 동안 일을 할 수 있도록 필리핀 이민국(BI)으로부터 받는 허가서이다. 필리핀 PWP Provisional Work Permit 프로비저널 워크 퍼밋 임시노동허가 ↳ PWP(Provisional Work Permit)는 임시노동허가, 임시근로허가, 임시작업허가, 잠정노동허가 등으로 번역된다. 필 리핀 입국 시 관광비자(9A비자)를 받은 뒤 필리핀에서 머물고 있다면 회사와의 고용계약서를 작성했어도 워킹비자(9G비자)를 받기 전까지 일을 하는 것은 불법이다. 문제는 필리핀 이민국으로부터 워킹비자를 받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로부터 외국인고용허가서(AEP)를 받은 뒤에도 워킹비자를 받기까지 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그렇다면 비자 신청이 진행 중일 때는 어떻게 회사에 근무할 수 있을까? 그럴 때는 필리핀 이민국으로부터 임시노동허가(PWP)를 취득하면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 임시노동허가(PWP)는 보통 3개월 또는 취업비자 발급 전까지 유효하며, 3개월 유효기간이 지나도 신청한 비자가 나오지 않았다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발급 대상자 워킹비자(9G비자)를 신청하고 이민국의 승인을 기다리는 동안 일을 하려는 외국인 Foreign nationals who currently hold temporary visitor visas but wish to commence work in the Philippines while the approval of their employment visa application is in progress. 유효기간 3개월 또는 워킹비자(취업비자) 발급 전까지 유효 주무관청 필리핀 이민국(BI) 필리핀 이민국 수수료 4,040페소 ITEM DESCRIPTION AMOUNT Application Fee PHP 2,000.00 Certification Fee PHP 500.00 Legal Research Fee PHP 20.00 Service Fee PHP 100.00 PWP Fee PHP 400.00 Legal Research Fee PHP 20.00 Express Fee (Certification) PHP 500.00 Express Fee (Filing) PHP 500.00 Total PHP 4,040.00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이민국: 6개월 미만 단기 근로자를 위한 이민국의 특별취업허가 SWP 필리핀 이민국: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에서 발급하는 외국인고용허가서 AEP PWP(Provisional Work Permit)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이민국(Bureau of Immigration): Provisional Work Permit PROVISIONAL WORK PERMIT .pdf PDF 다운로드 • 268KB PROVISIONAL WORK PERMIT APPLICATION FORM .pdf PDF 다운로드 • 189KB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미성년자가 보호자 없이 혼자 비행기를 탈 수 있는 나이 - 필리핀 국제선(필리핀 입국 및 한국 귀국)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미성년자가 보호자 없이 혼자 비행기를 탈 수 있는 나이 - 필리핀 국제선(필리핀 입국 및 한국 귀국)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5월 11일 필리핀항공(Philippine Airlines) Q. 아이가 14살인데, 아이만 혼자 필리핀으로 가는 비행기에 탈 수 있을까요? A. 만 15세 미만의 아동은 혼자 필리핀 입국을 할 수 없으며 반드시 부모나 보호자가 동행해야 합니다. 동행할 보호자가 없다면 항공사의 UM 서비스를 받아 필리핀 입국을 하면 됩니다. 몇 살이면 아이를 혼자 필리핀으로 보낼 수 있을까? 아이가 한국인이라면, 부모나 보호자 없이 혼자 필리핀 입국과 출국을 할 수 있는 나이는 아래와 같다. 국적 및 이용 항공사에 따라 다른 규정이 적용될 수 있다. 𖠿 관련 글 보기: 미성년자가 보호자 없이 혼자 비행기를 탈 수 있는 나이 - 필리핀 국내선 필리핀 입국(한국 출국) 한국인 국적의 미성년자 아이가 혼자 필리핀 입국을 하려면 최소 15살 이상 은 되어야 한다. 아동 유괴 등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를 방지하기 위해 필리핀 정부에서 만 15세 미만의 아동이 혼자 입국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만 14세 이하라면 부모나 보호자(인솔자)가 동행하여야만 필리핀 입국이 가능하다. 만약 아이와 동행할 보호자를 찾기 어렵다면 항공사의 UM서비스를 받는 방법도 있다. UM 서비스는 항공사에서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고 혼자 여행하는 어린이에게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로 이 서비스를 받으면 항공사 직원이 필리핀 도착 후 아이가 출입국 심사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어떤 경우이든 부모(법적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은 15세 미만 미성년자는 ▲부모미동반 여행에 대한 동의서와 ▲동의서를 작성한 보호자 여권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여행에 필요한 서류를 모두 갖춘 경우에만 필리핀 입국을 할 수 있다. 도착 시 관광비자를 받는 경우라면 WEG(Waiver of Exclusion Ground)를 작성한 뒤 소정의 수수료(3,120페소)도 내야만 한다. 아래는 필리핀항공 이용 시 적용되는 기준으로 항공사에 따라 항공기 탑승 가능 최소 연령이 달라질 수 있다. 한국에서 출발하여 필리핀 입국 시 5세 미만 어린이 혼자 항공기 탑승 불가 5세~14세 어린이 혼자 항공기 탑승 가능 단, 항공사의 UM서비스 이용 필수 15세 이상 미성년자 혼자 항공기 탑승 가능 필리핀 출국(한국 귀국) 필리핀 출국 시에는 국적 또는 항공사 정책에 따라 혼자 국제선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는 연령 기준이 달라진다. 필리핀 국적자가 아닌 외국인(한국인) 어린이의 경우 15세가 되지 않았어도 12살 이상이라면 혼자 항공기에 탑승하여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갈 수 있다. 만약 아이가 12세 미만이라면 항공사의 UM서비스를 받는 방법도 있다. 아래는 필리핀항공 이용 시 적용되는 기준으로 항공사에 따라 항공기 탑승 가능 최소 연령이 달라질 수 있다. 필리핀에서 출발하여 한국 입국 시 8세 미만 어린이 혼자 항공기 탑승 불가 8세~11세 어린이 혼자 항공기 탑승 가능. 단, UM서비스 필수 12세 이상 미성년자 혼자 항공기 탑승 가능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항공: Unaccompanied Minor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항공통계: 마닐라공항의 연간 여객수용능력과 실제 이용객 수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항공통계: 마닐라공항의 연간 여객수용능력과 실제 이용객 수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4월 13일 필리핀 마닐라공항 마닐라공항 연간 여객수용능력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월을 기준으로 마닐라공항(NAIA) 여객터미널의 연간여객처리 용량은 아래와 같다. 4개의 터미널의 여객수용능력을 모두 더하면 연간 3천만 명 정도 수용 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인천공항의 연간 여객수용능력은 7700만 명에 이른다. 2022년 마닐라공항 항공운송실적 1. 마닐라공항 이용객 수(명) 터미널1 터미널2 터미널3 터미널4 터미널 전체 국제선 도착 1,624,980 1,330,681 2,263,098 - 5,218,759 국제선 출발 1,663,324 1,212,739 2,305,261 - 5,181,324 국내선 도착 - 2,738,919 5,652,104 1,917,168 10,308,191 국내선 출발 - 2,793,039 5,507,036 1,903,813 10,203,888 합계 3,288,304 8,075,378 15,727,499 3,820,981 30,912,162 2. 국제선과 국내선 이용객 수 비교 여객(명) 국제선 출발·도착 10,400,083 국내선 출발·도착 20,512,079 전체 30,912,162 마닐라공항 터미널3(NAIA Terminal 3)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MIAA(Manila International Airport Authority) : OPERATIONAL STATISTIC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항공통계: 2014년~2022년 마닐라공항 이용객 수와 항공기 운항 편수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항공통계: 2014년~2022년 마닐라공항 이용객 수와 항공기 운항 편수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4월 11일 마닐라공항(NAIA) 항공운송실적 여객(명) 필리핀 마닐라공항 이용객 수 여객 국제선 출발 도착 국내선 출발 도착 전체 2014 16,074,616 18,019,543 34,094,159 2015 17,168,171 19,415,288 36,583,459 2016 18,938,368 20,578,414 39,516,782 2017 20,957,571 21,064,913 42,022,484 2018 22,973,510 22,080,798 45,054,308 2019 24,984,439 22,913,607 47,898,046 2020 5,546,991 5,598,623 11,145,614 2021 2,254,518 5,562,029 7,816,547 2022 10,400,083 20,512,079 30,912,162 𖠿 관련 글 보기: 마닐라공항 이용객 수 - 2014년 이후 현재까지 마닐라공항 여객운송실적 운항(편) 필리핀 마닐라공항 항공기 운항 편수 운항 국제선 출발 도착 국내선 출발 도착 전체 2014 93,748 142,693 236,441 2015 97,325 151,963 249,288 2016 103,327 154,986 258,313 2017 108,995 149,371 258,366 2018 113,817 145,881 259,698 2019 122,902 154,628 277,530 2020 42,481 48,586 91,067 2021 34,193 56,433 90,626 2022 64,202 149,115 213,317 𖠿 관련 글 보기: 마닐라공항 항공기 운항 편수 - 2014년 이후 현재까지 마닐라공항 여객기 운항 실적 마닐라공항 연도별 운송실적 아래 자료는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의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되었으며, 국제선과 국내선의 출발·도착을 모두 포함한 숫자이다. 여객(명) 운항(편) 2014년 34,094,159 236,441 2015년 36,583,459 249,288 2016년 39,516,782 258,313 2017년 42,022,484 258,366 2018년 45,054,308 259,698 2019년 47,898,046 277,530 2020년 11,145,614 91,067 2021년 7,816,547 90,626 2022년 30,912,162 213,317 마닐라공항 터미널4(NAIA Terminal 4)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MIAA(Manila International Airport Authority) : OPERATIONAL STATISTICS · Civil Aviation Authority of the Philippines (CAAP) : Aircraft, Passenger, and Cargo Movements 20230125_NAIA OPERATIONAL STATISTICS .pdf PDF 다운로드 • 203KB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사람 한국으로 초대하기: 필리핀인의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사람 한국으로 초대하기: 필리핀인의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9년 12월 23일 필리핀 사람들에게 해외 여행지로 가장 인기 있는 곳은 어디일까? 필리핀 통계청(PSA)의 2016년도 발표에 따르면 필리핀인들이 선호하는 여행지는 홍콩, 말레이시아, 일본, 미국, 싱가포르 등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친지방문 등의 목적이 아니라 단순 관광으로 선호하는 국가를 보면 대부분 비자가 필요 없는 무사증 허용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다. 2019년 7월 현재, 필리핀 여권 소지자의 비자 면제 국가는 64개 국가로 그중 34개국은 무비자 방문(visa-free)이 가능하지만, 30개국은 비자 도착 시 비자 (visa-on-arrival. VOA)가 필요하다. 아프리카나 카리브 제도의 국가들을 방문할 일이야 거의 없겠지만,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마카오, 미얀마 등의 국가는 비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갈 수 있는 해외 여행지로 사랑받고 있다. 참고로 대만의 경우 2017년 11월부터 한시적으로 비자 면제 상태 이다. 원래 2018년 7월 31일까지 비자 면제 기간이었지만, 대만 정부에서 필리핀인들을 위한 무비자 프로그램을 두 번 연장해서 2020년 7월까지 무비자 방문이 가능한 상태이다. 대만은 비자가 필요 없게 되면서부터 필리핀 사람들에게 해외 여행지로 크게 인기를 끌었다. 대만관광청에 따르면 2018년에 416,429명의 필리핀인이 대만을 방문했다고 한다. 필리핀인이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필리핀인들은 비자 면제 국가 중에서도 비행시간 4시간 미만이면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항공권을 구할 수 있는 곳을 해외 여행지로 선호한다. 대만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는 저렴한 숙박시설을 이용하면서 싼 가격에 현지 음식도 즐길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 물가 저렴한 해외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홍콩의 경우 비행시간이 2시간 30분밖에 되지 않는 데다가 디즈니랜드 방문이 가능하여 가족여행지로 특히 인기이다. 현지 쇼핑몰이나 시장 등을 방문하여 쇼핑을 할 수 있느냐도 여행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는데, 말레이시아의 경우 공산품 등 생필품을 쇼핑하기 좋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한국은 필리핀 사람들이 매우 가보고 싶어 하는 국가 중 하나이지만, 비자가 필요한 국가라서 홍콩이나 말레이시아, 대만처럼 쉽게 여행하지는 못하는 형편이다. 필리핀과 한국은 비자에 대해 일방적 비자 면제 협정을 맺고 있다. 그래서 한국인이 필리핀 방문 시에는 사증(VISA) 면제 협정에 따라 무사증입국이 가능하지만, 필리핀 국적자가 관광차 한국에 오려면 주 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을 통해 관광비자(C-3)를 발급받아야만 한국으로 입국이 가능하다. 필리핀 대사관에서는 비자 없이 한국을 입국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으로 ① 제3국 여행 통과객, ② 환승관광외국인 무비자 입국허가, ③ 제주지역 무사증 입국 등을 통해 한국 입국이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지만, 한국을 경유하여 자국 또는 제3국으로 간다거나 인천공항에서 환승하면서 환승관광프로그램에 참가해야 하는 등 조건이 까다롭다. 그리고 제주지역 무사증 입국 혜택을 받으려면 제주지역으로 직접 도착하는 항공기 또는 선박 등을 이용해야만 하는데, 필리핀에서 제주도까지는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항공기 직항 노선이 없다. 따라서 제주도에 가려면 임시편 혹은 전세기 형태의 항공편이 운항하기를 기다리던지 홍콩, 대만 등 제3국을 통해 입국해야만 한다. (내년부터 필리핀인에 대한 제주 단체 관광객 무비자 제도를 시행한다고 하지만 아직 계획 단계로 구체적인 부분이 확정되지는 않음.) 필리핀인이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목록(가나다순) - 대만 타이베이 (Taipei, Taiwan) : 무비자 입국 가능 - 라오스 비엔티안 (Vientiane, Laos) : 무비자 입국 가능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Kuala Lumpur, Malaysia) : 무비자 입국 가능 - 베트남 하노이 (Hanoi, Vietnam) : 무비자 입국 가능 - 싱가포르 (Singapore) : 무비자 입국 가능 - 인도네시아 발리 (Bali, Indonesia) : 무비자 입국 가능 - 캄보디아 씨엠립 (Siem Reap, Cambodia) : 무비자 입국 가능 - 태국 방콕 (Bangkok, Thailand) : 무비자 입국 가능 - 홍콩 (Hong Kong) : 무비자 입국 가능 - 일본 도쿄 (Tokyo, Japan) : 비자 발급 필요 - 중국 베이징 (Beijing, China) : 비자 발급 필요 - 한국 서울 (Seoul, South Korea) : 비자 발급 필요 필리핀인 무비자 입국 가능국가 - 각국의 비자정책 ① 무비자 입국 가능(VISA-FREE) 별도로 비자를 신청하지 않고 입국 가능 - 해당 국가 : Bolivia, Brazil, Brunei, Cambodia, Colombia, Costa Rica, Cote ‘Ivoire, Ecuador, Fiji, Gambia, Haiti, Hong Kong, Indonesia, Israel, Laos, Macau, Malaysia, Micronesia, Mongolia, Morocco, Myanmar, Peru, Rwanda, Singapore, St. Vincent , Grenadines, Suriname, Taiwan, Thailand, Vanuatu, Vietnam ② 도착비자 가능(VISA-ON-ARRIVAL) 여행지 공항에 도착해서 입국허가 신청 후 비자 발급 가능 - 해당 국가 : Antigua, Barbuda, Armenia, Benin, Cape Verde, Comoros, Dominica, Ethiopia, Gabon, Georgia, Guinea-Bissau, Israel, Iran, Kenya, Kyrgyzstan, Madagascar, Malawi, Maldives, Marshall Islands, Mauritania, Mauritius, Mozambique, Nepal, Nicaragua, Saint Lucia, Samoa, Somalia, Senegal, Tajikistan, Tanzania, Timor-Leste, Trinidad and Tobago, Togo, Tuvalu, Uganda ③ eVISA(Electronic Visa) 온라인으로 비자 신청 가능 - 해당 국가 : Djibouti, India, Lesotho, Pakistan, Qatar, Saint Kitts and Nevis, Sao Tome and Principe, Uzbekistan, Zambia, Zimbabwe ④ 비자 발급 필요(VISA-REQUIRED) 비자 필요. 목적지 국가로 여행하기 전에 해당 국가의 대사관으로 비자를 신청해야함. - 해당 국가 : 한국, 일본, 미국 등 국가명 Country 비자정책 입국허가 기간 브루나이 Brunei Visa-Free 14 Days 캄보디아 Cambodia Visa-Free 21 Days 인도네시아 Indonesia Visa-Free 30 Days 라오스 Laos Visa-Free 30 Days 말레이시아 Malaysia Visa-Free 30 Days 미얀마 Myanmar Visa-Free 14 Days 싱가포르 Singapore Visa-Free 30 Days 태국 Thailand Visa-Free 30 Days 베트남 Vietnam Visa-Free 21 Days 홍콩 Hong Kong Visa-Free 14 Days 대한민국 Korea Visa required Visa-free to Jeju Island only 30 Days 키르기스스탄 Kyrgyzstan Visa on Arrival 30 Days 마카오 Macao Visa-Free 30 Days 몰디브 Maldives Visa on Arrival 30 Days 몽골 Mongolia Visa-Free 21 Days 네팔 Nepal Visa on Arrival 21 Days 스리랑카 Sri Lanka eTA (electronic travel authority) 30 Days 타이완(대만) Taiwan Visa-Free (until July 2019) 14 Days 동티모르 Timor-Leste Visa on Arrival 30 Days 아르메니아 Armenia Visa on Arrival 120 Days 이란 Iran Visa on Arrival 15 Days or 30 Days 이스라엘 Israel Visa-Free 90 Days 볼리비아 Bolivia Visa-Free 90 Days 브라질 Brazil Visa-Free 90 Days 콜롬비아 Colombia Visa-Free 90 Days 코스타리카 Costa Rica Visa-Free 30 Days 에콰도르 Ecuador Visa-Free 90 Days 니카라과 Nicaragua Visa on Arrival 90 Days 페루 Peru Visa-Free 183 Days 수리남 Suriname Visa-Free 90 Days 케이프 베르데 Cape Verde Visa on Arrival 코모레스 섬 Comores Island Visa on Arrival 45 Days 코트디부아르 Cote d’Ivoir Visa-Free 90 Days 지부티 Djibouti eVisa 31 Days 감비아 Gambia Visa-Free 90 Days 기니비사우 Guinea-Bissau eVisa 90 Days 케냐 Kenya eVisa 90 Days 마다가스카르. Madagascar Visa on Arrival 30 Days 말라위 Malawi Visa on Arrival 90 Days 모리타니아 Mauritania Visa on Arrival 모리셔스 Mauritius Visa on Arrival 60 Days 모로코 Morocco Visa-Free 90 Days 모잠비크 Mozambique Visa on Arrival 30 Days 르완다 Rwanda Visa-Free 90 Days 세이셸 Seychelles Visa on Arrival 90 Days 소말리아 Somalia Visa on Arrival 30 Days 세인트헬레나 St. Helena eVisa 탄자니아 Tanzania eVisa 90 Days 토고 Togo Visa on Arrival 7 Days 우간다 Uganda eVisa 쿡 제도 Cook Islands Visa on Arrival 31 Days 피지 Fiji Visa-Free 120 Days 마셜 제도 Marshall Islands Visa on Arrival 90 Days 미크로네시아 Micronesia Visa-Free 30 Days 니우에 Niue Visa-Free 30 Days 팔라우 제도 Palau Islands Visa on Arrival 30 Days 파푸아 뉴기니 Papua New Guinea eVisa 60 Days 사모아 Samoa Visa on Arrival 60 Days 투발루 Tuvalu Visa on Arrival 30 Days 바누아투 Vanuatu Visa-Free 30 Days 도미니카 Dominica Visa-Free 21 Days 아이티 Haiti Visa-Free 90 Days 세인트루시아 St. Lucia Visa on Arrival 6 weeks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St. Vincent and the Grenadines Visa-Free 30 Days 트리니다드 토바고 Trinidad and Tobago Visa on Arrival (비고) - 위의 내용은 일반여권 소지자(Regular/Ordinary Passport Holders)에 대한 것으로 소지한 여권의 종류(일반여권, 관용여권, 외교관여권) 및 개인 상황에 따라 무비자 입국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 - 개인의 비자 취득은 각 나라의 주권사항이므로 해당 국가의 대사관에 직접 문의해서 확인해야 함 사증(비자)이란? 개인이 다른 나라에 가기 위해서는 여권과 함께 사증(비자)가 있어야 한다. 비자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간첩행위를 막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던 제도로 현재는 이민 문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입국을 제한하기 위해 사증(입국허가)제도를 시행되고 있다. - 사증(비자)을 받기 위해서는 상대국 대사관이나 영사관을 방문하여 방문 국가가 요청하는 서류 및 사증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며 때에 따라서는 인터뷰도 거쳐야 한다. 사증 면제제도란 이런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국가 간 협정이나 일방 혹은 상호 조치에 의해 비자 없이 상대국에 입국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이다. - 비자는 외국인에 대한 입국 허가 증명이라 국가 정책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국가에 따라 비자를 외국인이 그 나라에 입국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 입국허가 확인 ”의 의미로 보기도 하지만, 외국인의 입국허가 신청에 대한 영사의 “ 입국 추천행위 ”의 의미로 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의 입국허가 신청에 대한 영사의 입국 추천행위'의 의미로 보고 있다. 그래서 대사관을 통해 비자를 받았다고 해도 출입국관리사무소 심사관이 입국심사 과정에서 입국을 거절할 수 있다. 제주도 무사증 입국도 결격사유가 없을 때만 입국이 가능하다.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Hi Korea 외국인을 위한 전자정부 - 외국인 무사증 입국 · 필리핀 외교부(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 Visa policies towards Filipino nationals · GUIDELINES ON THE ENTRY OF TEMPORARY VISITORS TO THE PHILIPPINES · Filipinos can travel to 64 countries without visa · Henley Passport Index 2006 to 2019 · 12 OVERSEAS DESTINATIONS FILIPINOS CAN TRAVEL TO UNDER ₱20K BUDGET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