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터미널 재배정 계획안에 따른 항공사별 이용 터미널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터미널 재배정 계획안에 따른 항공사별 이용 터미널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3월 26일 마닐라공항으로 가기 전에 터미널 번호를 확인하세요!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마닐라공항(NAIA)을 이용하는 항공사에 대해 터미널 재배정을 하겠다고 나섰다. 이는 STAR 프로그램이라고 부르는 마닐라공항 '스케줄 및 터미널 할당 합리화 프로그램(Schedule & Terminal Assignment Rationalization Program)'에 따른 것으로 국제선 항공편을 터미널1과 3로 배정하고, 터미널2를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 가 된다. 이를 위해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서는 이미 지난 2022년 12월 필리핀항공의 일부 노선(미국, 캐나다 등 국제선 노선 일부)을 터미널1로 옮겨 운항하도록 한 바 있다. 마닐라공항에서 항공사별 이용 터미널을 재배정하려는 이유는 간단하다. 터미널별 취항 항공사를 변경함으로써 터미널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공항수용능력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과연 마닐라공항의 이야기처럼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개선될지는 의문이지만, 연간여객처리 용량을 높이면 현재의 공항 혼잡이 다소나마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마닐라공항 터미널 재배정 계획안 마닐라공항 항공사별 이용 터미널 재배정 계획안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는 한꺼번에 터미널을 재배정할 경우 올 수 있는 혼란에 대처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순차적으로 항공사별 이용 터미널을 재배정할 예정이다. 날짜(적용일) 주요 변경 사항 2023년 4월 16일 - 필리핀항공 국제선 일부 노선(싱가포르, 호찌민, 하노이, 프놈펜) 터미널1에서 운항 - 젯스타 재팬, 젯스타 아시아, 스쿠트 항공, 중국남방항공, 스타룩스 항공 터미널3에서 운항 2023년 6월 1일 - 제주항공 터미널3에서 운항 - 에티오피아항공 터미널3에서 운항 2023년 6월 16일 필리핀항공의 나머지 국제선 모두 터미널1에서 운항(한국-마닐라 노선 포함) 2023년 7월 1일 필리핀 에어아시아의 모든 국내선 터미널2에서 운항 ※ 필리핀항공 국내선은 변경 사항 없이 계속 터미널2에서 운항 ※ 세부퍼시픽의 국제선과 국내선도 변경 사항 없음 ■ 적용일 : 2023년 4월 16일 - 스쿠트 항공(Scoot), 젯스타 재팬(Jetstar Japan), 젯스타 아시아(Jetstar Asia), 중국남방항공(China Southern Airlines), 스타룩스 항공(Starlux Airlines) : 터미널1에서 터미널3으로 이동 - 필리핀항공(Philippine Airlines)의 국제선 노선 일부 : 싱가포르, 베트남 호찌민, 하노이, 캄보디아 프놈펜 노선 터미널2에서 터미널3으로 이동 ■ 적용일 : 2023년 6월 1일 - 제주항공(Jeju Air) : 터미널1에서 터미널3로 이동 - 에티오피아항공(Ethiopian Airlines) : 터미널1에서 터미널 3로 이동 ■ 적용일 : 2023년 6월 16일 - 필리핀항공(Philippine Airlines)의 모든 국제선 노선 : 터미널2에서 터미널1로 이동 ■ 적용일 : 2023년 7월 1일 - 필리핀 에어아시아(Philippines AirAsia)의 모든 국내선 노선 : 터미널3,4에서 터미널3로 이동 필리핀항공 국제선 탑승구 마닐라공항 터미널별 취항 항공사(7월 1일 이후) 2023년 7월 1일부터 마닐라공항 터미널2가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이용되면, 터미널별 취항 항공사가 아래와 같이 바뀐다. 한국 노선의 경우 아래와 같이 생각하면 된다. - 6월 1일 이후 제주항공의 한국-마닐라 노선 이용 시 터미널3 이용 - 6월 16일 이후 필리핀항공의 한국-마닐라 노선 이용 시 터미널1 이용 -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항공, 로얄에어를 이용하여 필리핀을 입국할 경우는 변동 없이 터미널1 이용 - 세부퍼시픽을 이용하여 필리핀을 입국할 경우는 변동 없이 터미널3 이용 터미널별 취항 항공사(2023년 7월 1일 이후) 터미널1 필리핀항공 국제선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기존과 동일) 터미널2 필리핀항공 국내선(기존과 동일) 에어아시아 국내선 터미널3 제주항공 세부퍼시픽(기존과 동일) 터미널4 에어스위프트, 스카이젯 등의 국내선(기존과 동일) 𖠿 관련 글 보기: 마닐라공항에서 터미널2를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만드는 이유 마닐라공항 셔틀버스 안내문 마닐라공항 터미널3의 폴리스 헬프데스크 마닐라공항 터미널1(NAIA Terminal 1)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MIAA : MIAA SET TO CONTINUE NAIA NEW TERMINAL ASSIGNMENTS IN APRIL · Inquirer : MIAA sets new terminal assignments in NAIA starting April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최저임금: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2000년~2022년

    필리핀 월급과 최저임금· 필리핀 노동법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월급·최저임금·노동법 필리핀 최저임금: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2000년~2022년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10월 27일 최저임금(Minimum wage)이란 근로자가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법률로써 정한 최저의 임금을 말한다. 하지만 대체 최소한의 생활이란 어떤 수준의 생활을 의미한다는 말인가? 필리핀의 최저임금을 놓고 1일 610페소(한화 약 14,600원)라고 이야기하지만, 이건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 지역에서 비농업부문의 근로자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이다. 필리핀에서는 최저임금을 지역별로 차등 적용하는데, 수도권인 메트로 마닐라 지역의 최저임금이 가장 높다. 그리고 민다나오 방사모로 무슬림 자치지역의 최저임금은 2023년인 지금도 1일 341페소(한화 약 8,200원)밖에 되지 않는다. 문제는 필리핀에서는 최저임금이 전반적인 임금수준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어떤 일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일반 근로자 상당수는 최저임금 적용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특히 육체노동자들의 경우 평균임금이 최저임금을 크게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 많다. 그러니 필리핀의 최저임금은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금액에 불과 하다.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최소한의 금액'이 아닌 '최소한의 생계유지비용'인 셈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미 1951년에 필리핀에 최저임금법(Minimum Wage Law)이 만들어졌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7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필리핀의 최저임금에는 삶의 질 향상이나 임금 격차의 완화 등에 대한 이야기는 전혀 담겨 있지 않다. 필리핀의 연도별 최저임금 현황(2000년~2022년) ■ 자료 출처: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 비고 1. 필리핀의 최저임금은 시급이 아닌 일급으로 고시된다. 일급은 법정근로시간인 8시간에 해당하는 1일 최저임금으로 고시된다. 2. 필리핀의 최저임금은 지역별·업종별·규모별 차등 적용된다. 행정구역에 따라 17개의 지방(Region)으로 나누어 지역별 최저임금이 발표되는 식이다. 하지만 같은 지방(Region)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다른 최저임금이 적용될 수 있다. 메트로 마닐라 지역 적용연도 비농업부문 농업부문/플랜테이션 농업부문/비플랜테이션 2000년 250페소 213페소 213페소 2001년 265페소 228페소 228페소 2002년 280페소 243페소 243페소 2003년 280페소 243페소 243페소 2004년 300페소 263페소 263페소 2005년 325페소 288페소 288페소 2006년 350페소 313페소 313페소 2007년 362페소 325페소 318페소 2008년 382페소 345페소 345페소 2009년 382페소 345페소 345페소 2010년 404페소 367페소 367페소 2011년 426페소 389페소 389페소 2012년 456페소 419페소 419페소 2013년 466페소 429페소 429페소 2014년 466페소 429페소 429페소 2015년 481페소 444페소 444페소 2016년 491페소 454페소 454페소 2017년 512페소 475페소 475페소 2018년 537페소 500페소 500페소 2019년 537페소 500페소 500페소 2020년 537페소 500페소 500페소 2021년 537페소 500페소 500페소 2022년 570페소 533페소 533페소 마닐라 이외의 지방 적용연도 비농업부문 농업부문/플랜테이션 농업부문/비플랜테이션 2000년 217페소 192페소 172페소 2001년 217페소 192페소 180페소 2002년 237페소 212페소 192페소 2003년 237페소 212페소 192페소 2004년 255페소 230페소 210페소 2005년 265페소 240페소 220페소 2006년 287페소 262페소 242페소 2007년 300페소 275페소 265페소 2008년 320페소 295페소 275페소 2009년 320페소 295페소 275페소 2010년 320페소 295페소 276페소 2011년 337페소 312페소 292페소 2012년 350페소 325페소 309페소 2013년 350페소 325페소 309페소 2014년 363페소 338페소 322페소 2015년 363페소 338페소 335페소 2016년 379페소 354페소 335페소 2017년 380페소 354페소 348페소 2018년 400페소 370페소 368페소 2019년 400페소 391페소 391페소 2020년 420페소 394페소 394페소 2021년 420페소 394페소 394페소 2022년 470페소 429페소 429페소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National Wages and Productivity Commissio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필리핀 입국 규정 완화로 백신미접종자의 필리핀 입국 허용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필리핀 입국 규정 완화로 백신미접종자의 필리핀 입국 허용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11월 3일 최근 필리핀에서는 실내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했다. 조만간 필리핀 입국 요건도 상당히 완화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부스터샷 접종을 하지 않은 2차 접종자도 음성확인서 제출을 하지 않아도 되게 하고, 백신미접종자는 출발시간 24시간 이내 항원검사를 받고 음성확인서를 제출하면 입국을 허용하는 식이다. 혹 필리핀으로 출발하기 전 코로나19 검사를 받지 못해 음성확인서를 준비하지 못했다면 필리핀 도착 후 항원검사를 받으면 된다. 워낙 그동안 이런 식의 소문이 많았던 터라 이번에는 진짜일까 싶지만, 이미 관련하여 여행 제한을 완화하길 권고하는 IATF 의결서(Resolution No. 2)가 지난 10월 4일 작성되었고 이 의결서 내용에 대해 최종 승인하는 행정명령에 대해 마스코스 대통령이 10월 28일에 서명을 했다는 소식이다. 대체 언제부터 입국이 규정을 완화된다는 것인지 날짜에 대한 부분만 아직 확정이 되지 않았을 뿐이다. 마르코스 행정부에서 여행 프로토콜을 자유화하여 외국인들이 좀 더 쉽게 필리핀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뚜렷 밝히는 것은 물론 경제 문제 때문이다. 필리핀 관광부에서 주변 아세안 국가와 같이 실외 및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전면 해제 하고, 이어라이벌 카드(e-arrival card)를 필리핀 도착 후에도 작성 가능 하도록 등의 일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 역시 관광객 수가 좀처럼 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필리핀의 관광객 수가 전혀 늘어나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필리핀 관광부(DOT)의 발표에 따르면 2022년 10월 24일 기준으로 필리핀을 방문한 방문객 수는 총 1,827,603명으로 올해 초 예상했던 170만 명을 넘어섰다. 입국 규정이 완화된 지난 2월 이후 약 160만 명이 필리핀 방문했는데, 방문객의 국적을 보면 미국인이 346,806명(18.98%)으로 가장 많다고 한다. 미국인 다음으로 많은 것은 한국인으로 250,021명(13.68%)에 이른다. 호주 85,986명(4.7%), 캐나다 78,366명(4.29%), 영국 69,482명(3.8%) 등에서도 필리핀을 많이 방문했다. 국내 여행객 수도 2020년(2,698만 명)과 비교하여 38.16% 증가한 3,727만 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발생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부족한 숫자임이 틀림없다. 여행에 대한 제한을 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필리핀 입국 규정 완화 계획안 시행일 미정 ※ 2022년 11월 4일 시행 예정되어 있으나 11월 2일 현재 시행일 날짜를 언급한 정부 기관의 공문은 없는 상황임 ※ 2022년 11월 4일: 필리핀 검역국(BOQ)의 입국 관련 안내 내용이 변경됨 IATF 의결서(Resolution No. 2) 내용 요약 · 1987년 헌법(Section 15 Article H)에서는 국가가 국민의 건강을 보호 및 증진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 2014년 행정명령(Executive Order No. 168 s.2014)에 따라 신흥 감염병의 확산을 예방 및 최소화하기 위해 IATF를 지정한다. · 2022년 9월 12일 대통령은 선언문(Proclamation No. 57)을 발표하여 필리핀 전역의 국가재난사태(state of calamity) 기간을 2022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했다. · 2022년 9월 12일 행정명령(Executive Order No. 3)에 따라 마스크 착용이 자율화되었다. · 경제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입국 절차 및 검역 프로토콜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A. 예방접종완료자 · 백신접종을 한 경우 음성확인서 제출 면제(입국전 코로나 검사 폐지) · 부스터샷(3차) 접종자가 아니라도 음성확인서 제출이 면제됨 B. 백신미접종자, 접종 미완료자, 백신접종상태를 증명할 수 없는 경우 ① 15세 이상 · 출발시간 24시간 이내 검사한 공신력 있는 의료기관의 항원검사 음성확인서 제출 · 음성확인서 미제출 시 필리핀 도착 후 공항에서 신속항원검사 실시 ② 15세 미만 미성년자 보호자가 있는 경우 보호자의 검역 규정을 따름 보호자가 없는 경우 음성확인서 제출 또는 필리핀 도착 후 신속항원검사 지난 10월 28일 마스코스 대통령이 서명한 각서 (Memorandum) 필리핀 마닐라의 SM 몰 오브 아시아 쇼핑몰(SM Mall of Asia)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RESOLUTION NO. 2. Series of 2022. October 4, 2022 · DOT : PBBM oks easing of stringent travel restrictions · INQUIRER : PH to ease requirements for inbound traveler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본청에서 NTSP(Not The Same Person) 동명이인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본청에서 NTSP(Not The Same Person) 동명이인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5년 2월 6일 나와 동일한 이름을 가진 사람이 불법체류 등의 불미스러운 일로 이민국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렸거나 필리핀에서 범죄를 저질러 출입국규제자가 되었다는 이유로 필리핀 입국을 하지 못함은 매우 억울한 일이지만 실제 그런 이유로 필리핀 입국이 거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경우 필리핀 입출국을 하고 싶다면 출입국규제자 당사자가 아니라는 것을 스스로 입증하는 수밖에 없다. 그런데 대체 어떻게 출입국 규제자 당사자가 아님을 증명할 수 있을까?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마닐라에 있는 필리핀 이민국 본청에서 NTSP(Not The Same Person)라는 서류를 발급받는 것이다. 이 서류를 통해 출입국 규제자와 동명이인일 뿐 출입국규제자 당사자가 아님을 증명할 수 있다. 필리핀 NTSP 동명이인증명서 NTSP certificate Certification for Not The Same Person 발급 대상자 출입국규제자 당사자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는 외국인 및 필리핀 국적자 An individual attesting to the fact that he/she is not the person listed and/or included in the derogatory database or record 수수료 510페소 - Certificate of Not the Same Person Express Fee: 500페소 - Legal Research Fee: 10페소 구비서류 ① 여권 사본: 바이오 페이지, 최근 필리핀 도착 또는 출발 스탬프가 있는 면 복사 ② 동명이인증명서 발급 신청서(CCS-A-NTSP-2016 Application Form) 이민국 웹사이트를 통해 다운로드 혹은 이민국 본청 23번 창구에서 받아서 작성 가능 ③ 신청자가 작성하고 서명한 진술서(Affidavit of Denial) 동명이인증명서 발급 신청을 위한 진술서는 작성에 지정된 형식이 없으며 간단히 사건명을 언급한 뒤 해당 사건이 본인과 무관함을 밝히면 된다. 공증을 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다. ④ 기타 추가 서류: 제출 대상자일 경우에만 준비 NBI Clearance, 법원허가서(Court Clearance) 등 문의처 필리핀 이민국 본청, Certification and Clearance Section(CCS) Direct Line(s): 5-310-4460 / 내선 번호 110 마닐라 인트라무로스에 있는 필리핀 이민국 본청 위치와 부서별 직통 전화번호 필리핀 NTSP 발급 신청 서류 - 신청서 필리핀 NTSP 발급 신청 서류 - 진술서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이민국: Certification for not the Same Person CCS-A-NSTP-2016 .pdf PDF 다운로드 • 125KB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국제선 이용객 수 제한 관련 노탐(NOTAM)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국제선 이용객 수 제한 관련 노탐(NOTAM)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1년 3월 16일 마닐라의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이하 마닐라공항)의 이용이 좀 더 어려워질 예정이다. 2021년 3월 18일 목요일부터 한 달 동안 마닐라공항 국제선 이용 승객의 숫자가 1일 1,500명으로 제한될 예정이다. 필리핀 민간항공위원회(CAB. Civil Aeronautics Board)에 따르면 승객 수 제한은 인바운드 국제선이 대상이며, 필리핀 이민국의 입국 지침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승객 수용 능력을 줄이겠다는 민간항공위원회(CAB)의 이번 결정에 따라 필리핀항공(PAL)이나 세부퍼시픽 항공사 등에서 국제선 항공편의 일부 취소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마닐라공항 이용 관련 노탐(NOTAM) ■ 기간: 2021년 3월 18일 오전 8시 ~ 2021년 4월 18일 오전 8시 ■ 대상: 마닐라공항 국제선 이용 승객 ■ 내용: 마닐라공항 이용객 수를 일일 최대 1,500명으로 제한 - 인바운드 국제선에 대해 적용: 마닐라공항 도착 승객에게 적용 - 국적과 무관하게 적용: 외국인과 필리핀인과 모두에게 적용됨 ※ 노탐(NOTAM): Notice to Airmen 항공고시보. 항공 시설, 항공 업무, 항공 방식 또는 항공기의 항행상 장애에 관한 사항으로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국가에서 항공 운항 관리자나 항공종사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해야 할 항공정보에 대한 사항을 의미 마닐라공항 터미널3(NAIA Terminal 3)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Philippines limits passenger arrivals from abroad to NAIA · Philippines imposes cap on international arrivals at NAIA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항공권 특가 프로모션: 필리핀항공 77주년 기념 77페소 항공권 특가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항공권 특가 프로모션: 필리핀항공 77주년 기념 77페소 항공권 특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8년 3월 5일 필리핀항공(Philippine Airlines) 아시아에서 최초로 상업비행을 한 항공사는 어디일까? 정답은 필리핀항공(Philippine Airlines)이다. 지난 1941년 2월 26일 필리핀항공이 설립되었다고 하니 오늘로써 꼭 만 77년하고도 7일을 맞이한 셈이다. 그런데 필리핀항공에서 올해 77주년을 맞이하여 77페소와 777페소 항공권 프로모션 이벤트를 한다. 필리핀에 머물면서 다른 곳을 여행하려고 한 이에게는 항공권을 구매할 절호의 기회가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가격이 꽤 괜찮다. 게다가 필리핀 곳곳은 물론 국제선 항공권까지 할인 대상으로 올라와 있다. 세부에서 방콕(BANGKOK)이나 마닐라에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까지 가는 왕복 항공권도 97달러 가격에 나와 있으니 귀가 솔깃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이번 77주년 이벤트는 국제선보다는 국내선 쪽에 집중한 것 같으니, 비자런(visa run) 여행보다는 필리핀 국내 여행에 더 적합한 듯하다. 특히 세부에서 보라카이나 바콜로드, 팔라완 등으로 여행하려고 계획했었다면 편도 77페소이니 망설이지 말고 (여행 날짜만 확실하다면) 결제 버튼을 눌러도 될 것 같다. 77주년 기념 특가 항공권은 필리핀항공 웹사이트에서 오늘부터 3월 11일까지 발권할 수 있다. (주의) "Valid for sales in Philippines only." 이번 필리핀항공 77주년 프로모션은 필리핀에서만 적용되는 이벤트이다. 필리핀항공 78주년 기념 항공권 특가 프로모션 78th Anniversary Sale ■ 필리핀항공 웹사이트: https://www.philippineairlines.com/en/promotions/77thAnniversarySeatSale  ■ 프로모션 기간(발권 가능 기간) : 2018년 3월 5일 ~ 2018년 3월 11일 ■ 탑승기간(여행날짜) - 국내선 : 2018년 5월 1일 ~ 2019년 1월 29일 - 국제선 : 2018년 4월 16일 ~ 2019년 1월 29일 ■ 대상노선 및 항공료 1. 국제선 특가요금 https://www.philippineairlines.com/en/promotions/77thAnniversarySeatSale-intl 2. 국내선 특가요금 https://www.philippineairlines.com/en/promotions/77thAnniversarySeatSale-dom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Philippine Airl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항공통계: 막탄 세부 국제공항은 한 달 이용객 수가 몇 명이나 될까?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항공통계: 막탄 세부 국제공항은 한 달 이용객 수가 몇 명이나 될까?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11월 15일 필리핀 세부의 막탄 세부 국제공항(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필리핀 막탄 세부 국제공항 (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은 한 달 이용객 수가 몇 명이나 될까? 세부공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10월 세부공항의 이용객 수는 약 79만 명 으로 전년 대비 160% 증가했다고 한다. 전체 이용객 수 789,159명 중 217,239명은 국제선 탑승객으로 작년보다 306% 증가했다. 세부공항에서는 연말 연휴 시즌이 되면서 공항 이용객 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막탄 세부 국제공항 이용객 수 - 기간: 2023년 10월 1일 ~ 2023년 10월 31일 (비고) 2022년 10월 기준 공항 이용객 수: 493,962명 여객 전년대비 증감률 국제선 217,239명 +306% 국내선 571,920명 +135% 합계 789,159명 +160% 인천-세부, 부산-세부 노선 이용객 수 - 기간: 2023년 10월 1일 ~ 2023년 10월 31일 - 여객: 출발 승객과 도착 승객 모두 포함 운항 여객 인천공항 - 세부 491편 79,355명 부산 김해국제공항 - 세부 186편 28,592명 합계 677편 107,947명 인천공항 항공여행 운송실적(출처:국토교통부-항공통계) 김해공항 항공통계(출처: 한국공항공사)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Mactan-Cebu International Airport: MCIA BY THE NUMBERS: OCTOBER PASSENGERS HIT 790K ·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 국제선 노선별 통계 2023.10~2023.10 · 국토교통부: 항공통계 - 지역/국가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에서 터미널2를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만드는 이유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에서 터미널2를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만드는 이유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4월 15일 마닐라공항 터미널3(NAIA Terminal 3) 2023년 4월 16일부터 6월 30일 사이 마닐라공항(NAIA)을 이용하게 된다면 항공권 바우처에 적힌 여객터미널 번호를 다시 한번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의 마닐라공항의 터미널을 재배정함에 따라 오는 4월 16일부터 필리핀항공의 일부 노선(싱가포르, 호찌민, 하노이, 프놈펜)이 터미널1에서 운항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마닐라까지 와서 필리핀항공을 타고 싱가포르 등에 가는 일은 많지 않겠지만, 6월 1일 이후 제주항공 인천-마닐라 노선을 탑승할 경우 터미널1이 아닌 터미널3를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왜 마닐라공항에서는 이렇게 항공사별 터미널을 재배정하는 것일까? 마닐라공항 터미널 재배정 NAIA terminal reassignments 마닐라공항의 항공사별 이용 터미널 재배정은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서 STAR 프로그램(Schedule & Terminal Assignment Rationalization program)이라고 부르는 스케줄 및 터미널 할당 합리화 프로그램에 따른 것으로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서는 이미 작년 말에 필리핀항공의 국제선 노선 일부를 터미널1로 옮겨 운항하도록 한 바 있다.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서 마닐라공항의 터미널을 재배정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여객터미널이 최대수용능력을 초과하여 혼잡하게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마닐라공항 여객터미널 적정 수용 능력은 연간 3000만 명. 하지만 코로나 사태 발생 이전만큼 승객이 많지 않았던 지난해에도 마닐라공항의 이용객 수는 3000만 명을 훌쩍 넘어섰다. 이런 상황에서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서 꺼낸 해결책이 바로 마닐라공항 터미널 재배정이다. 마닐라공항의 국제선 및 국내선 이용객 수와 각 터미널의 연간여객처리 용량을 보았을 때 터미널2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만들고, 국제선을 터미널1과 터미널3에서 운항하도록 분산 배치하는 게 가장 적합하다고 본 것이다.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에서는 터미널2를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이용할 수 있도록 터미널을 재배정함으로써 터미널2의 연간여객처리 용량이 연간 750만 명에서 1천만 명으로 현재보다 20~25% 늘어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째서 마닐라공항에서는 터미널2를 국내선 전용 터미널(all-domestic hub)로 만들고자 하는 것일까? 그동안 마닐라공항 터미널2는 필리핀항공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국제선 일부는 터미널1에서 운항하지만, 대부분의 국제선과 국내선은 모두 터미널2에서 운항된다. 그런데 마닐라공항 터미널2는 애초 국내선 공항으로 설계된 터미널 이다.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설계되었기에 국제선 승객을 위한 CIQ 시설 ¹ 이나 공항편의시설이 고려되지 않았다. 만약 터미널2를 국내선 전용 터미널로 사용하게 되면 보안검색대나 출입국사무소 등 출입국관리를 위한 CIQ 시설이나 면세점 등이 필요 없어져서 여객처리용량을 대폭 늘릴 수 있게 된다. 그러니까 마닐라공항에서 국제선 항공편을 터미널1과 터미널3로 배정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국제선 승객을 위한 각종 공항 편의시설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터미널3의 경우 레스토랑은 물론 짐 보관소와 마사지 가게까지 각종 공항 편의시설이 집중되어 있다. 다만 마닐라공항에서는 한꺼번에 터미널을 재배정할 경우 올 수 있는 혼란에 대처하기 위해 이 모든 과정을 4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탑승·도착 수속 과정을 좀 더 원활하게 만들기 위해 터미널3에 이민국 카운터 등 출입국 관리를 위한 시설을 확장할 예정이다. 새로 마련된 출입국심사대에는 터미널2의 CIQ 시설에서 근무하던 인력이 배치된다. ¹ CIQ 시설: 출·입국 관리를 위한 Customs(세관), Immigration(출입국관리), Quarantine(검역)을 위한 시설을 의미 마닐라공항 터미널3(NAIA Terminal 3)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MIAA : MIAA SET TO CONTINUE NAIA NEW TERMINAL ASSIGNMENTS IN APRIL ·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 MIAA set to make NAIA T2 into all domestic facility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한류: 마닐라에서 한국 화장품 구매하기 - 토니모리(TONYMOLY)

    필리핀 한류 열풍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한류 열풍 필리핀 한류: 마닐라에서 한국 화장품 구매하기 - 토니모리(TONYMOLY)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7년 11월 11일 "멋지다" 뜻을 가진 영어 단어 'TONY'와 "box something"는 뜻을 가진 일본어 'MOLY'에서 이름을 따왔다는 토니모리(TONYMOLY)는 특이하게도 화장품 용기를 만들던 태성산업이 만든 브랜드이다. 화장품 용기 전문 제조사가 만든 브랜드답게 화장품 용기가 꽤 독특하고 예쁜 편인데, 홍콩, 대만, 중국 등 아시아 국가를 비롯한 전 세계 30여 개 국가에 매장을 가지고 있다. 필리핀에는 2011년 4월 마닐라에 처음 1호점을 냈는데, 페이스북을 통한 SNS 소통과 멤버십 카드 운영 등의 방법으로 입지를 다지면서 착실하게 매장 수를 늘려나갔다. 2017년 11월 현재 25여 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토니모리 필리핀(TONYMOLY Philippines)에서 운영하는 회원카드를 발급받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부티크(BOUTIQUES) 매장에서 500페소 이상만 구매하면 바로 회원카드를 받을 수 있다. 회원카드는 토니모리 홈페이지( http://www.tonymoly.ph )를 통해 등록하게 되어 있으며, 카드 소지 시 제품 구매 때마다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 4,900원인 "쁘띠 바니 글로스 바"의 경우 필리핀에서 정가는 248페소(한국 돈으로 약 5,418원)이지만, 회원카드를 사용하여 할인을 받으면 한국 판매가보다 가격이 저렴해진다. 화장품 가격 UV MAXIMUM SUN BLOCK 898페소 EASY TOUCH AUTO EYEBROW 228페소 DELIGHT CIRCLE LENS MASCARA 178페소 온라인쇼핑 가능한 곳 https://www.lazada.com.ph https://beautymnl.com/brands/tony-moly https://www.zalora.com.ph/tony-moly/ https://iprice.ph/tonymoly/ 토니모리 필리핀 매장 위치 (부티크 매장) 1. EASTWOOD (2nd Floor Eastwood Citywalk 2) 2. SM MEGAMALL (Ground Floor, Bldg. A, Near SM Supermarket) 3. SM NORTH EDSA (2nd Floor Main Bldg. beside J Co.) 4. SM MANILA (Upper Ground Floor beside Papemelroti and Bear Cuddler) 5.ALABANG TOWN CENTER (Ground Floor, Near Cinema Entrance) 6. FESTIVAL MALL (Level 2) 7. LUCKY CHINA TOWN (Ground Floor of Lucky Chinatown near Adidas and My Diamond) 8. SM SEASIDE CITY CEBU (SM SEASIDE CITY Atrium) 9. SM Mall Of Asia (2ND FLOOR ENTERTAINMENT MALL) 10. Trinoma (Level 1) 11. Cash and Carry (Ground Floor) 12. Glorietta 2 (Second Floor) 13. SM BACOLOD (백화점 매장) 1. SM NORTH DEPT. STORE (Ground Floor) 2. LANDMARK DEPARTMENT STORE-Makati (Ground Floor) 3. SM MALL OF ASIA DEPT. STORE (Ground Floor) 4. SM MAKATI DEPT. STORE (Ground Floor) 5. SM MEGAMALL DEPT. STORE (Ground Floor Bldg. B) 6. SM CUBAO DEPT. STORE (Ground Floor) 7. SM SOUTHMALL DEPT. STORE (Ground Floor) 8. VIRRA MALL (Ground Floor) 9. SM BACOOR DEPT. STORE (Ground Floor) 10. SM AURA DEPT. STORE (Upper Ground Flr.) 11. SM CEBU DEPT. STORE (Ground Floor) 12. SM SEASIDE CEBU DEPT. STOR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항공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180억 페소의 항공권 환불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항공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180억 페소의 항공권 환불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1년 3월 21일 Philippine Airlines Head Office. 파사이 HK선플라자와 세계무역센터 사이에 있다. 필리핀의 국책항공사인 필리핀항공(PAL)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발생한 항공권 환불 요청에 대한 작업을 90% 이상 마무리 했다고 한다. 지난 3월 이후 항공편 취소로 인해 발생한 환불금은 약 18빌리언 페소. 필리핀항공의 공지문에 따르면 환불해야만 하는 돈 180억 페소(한화 약 4,183억 원) 중 178억 페소 정도에 대한 환불 작업을 완료했다고 한다. 이렇게까지 많은 환불금이 발생한 것은 코로나19로 인해 78,000편 이상의 항공편 운항이 취소되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도 필리핀항공에서는 국내선 및 국내선 노선에 대해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전의 25% 정도만을 운항하고 있을 뿐이다. 항공권 환불만을 기다렸을 고객 입장에서야 답답한 노릇이지만, 코로나19로 오프라인 사무실 운영이 어려웠을 것을 고려해보면 비교적 빠른 처리이다. 그나마 이렇게 90%를 처리하게 된 것도 온라인을 통하여 환불 신청을 받았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필리핀항공에서 '마이팔 리퀘스트 허브(myPAL Request Hub)'라는 이름으로 항공권 처리 전용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항공권의 재예약 및 환불, 여행바우처로의 전환 등을 신청받고 있다. "손 대지 마시오" 안내문이 참 인상적이었던 필리핀항공의 공항버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항공(Philippine Airlines) · 더 필리핀 스타(The Philippine Star): PAL refund requests hit almost P18 billio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PC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콘텐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이에 대한 무단배포 및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글, 사진, 영상 등 콘텐츠의 내용을 사전 동의 없이 재편집하여 사용하거나, 출처 없이 필인러브의 콘텐츠를 무단 스크랩하여 사용하실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 Copyright 2025.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