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필리핀 사람 한국으로 초대하기: 필리핀인의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콘텐츠 등록일:

2019년 12월 23일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Taiwan Taoyuan International Airport

필리핀 사람들에게 해외 여행지로 가장 인기 있는 곳은 어디일까? 

필리핀 통계청(PSA)의 2016년도 발표에 따르면 필리핀인들이 선호하는 여행지는 홍콩, 말레이시아, 일본, 미국, 싱가포르 등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친지방문 등의 목적이 아니라 단순 관광으로 선호하는 국가를 보면 대부분 비자가 필요 없는 무사증 허용 국가라는 공통점이 있다. 2019년 7월 현재, 필리핀 여권 소지자의 비자 면제 국가는 64개 국가로 그중 34개국은 무비자 방문(visa-free)이 가능하지만, 30개국은 비자 도착 시 비자 (visa-on-arrival. VOA)가 필요하다. 아프리카나 카리브 제도의 국가들을 방문할 일이야 거의 없겠지만,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마카오, 미얀마 등의 국가는 비자를 준비하지 않아도 갈 수 있는 해외 여행지로 사랑받고 있다. 참고로 대만의 경우 2017년 11월부터 한시적으로 비자 면제 상태이다. 원래 2018년 7월 31일까지 비자 면제 기간이었지만, 대만 정부에서 필리핀인들을 위한 무비자 프로그램을 두 번 연장해서 2020년 7월까지 무비자 방문이 가능한 상태이다. 대만은 비자가 필요 없게 되면서부터 필리핀 사람들에게 해외 여행지로 크게 인기를 끌었다. 대만관광청에 따르면 2018년에 416,429명의 필리핀인이 대만을 방문했다고 한다.


필리핀 사람 한국으로 초대하기: 필리핀인의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필리핀인이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필리핀인들은 비자 면제 국가 중에서도 비행시간 4시간 미만이면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항공권을 구할 수 있는 곳을 해외 여행지로 선호한다. 대만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는 저렴한 숙박시설을 이용하면서 싼 가격에 현지 음식도 즐길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 물가 저렴한 해외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 홍콩의 경우 비행시간이 2시간 30분밖에 되지 않는 데다가 디즈니랜드 방문이 가능하여 가족여행지로 특히 인기이다. 현지 쇼핑몰이나 시장 등을 방문하여 쇼핑을 할 수 있느냐도 여행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는데, 말레이시아의 경우 공산품 등 생필품을 쇼핑하기 좋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한국은 필리핀 사람들이 매우 가보고 싶어 하는 국가 중 하나이지만, 비자가 필요한 국가라서 홍콩이나 말레이시아, 대만처럼 쉽게 여행하지는 못하는 형편이다. 필리핀과 한국은 비자에 대해 일방적 비자 면제 협정을 맺고 있다. 그래서 한국인이 필리핀 방문 시에는 사증(VISA) 면제 협정에 따라 무사증입국이 가능하지만, 필리핀 국적자가 관광차 한국에 오려면 주 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을 통해 관광비자(C-3)를 발급받아야만 한국으로 입국이 가능하다. 필리핀 대사관에서는 비자 없이 한국을 입국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으로 ① 제3국 여행 통과객, ② 환승관광외국인 무비자 입국허가, ③ 제주지역 무사증 입국 등을 통해 한국 입국이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지만, 한국을 경유하여 자국 또는 제3국으로 간다거나 인천공항에서 환승하면서 환승관광프로그램에 참가해야 하는 등 조건이 까다롭다. 그리고 제주지역 무사증 입국 혜택을 받으려면  제주지역으로 직접 도착하는 항공기 또는 선박 등을 이용해야만 하는데, 필리핀에서 제주도까지는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항공기 직항 노선이 없다. 따라서 제주도에 가려면 임시편 혹은 전세기 형태의 항공편이 운항하기를 기다리던지 홍콩, 대만 등 제3국을 통해 입국해야만 한다. (내년부터 필리핀인에 대한 제주 단체 관광객 무비자 제도를 시행한다고 하지만 아직 계획 단계로 구체적인 부분이 확정되지는 않음.)


필리핀인이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목록(가나다순)

- 대만 타이베이 (Taipei, Taiwan) : 무비자 입국 가능

- 라오스 비엔티안 (Vientiane, Laos) : 무비자 입국 가능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Kuala Lumpur, Malaysia) : 무비자 입국 가능

- 베트남 하노이 (Hanoi, Vietnam) : 무비자 입국 가능

- 싱가포르 (Singapore) : 무비자 입국 가능

- 인도네시아 발리 (Bali, Indonesia) : 무비자 입국 가능

- 캄보디아 씨엠립 (Siem Reap, Cambodia) : 무비자 입국 가능

- 태국 방콕 (Bangkok, Thailand) : 무비자 입국 가능

- 홍콩 (Hong Kong) : 무비자 입국 가능

- 일본 도쿄 (Tokyo, Japan) : 비자 발급 필요

- 중국 베이징 (Beijing, China) : 비자 발급 필요

- 한국 서울 (Seoul, South Korea) : 비자 발급 필요


필리핀 사람 한국으로 초대하기: 필리핀인의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필리핀인 무비자 입국 가능국가 - 각국의 비자정책

① 무비자 입국 가능(VISA-FREE)

별도로 비자를 신청하지 않고 입국 가능 

- 해당 국가 : Bolivia, Brazil, Brunei, Cambodia, Colombia, Costa Rica, Cote ‘Ivoire, Ecuador, Fiji, Gambia, Haiti, Hong Kong, Indonesia, Israel, Laos, Macau, Malaysia, Micronesia, Mongolia, Morocco, Myanmar, Peru, Rwanda, Singapore, St. Vincent , Grenadines, Suriname, Taiwan, Thailand, Vanuatu, Vietnam 


② 도착비자 가능(VISA-ON-ARRIVAL)

여행지 공항에 도착해서 입국허가 신청 후 비자 발급 가능

- 해당 국가 : Antigua, Barbuda, Armenia, Benin, Cape Verde, Comoros, Dominica, Ethiopia, Gabon, Georgia, Guinea-Bissau, Israel, Iran, Kenya, Kyrgyzstan, Madagascar, Malawi, Maldives, Marshall Islands, Mauritania, Mauritius, Mozambique, Nepal, Nicaragua, Saint Lucia, Samoa, Somalia, Senegal, Tajikistan, Tanzania, Timor-Leste, Trinidad and Tobago, Togo, Tuvalu, Uganda 


③ eVISA(Electronic Visa)

온라인으로 비자 신청 가능 

- 해당 국가 : Djibouti, India, Lesotho, Pakistan, Qatar, Saint Kitts and Nevis, Sao Tome and Principe, Uzbekistan, Zambia, Zimbabwe 


④ 비자 발급 필요(VISA-REQUIRED) 

비자 필요. 목적지 국가로 여행하기 전에 해당 국가의 대사관으로 비자를 신청해야함. 

- 해당 국가 : 한국, 일본, 미국 등 


국가명

Country

비자정책

입국허가 기간

브루나이

Brunei

Visa-Free

14 Days

캄보디아

Cambodia

Visa-Free

21 Days

인도네시아

Indonesia

Visa-Free

30 Days

라오스

Laos

Visa-Free

30 Days

말레이시아

Malaysia

Visa-Free

30 Days

미얀마

Myanmar

Visa-Free

14 Days

싱가포르

Singapore

Visa-Free

30 Days

태국

Thailand

Visa-Free

30 Days

베트남

Vietnam

Visa-Free

21 Days

홍콩

Hong Kong

Visa-Free

14 Days

대한민국

Korea

Visa required

Visa-free to Jeju Island only

30 Days

키르기스스탄

Kyrgyzstan

Visa on Arrival

30 Days

마카오

Macao

Visa-Free

30 Days

몰디브

Maldives

Visa on Arrival

30 Days

몽골

Mongolia

Visa-Free

21 Days

네팔

Nepal

Visa on Arrival

21 Days

스리랑카

Sri Lanka

eTA (electronic travel authority)

30 Days

타이완(대만)

Taiwan

Visa-Free (until July 2019)

14 Days

동티모르

Timor-Leste

Visa on Arrival

30 Days

아르메니아

Armenia

Visa on Arrival

120 Days

이란

Iran

Visa on Arrival

15 Days or 30 Days

이스라엘

Israel

Visa-Free

90 Days

볼리비아

Bolivia

Visa-Free

90 Days

브라질

Brazil

Visa-Free

90 Days

콜롬비아

Colombia

Visa-Free

90 Days

코스타리카

Costa Rica

Visa-Free

30 Days

에콰도르

Ecuador

Visa-Free

90 Days

니카라과

Nicaragua

Visa on Arrival

90 Days

페루

Peru

Visa-Free

183 Days

수리남

Suriname

Visa-Free

90 Days

케이프 베르데

Cape Verde

Visa on Arrival


코모레스 섬

Comores Island

Visa on Arrival

45 Days

코트디부아르

Cote d’Ivoir

Visa-Free

90 Days

지부티

Djibouti

eVisa

31 Days

감비아

Gambia

Visa-Free

90 Days

기니비사우

Guinea-Bissau

eVisa

90 Days

케냐

Kenya

eVisa

90 Days

마다가스카르.

Madagascar

Visa on Arrival

30 Days

말라위

Malawi

Visa on Arrival

90 Days

모리타니아

Mauritania

Visa on Arrival


모리셔스

Mauritius

Visa on Arrival

60 Days

모로코

Morocco

Visa-Free

90 Days

모잠비크

Mozambique

Visa on Arrival

30 Days

르완다

Rwanda

Visa-Free

90 Days

세이셸

Seychelles

Visa on Arrival

90 Days

소말리아

Somalia

Visa on Arrival

30 Days

세인트헬레나

St. Helena

eVisa


탄자니아

Tanzania

eVisa

90 Days

토고

Togo

Visa on Arrival

7 Days

우간다

Uganda

eVisa


쿡 제도

Cook Islands

Visa on Arrival

31 Days

피지

Fiji

Visa-Free

120 Days

마셜 제도

Marshall Islands

Visa on Arrival

90 Days

미크로네시아

Micronesia

Visa-Free

30 Days

니우에

Niue

Visa-Free

30 Days

팔라우 제도

Palau Islands

Visa on Arrival

30 Days

파푸아 뉴기니

Papua New Guinea

eVisa

60 Days

사모아

Samoa

Visa on Arrival

60 Days

투발루

Tuvalu

Visa on Arrival

30 Days

바누아투

Vanuatu

Visa-Free

30 Days

도미니카

Dominica

Visa-Free

21 Days

아이티

Haiti

Visa-Free

90 Days

세인트루시아

St. Lucia

Visa on Arrival

6 weeks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St. Vincent and the Grenadines

Visa-Free

30 Days

트리니다드 토바고

Trinidad and Tobago

Visa on Arrival



(비고)

- 위의 내용은 일반여권 소지자(Regular/Ordinary Passport Holders)에 대한 것으로 소지한 여권의 종류(일반여권, 관용여권, 외교관여권) 및 개인 상황에 따라 무비자 입국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

- 개인의 비자 취득은 각 나라의 주권사항이므로 해당 국가의 대사관에 직접 문의해서 확인해야 함 


필리핀 사람 한국으로 초대하기: 필리핀인의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사증(비자)이란? 

개인이 다른 나라에 가기 위해서는 여권과 함께 사증(비자)가 있어야 한다. 비자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간첩행위를 막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던 제도로 현재는 이민 문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입국을 제한하기 위해 사증(입국허가)제도를 시행되고 있다. 


- 사증(비자)을 받기 위해서는 상대국 대사관이나 영사관을 방문하여 방문 국가가 요청하는 서류 및 사증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며 때에 따라서는 인터뷰도 거쳐야 한다. 사증 면제제도란 이런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국가 간 협정이나 일방 혹은 상호 조치에 의해 비자 없이 상대국에 입국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 비자는 외국인에 대한 입국 허가 증명이라 국가 정책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국가에 따라 비자를 외국인이 그 나라에 입국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입국허가 확인”의 의미로 보기도 하지만, 외국인의 입국허가 신청에 대한 영사의 “입국 추천행위”의 의미로 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의 입국허가 신청에 대한 영사의 입국 추천행위'의 의미로 보고 있다. 그래서 대사관을 통해 비자를 받았다고 해도 출입국관리사무소 심사관이 입국심사 과정에서 입국을 거절할 수 있다. 제주도 무사증 입국도 결격사유가 없을 때만 입국이 가능하다.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Taiwan Taoyuan International Airport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필리핀 사람 한국으로 초대하기: 필리핀인의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와 선호하는 해외 여행지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