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정치:필리핀 최대의 미디어 기업인 ABS-CBN 방송사는 왜 문을 닫을까?

    ​필리핀 정치·법률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정치·법률 필리핀 정치:필리핀 최대의 미디어 기업인 ABS-CBN 방송사는 왜 문을 닫을까?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7월 26일 필리핀 ABS-CBN 필리핀 최대 방송사 필리핀 최대의 엔터테인먼트 그룹 필리핀의 거대 미디어 기업 이 거창한 설명은 모두 필리핀 ABS-CBN 그룹을 표현하는 수식어이다. ABS-CBN 방송사는 필리핀 전국에 25개의 직영국, 38개의 중계국, 8개의 제휴 방송국을 운영하던 필리핀 최대 민영 미디어 그룹이다. 8천만 명이 넘는 필리핀인이 보고 있다는 방송사답게 뉴스와 예능과 드라마 등 다양한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방영하는데 한국 드라마도 많이 방영한다. 지난 2019년 걸그룹 모모랜드가 필리핀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매니지먼트 협약을 맺은 방송사이기도 하다. 그런데 최근 필리핀 뉴스에 ABS-CBN 방송사에 대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온 것은 두테르테 대통령과의 불화 때문이다. 두테르테 대통령과의 불화 두테르테 대통령은 2016년 대선을 치를 때부터 ABS-CBN이 편파적인 방송을 한다면서 불만을 나타내왔다. 그 불만은 대통령이 당선된 후 더 강하게 표출되었다. 대선 기간 중 ABS-CBN가 자신의 선거 운동 광고를 게재하는 것을 거부했다는 이유였다.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자신이 펼치는 마약과의 전쟁에 비판적인 보도를 한다면서 ABS-CBN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나타냈는데, 방송 관련 사업권을 연장해주지 않고 문을 닫게 해버리겠다는 식의 이야기를 공공연하게 하기도 했다. "의회(하원)에서 이 문제에 대해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면서도 "나 같으면 방송사를 팔아버릴 것"이란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그리고 지난 2월, 호세 칼리다 법무차관이 대법원에 ABS-CBN의 방송 사업권 취소 청원서를 제출했다. 호세 칼리다 법무차관은 청원서를 낸 이유에 대해 "모든 미디어 회사가 100% 필리핀 소유여야만 하는데, 외국인 투자를 받았으니 언론사의 외국인 소유를 금지하는 법을 위반한 것이다"라면서 취소 청원에 정치적 목적은 없다고 밝혔다. ABS-CBN 방송사에서 세금을 덜 냈다거나 노동 기준을 준수하지 않아서 그랬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왔지만, 두테르테 대통령이 필리핀 최대 방송사인 ABS-CBN을 눈엣가시처럼 여기는 것은 모두가 아는 이야기였다. 필리핀 의회와 방송 사업권 미국 식민지 시대였던 1931년에 만들어진 공화국 법(Radio Control Act /1963년 개정)에 따르면, 방송 네트워크(broadcasting network)에서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국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의회의 프랜차이즈 사업권 승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방송 사업권은 보통 25년 지속한다.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ABS-CBN은 강제로 방송국 문을 닫아야 했다. 1986년, ABS-CBN은 마르코스 대통령이 물러간 뒤에야 다시 방송을 시작했다. 1995년 3월 30일, ABS-CBN에서는 필리핀 방송법(공화국법 No. 7966)에 따라 25년간 유효한 방송면허를 발부받았다. 하지만 2020년 5월 4일에 만료되는 프랜차이즈 라이센스(franchise license)에 대한 연장(리뉴얼)은 쉽지 않았다. 필리핀에서는 방송 사업권 허가와 갱신 등의 권한을 하원 독점사업권위원회에서 갖고 있기 때문이다. ABS-CBN 방송사는 지난해 중순부터 진작 의회에 방송 사업권 갱신을 요청했지만, 이 요청은 계속 의회에 계류 상태로 남아 있었다. 지난해 총선을 거치면서 두테르테 대통령 지지 세력이 의회를 장악하고 있는 판국이라 ABS-CBN에 대한 것이 빠르게 처리되지 못한 것이다. 그런 와중에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했다. 유엔이 정한 세계 언론 자유의 날(5월 3일)이 고작 이틀 지난 뒤, 5월 5일 필리핀 국가통신위원회(NTC)는 사업허가 기간이 만료됐다는 이유는 이유로 ABS-CBN에 TV와 라디오 방송을 모두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이날 ABS-CBN에서는 성명을 통해 NTC 명령에 따라 5일 밤 방송을 중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NTC 명령의 적용을 받지 않는 케이블 뉴스 채널 ANC는 계속 방송될 예정이라면서 TV와 라디오가 아니라 유튜브와 페이스북을 통해 프로그램을 계속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언론의 자유에 대한 공격 코로나19 확진자가 만 명을 넘어서며 많은 뉴스가 쏟아져 나올 때였다. 이런 와중에 가장 규모가 큰 방송국이 문을 닫게 생겼으니, 화제가 될 수밖에 없었다. 언론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공격이라는 이야기가 비난이 쏟아졌고, 필리핀 전국언론인연합회(NUJP)도 "두테르테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악랄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레니 로브레도 부통령까지 코로나19가 유행하고 있는 위기 상황에서 시기적절한 정보 제공이 국민의 생명을 구한다며, 지금 ABS-CBN에 대한 운영 중단 명령을 내린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발언했다. 하지만 두테르테 대통령이 ABS-CBN 퇴출 결정과 무관하다고 생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코로나19로 대규모의 모임이 금지되어 있었지만, 방송사의 직원들과 지지자들은 방송국 앞에서 몰려 농성을 시작했다. 주민 발의안을 내기 위해 7백만 명을 대상으로 한 서명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리고 ABS-CBN의 지상파 방송 운영 중단 문제로 떠들썩한 사이, 아우로라(Aurora)와 소르소곤(Sorsogon) 등과 같이 지방에 사는 주민들이 태풍 암보(Ambo)에 대한 뉴스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이야기도 흘러나왔다. 인터넷이 되지 않는 외진 지역이라 유일하게 시청할 수 있는 TV채널이 ABS-CBN이었는데, 방송이 중단되면서 일기예보도 볼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말라카냥 대통령궁은 ABS-CBN 방송사 문제가 두테르테 대통령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을 부인했다. 해리 로케(Harry Roque) 대통령 대변인은 "방송국 사업권 갱신에 대한 문제는 의회에서 결정하는 것이다. ABS-CBN 측이 법적인 해결을 모색하는 것은 자유이며, 방송권 철회에 대해 가능한 모든 법적 구제책을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인터뷰로 의혹을 일축해 버렸다. 5월 13일, ABS-CBN에 올해 10월 31일까지 임시 방송 사업권을 허가하는 법안이 하원에서 2차 독회를 통과했다. 하지만 필리핀에서 법안이 통과되려면 3차에 걸친 독회를 거쳐야 한다. 상원까지 법안이 통과되면,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야 정식 법률로 공포되는 식이다. 그런데 ABS-CBN의 방송 사업권 갱신 문제가 상원도 무난히 통과할 것이란 예상은 빗나갔다. 하원에서 법안을 철회하고 ABS-CBN에 방송 사업권을 다시 부여하는 법안에 대한 공청회부터 열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지난 2020년 7월 10일, 하원 위원회는 ABS-CBN의 프랜차이즈 사업권의 갱신을 거부했다. 하원에서는 ABS-CBN가 방송 사업권에 대한 약관을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필리핀에서 라디오와 방송국을 운영 유지할 사업권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하면서 이 문제가 언론의 자유와 무관하다고 밝혔다. 알린 브로사스(Arlene Brosas) 하원 의원이 하원위원회가 ABS-CBN에만 엄격한 기준을 부과한 것이 분명하다며 지적했지만, 결정을 번복하기는 역부족이었다. ABS-CBN의 방송 중단이 결정된 지금 ABS-CBN은 2020년 8월 31일까지 사업을 접고 직원을 해고해야 한다. ABS-CBN에서는 얼마나 많은 인원이 해고될 것인지에 대한 수치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11,000명이 넘는 직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필리핀의 여론조사 기관인 소셜 웨더 스테이션(SWS-Social Weather Stations)의 2020년 7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명 중 3명은 의회가 ABS-CBN의 방송 프랜차이즈를 갱신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필리핀 딸락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House plenary vote on ABS-CBN franchise sought https://news.abs-cbn.com/news/07/25/20/house-plenary-vote-on-abs-cbn-franchise-sought · 13,000 back ‘people’s franchise’ for ABS-CBN https://newsinfo.inquirer.net/1312019/13000-back-peoples-franchise-for-abs-cbn · Group launches people’s initiative for ABS-CBN franchise https://rappler.com/nation/group-launches-people-initiative-abs-cbn-franchise · House committee denies ABS-CBN a new franchise https://news.abs-cbn.com/news/07/10/20/house-committee-denies-abs-cbn-a-new-franchise · ABS-CBN to lay off workers end of August https://news.abs-cbn.com/business/07/15/20/abs-cbn-to-lay-off-workers-end-of-august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클락: 클락국제공항 공항세, 항공료와 함께 결제하는 것으로 징수 방식 변경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클락: 클락국제공항 공항세, 항공료와 함께 결제하는 것으로 징수 방식 변경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11월 17일 내년부터는 클락국제공항(이하 클락공항)을 이용하면서 공항세(Terminal Fee)를 내기 위해 페소를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클락공항의 공항세 징수 방식이 항공사 대리 징수 방식으로 변경된다. 공항에서 직접 공항세를 받지 않고 항공사를 통해 공항세를 받겠다는 것이다. 클락공항을 운영하는 LIPAD의 발표에 따르면 앞으로 클락공항의 공항세를 항공 요금에 포함해 받겠다고 한다. 이미 클락공항을 이용하는 17개의 항공사가 클락공항과의 MOA(이행협약-Memorandum of Agreement)에 서명한 상태로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현재 클락국제공항(CRK)은 LIPAD(Luzon International Premier Airport Development Corp)에서 운영하고 있다. LIPAD에서는 2018년 12월에 열린 공개 입찰에서 공항 운영 및 관리 권한을 획득하고, 2019년 8월 16일에 공식적으로 공항 운영 권한을 넘겨받았다. LIPAD에서 공항 운영을 맡게 되었을 당시 클락공항은 총 17개 항공사에서 매주 734편의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었는데,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12개나 되는 국제선 노선이 운항하기도 했었다. 터미널 규모와 비교해 이용객 수가 많아서 시설이나 서비스가 열악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웠으니 새로운 운영 업체에 대한 기대가 컸다. 당시 계약에 따르면 LIPAD에서는 클락공항에 대해 25년 동안의 운영권뿐만 아니라 공항 시설 유지 및 새로운 터미널의 건설까지 포괄적으로 권한을 넘겨받았다. LIPAD에서는 새로 공항 운영을 맡으면서 공항 로고를 새로 바꾸고 공항 서비스를 개선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공항세를 항공권 비용에 통합하겠다는 것이었다. 공항세를 공항에서 받게 됨으로써 그렇지 않아도 좁은 공항 터미널이 더욱더 붐빈다는 지적이 있었던 것이다. 공항세(Terminal Fee)는 공항의 시설 운용 및 개선 등을 위해 사용되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공항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징수하는 요금이다. 공항 시설 이용에 대한 비용이라서 공항세는 공항을 이용하는 만 2세 이상의 승객이라면 누구나 내게 되어 있다. 항공권을 살 때 내느냐, 공항에서 내느냐 지불 시점이 언제인가만 다를 뿐이다. 인천공항을 비롯하여 전 세계 대부분 공항에서는 승객에게 항공권을 구매할 때 공항세를 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항공권을 살 때 공항세를 내게 되면 무엇이 좋을까? 승객 입장에서 보면 공항에 가면서 따로 공항세로 쓸 돈을 따로 준비해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진다. 그뿐인가. 공항세를 내기 위해 줄을 설 필요가 없어지는 것만으로도 공항 출국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든다. 공항 직원이 항공권(보딩패스)에 영수증을 붙여주기를 기다리느냐고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공항 입장에서도 공항 운영을 위한 경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 공항세 징수를 위한 공간 운영비에서부터 인건비까지 여러모로 경비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클락공항에서 발행한 공항세 납부 영수증 필리핀 클락공항 공항세 징수 방식 변경 ■ 시행일: 2021년 1월 1일부터 적용 ■ 주요 변경 사항 - 변경 전: 공항에서 공항세 납부 - 변경 후: 항공권 발권 단계에서 항공 요금과 함께 납부 ■ 비고 - 공항세의 납부 시점이 바뀌는 것일 뿐 공항세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 아님 - 공항세 징수 방식이 변경된다고 해도 공항세를 포함하지 않은 항공권을 구매해 두었다면 공항에서 공항세를 내야 함 필리핀 클락공항 클락국제공항은 내년에 여객터미널을 새로운 건물로 옮길 예정이다. 건물 외부 공사가 이미 완료된 상태라서 내년 1월 정도 이사 예정이다. 터미널 내부 공항 터미널은 좁은데 이용객은 많으니, 공항세(Terminal Fee)를 내기 위해 길게 줄을 서야만 했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Clark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Fee to be Included in Cost of Air Ticket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보니파시오 SM아우라에 있는 필리핀 이민국 사무실에서는 10분이면 애뉴얼 리포트 끝!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보니파시오 SM아우라에 있는 필리핀 이민국 사무실에서는 10분이면 애뉴얼 리포트 끝!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2월 17일 애뉴얼 리포트 비용은 310페소이다. Annual Report(AR) Fee 300페소에 Legal Research Fee(LRF) 10페소가 더해진 금액이다. 외국인등록증(ACR I-Card)을 가지고 필리핀 생활 중이라면 매년 초 필리핀 이민국(Bureau of Immigration)에 가서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애뉴얼 리포트(ANNUAL REPORT)이다. 연례보고서 또는 연차보고서라고 불리는 애뉴얼 리포트는 필리핀에 거주 중인 외국인이 이민국에 자신이 정상적인 비자 소지자로서 필리핀에 문제없이 체류하고 있음을 보고하는 것이다. 외국인등록법(Alien Registration Act of 1950)에 따라 필리핀에 거주 중인 외국인은 매년 초마다 60일 이내에 애뉴얼 리포트를 해야 하며, 기간이 지나면 매달 200페소의 벌금이 부과된다. 참고로 관광비자나 은퇴비자(SRRV)는 애뉴얼 리포트 대상이 아니다. 그런데 메트로 마닐라에서는 어디로 가면 좀 더 쉽게 애뉴얼 리포트를 처리할 수 있을까? 인트라무로스에 있는 필리핀 이민국 본청(Bureau of Immigration Head Office)에서는 현재 애뉴얼 리포트 신고를 위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통해 방문 날짜를 예약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온라인 예약 과정이 번거롭다면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근처에 있는 SM아우라 이민국 사무실을 방문하면 된다. 그 어떤 곳보다 사무실이 쾌적한 데다가 직원도 친절하고, 무엇보다 업무 속도가 상당히 빠른 편이다. 여권과 함께 ACR 아이카드(ACR I-Card), 그리고 310페소를 준비해서 방문하면 된다. 올해 애뉴얼 리포트 마감일은 2022년 3월 1일이다. SM아우라 이민국 사무실 SM AURA IMMIGRATION SATELLITE OFFICE ■ 전화번호: (02) 800 4892 ■ 주소: 8th Floor, SM Aura Office Tower, 26th Street corner McKinley Parkway, The Fort, Taguig City ■ 위치: 마닐라 타귁시티, SM아우라 오피스 타워(SM Aura Office Tower) 건물 8층 보니파시오 SM아우라 쇼핑몰(SM Aura Premier) 이민국 사무실로 가려면 마켓마켓(Market! Market!) 쇼핑몰 쪽으로 신호등이 있는 사거리 입구가 아니라 주차장 쪽에 있는 길쭉한 건물로 들어가야 한다. SM아우라 오피스 타워(SM Aura Office Tower) 건물 안에는 엘리베이터가 여러 개이다. 그중에서 복도 가장 끝쪽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8층으로 올라갈 수 있다. SM아우라 이민국 사무실 SM아우라 이민국 사무실 내부 SM아우라 이민국 사무실 내부 오전에 가면 상당히 한가한 편이다. SM Aura Immigration Satellite Office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Bureau of Immigration Philippines: SM Aura Immigration Satellite Offic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날씨: 열대성 저기압 오펠(OFEL) 때문에 내일 오전까지 비 소식

    필리핀 날씨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날씨 필리핀 날씨: 열대성 저기압 오펠(OFEL) 때문에 내일 오전까지 비 소식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10월 14일 열대성 저기압 오펠(TROPICAL DEPRESSION OFEL)이 지금 마닐라에서 생활 중인데 비가 내려서 빨래가 걱정이라면 내일로 미루면 될 것 같다. 지금 마닐라에 비를 내리고 있는 열대성 저기압은 내일 오전이면 필리핀을 지나갈 예정이다. 필리핀 기상청에 따르면 오늘 오전 2시 30분에 열대성 저기압 오펠(TROPICAL DEPRESSION OFEL)이 사말섬 쪽에 상륙했다고 한다. 오펠은 최대 풍속45km~55km(Kph)의 태풍으로 현재 북서쪽으로 이동 중이다. 많은 비를 동반한 이 열대성 저기압의 이름은 오펠(OFEL)로 내일(10월 15일) 아침까지 필리핀 비콜 지역을 비롯하여 칼라바르존, 마린두케, 민도로 지방 등에 강한 비를 가져올 예정이다. 메트로 마닐라 지역에도 강하지는 않지만 비가 내릴 예정이다. 오펠은 필리핀에 근접한 해상에서 생성된 덕분에 큰 태풍으로 발달하기 전에 필리핀을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 기상청의 안내에 따르면, 내일 아침 민도로의 Calapan City 서쪽 290km 지점(13.2°N, 118.5°E)을 지나 금요일 오전이면 남부 루손 서쪽 735km(13.6°N, 114.4°E)으로 물러날 전망이다. 열대성 저기압 오펠(TROPICAL DEPRESSION OFEL)이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기상청(PAGASA) - Tropical Depression "Ofel" http://bagong.pagasa.dost.gov.ph/tropical-cyclone/severe-weather-bulletin/2 https://www.facebook.com/PAGASA.DOST.GOV.PH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인천공항 취항 항공사의 고객센터 연락처 및 공항 사무실 전화번호 목록 - 2023년 기준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인천공항 취항 항공사의 고객센터 연락처 및 공항 사무실 전화번호 목록 - 2023년 기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5월 9일 인천국제공항(Incheon Airport) 긴급한 일로 항공사 고객센터와 통화를 하고 싶은데 대표연락처나 고객센터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이 어렵다면 인천공항에 있는 항공사 사무실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다만 공항사무실의 경우 근무 시간 내에만 운영되며, 항공기 스케줄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근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항공사에 따라 다르지만, 항공기 탑승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만 안내할 뿐 개인 예약 사항을 변경하는 등의 업무는 보지 않는 경우도 많다. 2023년 현재 인천공항 취항 항공사의 공항 사무실 전화번호 목록은 아래와 같다. 1. 국내 항공사(대한민국 국적기) 항공사명 대표연락처 공항사무실 전화번호 대한항공 1588-2001 1588-2001 아시아나항공 1588-8000 032-744-2000 에어부산 1566-3060 032-743-3385 에어서울 1800-8100 032-744-6532 에어인천 032-719-7890 032-719-7890 에어프레미아 1800-2626 - 제주항공 1599-1500 070-7420-1701 진에어 1600-6200 032-743-1504 티웨이항공 1688-8686 1688-8686 2. 외국항공사(외항사) 국적 항공사명 대표연락처 공항사무실 전화번호 네덜란드 KLM네덜란드항공 02-6105-4037 02-6105-4037 뉴질랜드 에어 뉴질랜드 02-737-4025 032-743-4015 대만 에바항공 032-744-3512 032-744-3512 대만 중화항공 032-743-1513 032-743-1513 독일 루프트한자 독일항공 02-6022-4228 070-8686-2560 독일 에어로로직 032-744-0884 032-744-0884 라오스 라오항공 02-6262-0808 032-743-5018 룩셈부르크 카고룩스항공 02-2663-8200 032-744-371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항공 02-3483-4849 032-743-0883 말레이시아 에어아시아엑스 050-4092-00525 032-743-4333 몽골 몽골항공 02-756-9761 02-756-9761 미국 델타항공 0079-8651-7538 02-317-5535 미국 아메리칸항공 02-6438-9008 02-6438-9008 미국 아틀라스항공 02-752-6310 032-743-5220,3 미국 유나이티드항공 02-751-0300 032-744-6666 미국 유피에스항공 1588-6886 032-744-3000, 3041 미국 칼리타항공 02-775-2333~4 032-744-0888 미국 폴라에어카고 02-3211-3185 032-744-4215 미국 하와이안 항공 02-775-5552 032-743-7483, 7490 미국 FedEX항공 080-023-8000 032-744-6114, 6230 미얀마 미얀마국제항공 02-319-7676 032-743-7985~6 베트남 뱀부 항공 02-6328-1166 032-743-2537 베트남 베트남항공 1577-9908 1577-9908 베트남 비엣젯항공 032-743-0370 032-743-0370 브루나이 로얄브루나이항공 02-777-7556 032-743-6935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항공 02-755-5505 032-743-4195 싱가포르 스쿠트타이거항공 023-483-5423 - 싱가포르 싱가포르항공 070-7914-6101 070-7914-6101 아랍에미리트 에미레이트항공 02-2022-8400 032-743-8100 아랍에미리트 에티하드 항공 02-3483-4888 02-3483-4888 아제르바이잔 실크웨이웨스트항공 02-779-8864 02-779-8864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항공 02-733-0325 032-743-5704 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항공 02-777-6871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항공 02-754-1041 02-754-1041 이탈리아 카고룩스 이탈리아 항공 02-2663-8200 032-744-3711 인도 에어인디아 리미티드 02-752-6310 032-743-0321 인도네시아 가루다인도네시아 02-773-2092 032-744-1990 일본 전일본공수 주식회사 02-2096-5500 - 일본 집에어 02-3789-4142 02-3789-4142 일본 피치항공 02-2023-6764 032-743-5699 중국 길상항공 051-463-0093 051-463-0093 중국 사천항공 -17718 032-743-5211 중국 산동항공 032-743-8202 032-743-8202 중국 상하이항공 1661-2600 032-744-3780 중국 샤먼항공 02-3455-1666 02-3455-1666 중국 심천항공 0086-755-8881-4023 032-744-3258 중국 에어마카오 02-779-8899 032-743-8999 중국 에어홍콩 032-744-6766 032-744-6766 중국 중국국제항공 001-80086-100-999 032-744-3258 중국 중국남방항공 1899-5539 032-743-3455 중국 중국동방항공 1661-2600 032-744-3780 중국 중국우정항공 032-744-4785 032-744-4785 중국 중국해남항공 02-779-0600 - 중국 중국화물항공 02-518-0330 032-744-3793 중국 천진항공 -95274 02-772-5440 중국 천진항공화물 - - 중국 청도항공 051-463-0093 051-463-0093 중국 춘추항공 032-743-6990 032-743-6990 중국 캐세이퍼시픽항공 1644-8003 032-744-6777 중국 홍콩익스프레스 007-988-523-8014 007-988-523-8014 중국 홍콩항공 032-743-1012 032-743-1012 카자흐스탄 에어 아스타나 02-3788-9170 032-743-2620 카타르 카타르항공 032-744-3370 032-744-3370 캄보디아 스카이 앙코르 항공 02-752-2633 02-752-2633 캐나다 캐나다항공 1670-8014 032-744-0898~9 태국 타이에어아시아엑스 050-4092-00525 032-743-4333 태국 타이항공 02-3707-0114 032-744-3571 터키 터키항공 02-6022-4270 032-744-3737 폴란드 폴란드항공 1670-4270 032-743-9798 프랑스 에어 프랑스 02-6105-4038 02-6105-4038 핀란드 핀에어 02-730-0067 02-730-0067 필리핀 세부퍼시픽항공 02-6105-2037 02-6105-2037 필리핀 필리핀 에어아시아 050-4092-00525 032-743-5015 필리핀 필리핀항공 1544-1717 032-744-3720 홍콩 그레이터베이항공 02-755-7564 02-755-7564 인천공항 터미널별 항공사 이용 안내문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제1여객터미널의 경우 2층에 항공사 사무실이 자리 잡고 있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인천공항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주필리핀대사관의 통역인 명단 등재 희망자 모집 공고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주필리핀대사관의 통역인 명단 등재 희망자 모집 공고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2월 4일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필리핀 생활 중 통역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어떻게 하면 될까? 주변에 영어나 타갈로그를 잘하는 사람이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이하 주필리핀대사관)으로 연락하여 통역인 연락처를 안내받을 수 있다.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통역인 명단 등재 희망자 모집 공고 주필리핀대사관 에서는 재외국민의 안전한 국외 거주·체류 및 방문을 도모하기 위해 재외국민이 통역 서비스를 필요할 때 통역인 명단을 제공하고 있다. 통역인으로 활동하고자 한다면 이력서와 학력증명서 등을 제출하여 지정 기간 중에 통역인 명단 등재 신청을 하면 된다. 제출 기한 2022년 2월 20일(일) 제출 서류 ① 통역인 명단 등재 희망자 이력서 1부 ② 최종 학력 증명서(졸업ᐧ재학증명서 / 제출 필수) ③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자필 서명 후 제출 필수) ④ 기타 관련 증빙서류(어학, 경력 증명 등 / 제출 권장) - 지원서 다운로드 :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통역인 명단」 등재 희망자 모집 공고 제출 방법 전자우편 제출 제출처/문의처 thjeong90@mofa.go.kr 관련 유의사항 - 통역인 명단은 재외국민이 요청하는 경우 영사조력 차원의 편의 제공을 위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일 뿐, 통역인 명단에 등재된 분들을 대상으로 대사관의 승인, 보증, 자격인증 등과는 전혀 무관함. - 명단을 제공받은 재외국민과 통역인 사이에 발생하는 계약사항(금액, 서비스 등)은 당사자간 사적인 계약 관계를 형성할 뿐 대사관은 어떠한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 필리핀 마닐라 타귁시티 타귁의 맥킨리힐 통역인 명단 등재 희망자 이력서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통역인 명단」 등재 희망자 모집 공고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사진] 필리핀 축제: 민다나오 코타바토시티 Samaya Float

    필리핀 축제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축제 [사진] 필리핀 축제: 민다나오 코타바토시티 Samaya Float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7년 4월 22일 Samaya Float, Cotabato City - 축제장소: 필리핀 민다나오, 코타바토 시티(Cotabato City) - 촬영장소: 필리핀 마닐라 알리완 축제(Aliwan Fiesta 2017) - 촬영날짜: 2017년 4월 22일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입국 시 출국 항공권 필수! 하지만 전자항공권(이티켓)의 인쇄는 불필요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입국 시 출국 항공권 필수! 하지만 전자항공권(이티켓)의 인쇄는 불필요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10월 3일 Q. 필리핀 입국 시 종이로 된 항공권 바우처가 필요한가요? A. 전자 항공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이로 인쇄할 필요는 없습니다. 현재 필리핀 정부에서는 필리핀 입국 시 관광비자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리핀에서 출국하는 항공권을 준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필리핀 입국을 위해서는 왕복항공권이나 제3국으로 가는 항공권으로 준비해야 한다. 하지만 항공권 바우처(이티켓)를 종이에 인쇄할 필요는 없다. 이와 관련하여 필리핀 이민국에서는 이미 지난 2013년부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전자항공권(이티켓)을 제시 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변경한 바 있다. 아래는 이와 관련한 이민국의 시행령(OPERATIONS ORDER NO. SBM-2013-003)이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이민국(Bureau of Immigration): OPERATIONS ORDER NO. SBM-2013-003 OPERATIONS ORDER NO. SBM-2013-003 .pdf PDF 다운로드 • 7KB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행정구역: 필리핀에서 가장 먼저 시(City)가 된 곳은? - 시티 승격일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행정구역: 필리핀에서 가장 먼저 시(City)가 된 곳은? - 시티 승격일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30일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시청 필리핀에서 구(Municipality)가 시(City)로 승격하기는 쉽지 않다. 인구와 면적, 연간 세입 등에 대 일정 조건을 갖춘 뒤에도 선거관리위원회(COMELEC)가 실시하는 지역 투표에서 과반수의 찬성을 얻어야만 시(City)로 승격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시티(City)는 어디일까? 필리핀에서 가장 먼저 시티라는 칭호를 가지게 된 곳은 마닐라 시티(Manila City) 이다. 필리핀의 수도인 마닐라 시티는 무려 1901년에 시티(City)라는 이름을 얻었다. 두 번째로 오래된 도시는 루손섬 북쪽에 있는 교육의 도시 바기오(Baguio City) 이다. 바기오가 시가 된 1909년 당시는 필리핀이 미국의 식민지였던 시기로 미국인들은 무더운 여름이면 시원한 기후를 찾아 바기오로 행정기관의 자리를 옮겼다고 한다. 덕분에 바기오는 "필리핀의 여름 수도(Summer Capital of the Philippines)"라는 애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최근 시로 승격된 도시(New City) 필리핀 통계청(PSA) 자료에 따르면 가장 최근에 시로 승격된 곳은 카비테의 카르모나 시티(City of Carmona)이다. - City of Sto. Tomas, Batangas: 2019년 9월 7일 시(City)로 승격 - City of Calaca, Batangas: 2022년 9월 3일 시(City)로 승격 - City of Baliwag, Bulacan: 2022년 12월 17일 시(City)로 승격 - City of Carmona, Cavite : 2023년 7월 8일 시(City)로 승격 필리핀 앙헬레스 시티(Angeles City) 시티(City)로 승격한 날짜 2024년 8월 현재 필리핀에는 149개의 시(City)가 있다. 시(City) Charter 승인(Date of Approval) 비준(Date of Ratification) 1 마닐라(Manila City) Act 0183 1901년 7월 31일 1901년 7월 31일 2 바기오(Baguio City) Act 1963 1909년 9월 1일 1909년 9월 1일 3 잠보앙가(Zamboanga City) CA 039 1936년 10월 12일 1937년 2월 26일 4 다바오(Davao City) CA 051 1936년 10월 16일 1937년 3월 1일 5 일로일로(Iloilo City) CA 057 1936년 10월 20일 1937년 8월 25일 6 세부(Cebu City) CA 058 1936년 10월 20일 1937년 2월 4일 7 바콜로드(Bacolod) CA 326 1938년 6월 18일 1938년 10월 19일 8 따가이따이(Tagaytay) CA 338 1938년 6월 21일 1938년 6월 21일 9 퀘존(Quezon City) CA 502 1939년 10월 12일 1939년 10월 12일 10 산파블로(San Pablo) CA 520 1940년 5월 7일 1941년 3월 30일 11 카비테(Cavite City) CA 547 1940년 5월 26일 1940년 5월 26일 12 마라위(Marawi) CA 592 1940년 8월 19일 1950년 9월 30일 13 다구판(Dagupan) RA 00170 1947년 6월 20일 1947년 6월 20일 14 니파(Lipa) RA 00162 1947년 6월 20일 1947년 6월 20일 15 오르모크(Ormoc) RA 00179 1947년 6월 21일 1947년 10월 20일 16 파사이(Pasay City) RA 00183 1947년 6월 21일 1947년 8월 16일 17 Naga RA 00305 1948년 6월 18일 1948년 6월 18일 18 Ozamiz RA 00321 1948년 6월 19일 1948년 6월 19일 19 Calbayog RA 00328 1948년 7월 15일 1948년 10월 16일 20 두마게테(Dumaguete) RA 00327 1948년 7월 15일 1948년 11월 24일 21 Cagayan de Oro RA 00521 1950년 6월 15일 1950년 6월 15일 22 Butuan RA 00523 1950년 6월 15일 1950년 8월 2일 23 Iligan RA 00525 1950년 6월 16일 1950년 6월 16일 24 Cabanatuan RA 00526 1950년 6월 16일 1950년 7월 24일 25 Roxas RA 00603 1951년 4월 11일 1951년 5월 12일 26 Tacloban RA 00760 1952년 6월 20일 1953년 6월 12일 27 Trece Martires RA 00981 1954년 5월 24일 1956년 1월 1일 28 Silay RA 01621 1957년 6월 12일 1957년 6월 12일 29 Legazpi RA 02234 1959년 6월 12일 1959년 6월 12일 30 Cotabato City RA 02364 1959년 6월 20일 1959년 6월 20일 31 San Carlos RA 02643 1960년 6월 18일 1960년 6월 18일 32 Toledo RA 02688 1960년 6월 18일 1960년 6월 18일 33 Gingoog RA 02668 1960년 6월 18일 1960년 6월 18일 34 Danao RA 03028 1961년 6월 7일 1961년 6월 7일 35 Lapu-Lapu City RA 03134 1961년 6월 17일 1961년 12월 31일 36 칼로오칸(Caloocan City) RA 03278 1961년 6월 17일 1962년 2월 16일 37 Lucena RA 03271 1961년 6월 17일 1962년 8월 19일 38 Canlaon RA 03445 1961년 6월 18일 1961년 6월 18일 39 Dapitan RA 03811 1963년 6월 22일 1963년 6월 22일 40 Angeles City RA 03700 1963년 6월 22일 1964년 1월 1일 41 Palayan RA 04475 1965년 6월 19일 1965년 6월 19일 42 Laoag RA 04584 1965년 6월 19일 1966년 1월 1일 43 San Carlos RA 04487 1965년 6월 19일 1966년 1월 1일 44 La Carlota RA 04585 1965년 6월 19일 1966년 1월 22일 45 Bago RA 04382 1965년 6월 19일 1966년 2월 19일 46 Olongapo RA 04645 1966년 6월 1일 1966년 6월 1일 47 Tagbilaran RA 04660 1966년 6월 18일 1966년 7월 1일 48 Cadiz RA 04894 1967년 6월 17일 1967년 7월 4일 49 Tangub RA 05131 1967년 6월 17일 1968년 2월 28일 50 General Santos RA 05412 1968년 6월 15일 1968년 6월 15일 51 Iriga RA 05261 1968년 6월 15일 1968년 9월 3일 52 Bais RA 05444 1968년 9월 9일 1968년 9월 9일 53 Batangas City RA 05495 1969년 6월 21일 1969년 6월 21일 54 Pagadian RA 05478 1969년 6월 21일 1969년 6월 21일 55 Mandaue RA 05519 1969년 6월 21일 1969년 8월 30일 56 Puerto Princesa RA 05906 1969년 6월 21일 1970년 1월 1일 57 Dipolog RA 05520 1969년 6월 21일 1970년 1월 1일 58 Oroquieta RA 05518 1969년 6월 21일 1970년 1월 1일 59 San Jose RA 06051 1969년 8월 4일 1969년 8월 4일 60 Surigao City RA 06134 1970년 8월 31일 1970년 8월 31일 61 만달루용(Mandaluyong City) RA 07675 1994년 2월 9일 1994년 4월 10일 62 Santiago RA 07720 1994년 5월 5일 1994년 7월 3일 63 파식(Pasig City) RA 07829 1994년 12월 8일 1995년 1월 21일 64 마카티(Makati City) RA 07854 1995년 1월 2일 1995년 2월 4일 65 문틴루파(Muntinlupa City) RA 07926 1995년 3월 1일 1995년 5월 8일 66 Sagay RA 08192 1996년 6월 11일 1996년 8월 10일 67 마리키나(Marikina City) RA 08223 1996년 11월 6일 1996년 12월 7일 68 라스피냐스(Las Pinas City) RA 08251 1997년 2월 12일 1997년 3월 26일 69 Kabankalan RA 08297 1997년 6월 6일 1997년 8월 2일 70 Passi RA 08469 1998년 1월 30일 1998년 3월 14일 71 Samal RA 08471 1998년 1월 30일 1998년 3월 7일 72 Tagum RA 08472 1998년 1월 30일 1998년 3월 7일 73 Calapan RA 08475 1998년 2월 2일 1998년 3월 21일 74 Urdaneta RA 08480 1998년 2월 10일 1998년 3월 21일 75 Talisay RA 08489 1998년 2월 11일 1998년 2월 11일 76 Victorias RA 08488 1998년 2월 11일 1998년 3월 21일 77 Malaybalay RA 08490 1998년 2월 11일 1998년 3월 22일 78 타귁(Taguig City) RA 08487 1998년 2월 11일 2004년 12월 8일 79 Kidapawan RA 08500 1998년 2월 12일 1998년 3월 22일 80 San Fernando RA 08509 1998년 2월 13일 1998년 3월 20일 81 파라냐케(Paranaque City) RA 08507 1998년 2월 13일 1998년 3월 22일 82 Antipolo RA 08508 1998년 2월 13일 1998년 4월 4일 83 라스피냐스(Las Pinas City) RA 08526 1998년 2월 14일 1998년 12월 30일 84 Tarlac City RA 08593 1998년 3월 12일 1998년 4월 19일 85 Tuguegarao RA 08755 1999년 11월 4일 1999년 12월 18일 86 Malolos RA 08754 1999년 11월 4일 1999년 12월 18일 87 Digos RA 08798 2000년 6월 15일 2000년 9월 8일 88 Maasin RA 08796 2000년 7월 11일 2000년 8월 10일 89 San Jose del Monte RA 08797 2000년 7월 15일 2000년 9월 10일 90 Koronadal RA 08803 2000년 8월 16일 2000년 10월 8일 91 Sorsogon City RA 08806 2000년 8월 16일 2000년 12월 16일 92 Tacurong RA 08805 2000년 8월 16일 2000년 9월 18일 93 Bislig RA 08804 2000년 8월 16일 2000년 9월 18일 94 Masbate City RA 08807 2000년 8월 16일 2000년 9월 30일 95 Muñoz RA 08977 2000년 11월 7일 2000년 12월 9일 96 Talisay RA 08979 2000년 11월 22일 2000년 12월 30일 97 Bayawan RA 08983 2000년 12월 5일 2000년 12월 23일 98 Balanga RA 08984 2000년 12월 5일 2000년 12월 30일 99 Valencia RA 08985 2000년 12월 5일 2000년 12월 30일 100 Vigan RA 08988 2000년 12월 27일 2001년 1월 22일 101 San Fernando RA 08990 2001년 1월 26일 2001년 2월 3일 102 Tanauan RA 09005 2001년 2월 2일 2001년 3월 10일 103 Ligao RA 09008 2001년 2월 21일 2001년 3월 24일 104 Cauayan RA 09017 2001년 2월 28일 2001년 3월 28일 105 Escalante RA 09014 2001년 2월 28일 2001년 3월 31일 106 Panabo RA 09015 2001년 2월 28일 2001년 3월 31일 107 Tabaco RA 09020 2001년 3월 5일 2001년 3월 24일 108 Alaminos RA 09025 2001년 3월 5일 2001년 3월 28일 109 Candon RA 09018 2001년 3월 5일 2001년 3월 28일 110 Himamaylan RA 09028 2001년 3월 5일 2001년 3월 31일 111 Sipalay RA 09027 2001년 3월 5일 2001년 3월 31일 112 Tanjay RA 09026 2001년 3월 5일 2001년 3월 31일 113 말라본(Malabon City) RA 09019 2001년 3월 5일 2001년 4월 21일 114 Calamba RA 09024 2001년 3월 5일 2001년 4월 21일 115 Isabela RA 09023 2001년 3월 5일 2001년 4월 25일 116 Gapan RA 09022 2001년 3월 5일 2001년 8월 25일 117 Santa Rosa RA 09264 2004년 3월 10일 2004년 7월 10일 118 Meycauayan RA 09356 2006년 10월 2일 2006년 12월 10일 119 나보타스(Navotas City) RA 09387 2007년 3월 10일 2007년 6월 24일 120 산후안(San Juan City) RA 09388 2007년 3월 11일 2007년 6월 16일 121 Bogo RA 09390 2007년 3월 15일 2007년 6월 16일 122 Baybay RA 09389 2007년 3월 15일 2007년 6월 16일 123 Catbalogan RA 09391 2007년 3월 15일 2007년 6월 16일 124 Lamitan RA 09393 2007년 3월 15일 2007년 6월 18일 125 Tandag RA 09392 2007년 3월 15일 2007년 6월 23일 126 Borongan RA 09394 2007년 3월 16일 2007년 6월 20일 127 Tayabas RA 09398 2007년 3월 18일 2007년 7월 14일 128 Bayugan RA 09405 2007년 3월 23일 2007년 6월 20일 129 Tabuk RA 09404 2007년 3월 23일 2007년 6월 23일 130 Mati RA 09408 2007년 3월 24일 2007년 6월 18일 131 Batac RA 09407 2007년 3월 24일 2007년 6월 23일 132 Guihulngan RA 09409 2007년 3월 24일 2007년 7월 14일 133 El Salvador RA 09435 2007년 4월 12일 2007년 6월 27일 134 Cabadbaran RA 09434 2007년 4월 12일 2007년 7월 28일 135 Carcar RA 09436 2007년 4월 15일 2007년 7월 1일 136 Naga RA 09491 2007년 7월 15일 2007년 9월 2일 137 Dasmariñas RA 09723 2009년 10월 15일 2009년 11월 25일 138 Biñan RA 09740 2009년 10월 30일 2010년 2월 2일 139 Bacoor RA 10160 2012년 4월 10일 2012년 6월 23일 140 Imus RA 10161 2012년 4월 10일 2012년 6월 30일 141 Mabalacat RA 10164 2012년 5월 15일 2012년 7월 21일 142 Cabuyao RA 10163 2012년 5월 16일 2012년 8월 4일 143 Ilagan RA 10169 2012년 6월 21일 2012년 8월 11일 144 San Pedro RA 10420 2013년 3월 27일 2013년 12월 28일 145 General Trias RA 10675 2015년 8월 19일 2015년 12월 12일 146 Santo Tomas RA 11086 2018년 10월 5일 2019년 9월 7일 147 Calaca RA 11544 2021년 5월 26일 2022년 9월 3일 148 City of Baliwag, Bulacan RA 11929 2022년 7월 30일 2022년 12월 17일 149 City of Carmona, Cavite RA 11938 2023년 2월 23일 2023년 7월 8일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시티-MAKATI CITY HALL 따가이따이도 상당히 오래된 시티 중 하나이다. 딸락 시티(City of Tarlac)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주한필리핀대사관: www.visa.gov.ph 온라인 비자 예약 시스템 사용 중단 안내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주한필리핀대사관: www.visa.gov.ph 온라인 비자 예약 시스템 사용 중단 안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6월 4일 온라인 비자 예약 시스템 보수 공지 필리핀 정부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비자 예약 시스템(OVAS, O NLINE V ISA A PPOINTMENT S YSTEM)이 시스템 유지 관리를 이유로 당분간 사용이 중지된다고 한다. OVAS 시스템 보수 작업에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는 공지되지 않았지만, 서울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에서는 시스템 이용이 불가한 동안 구글폼 통해 비자 접수를 받을 예정이라고 하는 것을 보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비자 예약 시스템 사용 중단 ■ 중단 기간: 2024년 6월 4일 ~ 별도의 공지가 있을 때까지 ■ 중단 사유: 시스템 보수 ■ 중단 대상: https://www.visa.gov.ph/ ■ 비고 온라인 비자 예약 시스템 사용 불가 기간 중 주한필리핀대사관으로의 비자 접수는 아래 링크를 통해 진행된다. Philippine Embassy in Seoul VISA APPLICATION 자신이 신청하는 비자 카테고리 이름을 클릭한 뒤 신청서 작성 후 관련 서류를 올리면 주한필리핀대사관의 담당 직원이 확인 후 비자 인터뷰 날짜 등에 대한 안내 이메일을 보내줄 예정이라고 한다. ONLINE VISA APPOINTMENT SYSTEM UNDER MAINTENANCE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한필리핀대사관: ONLINE VISA APPOINTMENT SYSTEM UNDER MAINTENANC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PC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콘텐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이에 대한 무단배포 및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글, 사진, 영상 등 콘텐츠의 내용을 사전 동의 없이 재편집하여 사용하거나, 출처 없이 필인러브의 콘텐츠를 무단 스크랩하여 사용하실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 Copyright 2025.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