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역사: 1935년 11월 15일,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 출범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2024년 9월 28일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국어사전에 코먼웰스(Commonwealth)를 검색해 보면 '미국의 일부 주에서 공화 정체의 국가, 자치 단체, 주(州) 따위를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을 볼 수 있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에 따르면 코먼웰스가 바른 표기이며, 커먼웰스, 코몬웰스, 커몬웰스는 잘못된 표기이다. 타이딩스 맥더피 법을 근거로 설립된 미국의 필리핀 자치령인 코먼웰스 오브 더 필리핀(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은 한국어로 필리핀 코먼웰스, 필리핀 자치 정부, 필리핀 연방, 필리핀 자치령 연방 정부 등으로도 번역된다.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1935년 11월 15일~1946년 7월 4일
1934년 필리핀이 10년간의 과도기를 거쳐 독립국이 된다는 것을 약속하는 필리핀 독립법(타이딩스-맥더피법)이 의회를 통과했다. 이 법이 통과된 이듬해인 1935년, 미국은 필리핀의 독립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를 수립한다. 이 시기 필리핀은 여전히 미국 영토로 남아 있었고, 외교, 국방, 통화 문제 등은 미국이 직접 감독하고 통제했지만, 필리핀 국내의 문제는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의 권한 아래 있을 수 있었다. 미국이 파견한 총독(Governor-General) 대신 고등판무관(High Commissioner)이 왔지만 국가 내정은 간섭하지 않았다.
1935년 필리핀 헌법
타이딩스-맥더피법(필리핀 독립법)에 따라 1935년 5월 14일 필리핀 헌법(The 1935 Constitution)이 제정되었다. 필리핀 영토에 대해 "1898년 12월 10일에 미국과 스페인 간에 체결된 파리 조약에 의해 미국에 양도된 모든 영토로 구성된다"고 적힌 헌법이었다. 1935년 헌법의 제17조를 보면 코먼웰스 시기 미국과 필리핀의 관계에 관해 규정한 것을 볼 수 있는데, 미국이 필리핀에 대한 주권을 최종적으로 완전히 철회할 때까지 필리핀의 모든 시민은 미국에 충성을 다해야 하며, 필리핀 국회에서 통과된 모든 법안은 미국 의회에 보고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35년 선거
1935년 9월 17일 선거를 통해 마누엘 케손(Manuel Quezon)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필리핀 자치령이 출범하면서 필리핀 부통령이라는 직함이 공식적으로 만들어졌는데, 세르히오 오스메냐(Sergio Osmeña)가 부통령으로 취임했다. 법원에도 변화가 생겼다.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도민정청) 시기에는 대법원장은 필리핀인이었으나 대법관 대부분이 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필리핀 자치령(코먼웰스)이 시작되면서 대법관 전원이 필리핀인으로 구성되게 된 것이다. 의회 역시 새롭게 구성되었다.
하지만 1935년 11월 15일 출범한 필리핀 자치령(코먼웰스)은 1942년 1월 2일에 일본이 마닐라를 점령하면서 중단되어야만 했다. 그리고 일본 점령기를 거치면서 '자치정부가 수립된 후 10년이 지나 독립한다'는 약속은 지킬 수 없는 약속이 되었다. 마누엘 케손은 미국으로 망명해서 워싱턴에 망명 정부를 세웠지만, 적극적으로 독립 활동을 하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미국으로 망명했던 마누엘 퀘존이 1944년 결핵으로 사망하면서 부통령이었던 세르히오 오스메냐가 대통령 자리를 이어받게 된다. 대통령이 된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1944년 맥아더 장군이 레이테섬에 상륙할 때 함께 필리핀으로 돌아왔지만 전쟁은 1945년까지 계속되었다. 코먼웰스는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이 미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끝이 났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역사: 마누엘 루이스 케손 - 미국 식민지 시대 필리핀 자치령(코먼웰스)의 대통령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Office of the Vic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The History of the Philippine Vice Presidency - Chronology of Vice Presidents
· PHILIPPINE-HISTORY: The Philippine Independence Act (Tydings-McDuffie Law)
· Encyclopedia Britannica: Tydings-McDuffie Act
· Senate of the Philippines: History of the Senate
· Official Gazette: 1935년 필리핀 헌법(The 1935 Constitution)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