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생활: 마닐라 Ayala Malls The 30th 쇼핑몰 내 흡연실 위치 안내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필리핀 생활: 마닐라 Ayala Malls The 30th 쇼핑몰 내 흡연실 위치 안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6월 30일 마닐라의 파식시티(Pasig city)에 있는 Ayala Malls The 30th 쇼핑몰은 다른 대형 쇼핑몰과 비교하여 규모는 작지만 비교적 한산한 편이라서 조용하게 쇼핑하기에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Ayala Malls The 30th 쇼핑몰 내의 흡연실은 2층 Bluesmith Coffee & Kitchen과 Meat Depot Mini 매장 근처에 있다. 발코니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서 찾기가 쉬운 편이다. 마닐라 Ayala Malls The 30th 쇼핑몰 마닐라 Ayala Malls The 30th 쇼핑몰 내 흡연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필리핀에서는 흡연실에도 플라스틱 가림막이 설치되었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본인 경험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1942년, 바탄 반도를 피로 물들인 바탄 전투(Battle of Bataan)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1942년, 바탄 반도를 피로 물들인 바탄 전투(Battle of Bataan)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9월 25일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바탄 전투(Battle of Bataan)를 묘사한 디오라마 - 야얄라 뮤지엄(Ayala Museum) 소장품 필리핀 루손섬 중부 지방을 보면 바탄(Province of Bataan)이란 동네가 있다. 서쪽으로는 남중국해를, 동쪽으로는 마닐라만을 둘러싸고 있는 이 동네는 그 지리적 위치 때문에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중요하게 여겨졌다. 1942년 일본이 필리핀을 침공했을 때도 바탄은 대격전의 장소가 되었다. 마닐라 함락 후 미군 사령부가 바탄으로 이동하면서 일어난 바탄 전투(Battle of Bataan) 로 인해 바탄은 2차 대전 중 가장 큰 피해를 본 곳이 되어야 했다. 일본군에 의한 포로학대의 사례로 유명한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 역시 이곳에서 일어났던 일이다. 바탄 전투 Battle of Bataan 1942년 1월 7일~1942년 4월 9일 미국 식민지 시대, 미국에서는 1901년에 설립된 필리핀 스카우트(Philippine Scouts)에 입대하면 미국 육군의 일부로 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의 혜택을 받고자 한 사람들은 기꺼이 필리핀 스카우트에 입대했고, 미국식 훈련을 통해 고도로 훈련된 군사 부대가 되었다. 그리고 이들을 바탕으로 1941년 7월 26일 미국 육군극동사령부(USAFF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the Far Easts)가 창설되었다. 1941년 12월 8일, 일본은 태평양 지역의 미국 식민지이자 주요 거점이기도 한 필리핀을 침공했다. 이때 마닐라만에서 일본의 공격을 지연시키기 위해 나선 이들이 바로 미국 육군극동사령부(USAFFE)이다. 하지만 전투는 쉽지 않았다. 약 10만 명의 필리핀인과 2만 명의 미군으로 구성된 필리핀과의 연합군의 병사 대부분은 실제 전투 경험이 없었고, 기본 장비조차 부족했다. 게다가 미군의 추가 병력과 보급품이 도착하기도 전에 일본군의 침공이 먼저 개시되었다. 일본군이 물자를 아끼지 않고 공세를 퍼부으며 마닐라가 순식간에 함락되고 말았다. USAFFE 사령관이었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미국에서 지원군이 파견될 때까지 버티기 위해 루손섬 방어에 주력했지만, 루손섬 방어선이 돌파당하자 군대를 바탄 반도로 이동시켜야 했다. 하지만 진주만 공습으로 미국 본토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이미 식사 배급조차 절반으로 줄어든 군인들이 일본의 전면 공격을 당하기란 힘들었다. 1942년 4월 9일, 미국이 일본에 항복함으로써 바탄 전투가 끝났다. 그리고 전투가 끝난 뒤 죽음의 행진이 시작되었을 때, 이미 병사들 대부분이 굶주림에 시달린 채 전쟁에 지쳐있었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역사: 일본 점령기(1942년~1945년)에 세워진 필리핀 제2공화국 필리핀 역사: 잔인한 4월,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 필리핀 역사 유적지: 바탄 죽음의 행진과 사맛산 십자가 바탄 전투(Battle of Bataan)를 묘사한 디오라마 - 야얄라 뮤지엄(Ayala Museum) 소장품 바탄 전투(Battle of Bataan)를 묘사한 디오라마 - 야얄라 뮤지엄(Ayala Museum) 소장품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을 묘사한 디오라마 - 야얄라 뮤지엄(Ayala Museum) 소장품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을 묘사한 디오라마 - 야얄라 뮤지엄(Ayala Museum) 소장품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The National WWII Museum: Battle of Bataan · The National WWII Museum: Bataan Death March Survivor Lester Tenney Dies at Age 96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Bataan Death March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유적지: 일로코스 바탁,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의 마르코스 박물관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유적지: 일로코스 바탁,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의 마르코스 박물관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10월 1일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독재자로 유명한 페르디난도 마르코스 전 대통령과 관련된 필리핀의 역사 유적지를 보고 싶다면 루손섬 북쪽 일로코스(Ilocos Norte) 지역으로 가면 된다. 동네 곳곳에서 마르코스의 흔적을 볼 수 있는데 박물관만 해도 여럿이다. 페르디난도 마르코스 전 대통령의 딸인 아이미 마르코스(Imee Marcos)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일로코스 노르테의 주지사였던 덕분에 마르코스의 출생지인 사라트(Municipality of Sarrat)에서부터 대통령 당선 후 별장으로 사용되던 파오아이(Municipality of Paoay)의 북쪽의 말라카냥(Malacañang of the North) 에 이르기까지 모두 관광지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마르코스의 흔적을 가장 많이 진하게 느낄 수 있는 곳은 엠파나다(Empanada) 튀김만두로 유명한 바탁 시티이다. 필리핀 일로코스 노르테의 바탁 시티(City of Batac) 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고향'으로 알려진 도시이다. 마르코스는 사라트에서 태어난 뒤 바탁으로 이사를 와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래서인지 동네 주요 시설 중 어느 것 하나 마르코스와 연관이 없는 것이 없어 보일 정도이다. 심지어 일본군 협력자라 게릴라에게 처형당했다는 소문이 파다한 마리아노 마르코스(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아버지)의 이름을 딴 초등학교까지 있을 정도이다. 현재 필리핀 대통령인 봉봉 마르코스는 지난 2022년 대선 때 할아버지의 이름을 딴 마리아노 마르코스 초등학교에서 투표에 참여했고, 대권을 거머쥐었다. 각설하고, 2016년까지만 해도 바탁 시티를 방문하는 여행객이라면 흔히 들리는 곳 중 하나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였다. 사람들이 기꺼이 이곳에 간 이유 중 하나는 이곳에 마르코스의 시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마르코스 독재 치하에서 납치와 고문 등을 당한 인권피해자들에게는 지옥과 같은 곳이겠지만, 마르코스 지지자들은 묘지를 마우솔레움(Mausoleum)이라 부르며 기꺼이 방문했다. 하지만 2016년에 마르코스의 유해가 마닐라 타귁의 국립 영웅묘지(마닐라 국립묘지) 로 옮겨지면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의 방문객이 눈에 띄게 줄었다. 2016년 이전만 해도 일로코스 지방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이 있는 시설이었지만, 마르코스의 유해가 보관되었던 냉장 납골당(refrigerated crypt)의 방문이 불가능해지면서 사람들의 발길이 뜸해진 것이다. 당시 필리핀 관광부 일로코스 노르테 지역사무소에서 배포한 관광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5월까지 고작 32,903명이 마르코스 박물관을 방문했을 뿐이다. 마르코스의 납골당을 볼 수 있었던 2016년에는 같은 기간 동안 131,168명이 방문했었다고 한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 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Marcos Museum and Mausoleum ■ 주소: City of Batac, Ilocos Norte ■ 위치: 필리핀 일로코스 노르테, 바탁시티 ■ 입장료: 50페소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이 군대에 있을 때부터 대통령을 지냈을 때까지 사용되던 용품을 전시한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규모가 크지는 않아 크게 볼거리가 많은 편은 아니다. 박물관에서 나와 다리를 건너면 마르코스 기념비(Marcos Monument)를 볼 수 있다. 필리핀 일로코스 노르테, 바탁시티 필리핀 일로코스 노르테, 바탁시티 필리핀 일로코스 노르테, 바탁시티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초상화 마르코스가 학생일 때부터 대통령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전시관의 주요 주제이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Ferdinand E. Marcos Presidential Center)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흉상 마르코스 박물관 마르코스 박물관 마르코스 박물관 마르코스 박물관 마르코스 박물관 마르코스 박물관 마르코스 박물관 마르코스 박물관에 이멜다 마르코스가 빠질 수 없다. 이멜다 마르코스의 신발 마르코스 기념비(Marcos Monument), Deytoy Ti Bannawag 마르코스 기념비(Marcos Monument)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City of Batac: Brief Historical Background · Inquirer: Batac tourism suffers after Marcos burial · Philippine News Agency: NHCP to unveil Marcos historical marker in Batac City · rappler: Marcos Jr. votes in father’s hometown Batac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뉴스: 보라카이 해변에서 성관계 맺은 커플 체포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필리핀 뉴스: 보라카이 해변에서 성관계 맺은 커플 체포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2월 4일 필리핀 보라카이 가수 신신애 씨가 '세상은 요지경'이라는 노래로 신드롬을 일으킨 것이 거의 30년이 다 되어 가지만, 세상은 여전히 요지경 속이다. 엊그제 피나투보 화산에서 만난 외국인 커플은 트래킹을 마치고 마닐라로 돌아가서 오토바이를 빌려다가 따가이따이 여행을 할 계획이라고 했다. 마닐라에서 오토바이를 빌린다는 계획이야 마닐라의 교통 상황과 분위기를 몰라서 하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지만, 따알 화산이 어떤 상태인지 보러 굳이 따가이따이까지 가겠다는 것은 좀처럼 이해하기 어렵다. 하긴, 보라카이 바닷가만 봐도 설마 그럴 수 있을까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 계속 발생한다. 엊그제 보라카이에서 있었다는 대단히 묘한 사건 하나. 보라카이의 볼라복 비치(Bulabog Beach)에서 공개적으로 성관계를 한 커플이 필리핀 경찰에 붙잡혔다. 신문 기사에 따르면 안소니(Anthony Carrio)와 재스민(Jasmine Nelly)이 술에 잔뜩 취한 상태로 해변에 도착한 것은 오후 5시 45분경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해변에 도착하자마자 19금 영화를 찍으셨던 모양이다. 당시 해변에는 가족 여행객도 있어서 누군가 재빨리 경찰서로 신고 전화를 했고, 필리핀 경찰은 후다닥 해변으로 달려가야만 했다. 그런데 경찰이 도착해서도 이 커플의 행동은 멈춤이 없었다고 전해진다. 범죄자의 인권 보호보다는 인증 사진 찍기를 선호하는 필리핀 경찰에서는 사건이 발생하면 얼굴 공개까지 서슴지 않는 편이다. 가끔 한국인 범죄자의 여권이 페이스북 등을 통해 올라오기도 한다. 이번 일도 마찬가지로 현장 사진과 함께 이 커플이 호주인 남성과 영국인 여성이었다고 국적 및 나이까지 공개되었다. 당시 이 커플은 경찰에 체포되지 않기 위해 현장에서 도망쳤지만, 남자가 하의를 탈의한 상태였기 때문인지 도주에 성공하지 못했다. 그리고 경범죄에 도망에 대한 괘씸죄까지 추가되어 기소되어 법원에 출두하게 되었다. 이 커플은 현재 9천 페소의 보석금을 내고 풀려난 상태이지만, 필리핀에서 범죄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이 진행 중인 경우 재판이 끝날 때까지 출국 금지가 되기 때문에 고국으로 돌아가기란 쉽지 않을 듯 보인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British woman and Australian man refuse to stop having SEX on a Philippines beach even as cops stand over them · Trouble in Paradise : 2 foreigners arrested in Boracay for having sex on beach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시절은 정말 필리핀 경제의 황금시대였을까?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시절은 정말 필리핀 경제의 황금시대였을까?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10월 8일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2024년, 필리핀 마닐라 타귁시티의 풍경 마닐라 빈민가 사람들의 생활 형편을 보면 다소 신기하게 생각되기도 하지만, 필리핀에는 마르코스가 대규모 사회 인프라 시설을 건설하여 필리핀의 경제를 발전시켰다고 생각하는 마르코스의 지지자들이 아직도 많다. 페인트칠도 하지 못한 허름한 집에 살면서도 마르코스를 지지하는 이들의 귀에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와 이멜다 마르코스 때문에 필리핀의 경제가 급속히 몰락하고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빈곤국 중 하나가 되었다는 역사학자들의 평가는 들리지 않는 모양이다. 필리핀 경제의 파탄 지난 2022년 필리핀 대선 때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봉봉 마르코스)는 마르코스 정권 시절을 '필리핀 경제의 황금기'라고 주장하며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필리핀 경제를 되살리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봉봉 마르코스는 캠페인 기간 내내 아버지의 집권 시기를 독재정권 아래 인권탄압이 벌어지고 부정부패를 일삼던 시기가 아니라 수많은 사회기반시설이 지어졌던 때로 묘사했다. 심지어 아버지가 물러난 뒤 필리핀이 가난해졌다는 식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봉봉 마르코스가 주장하는 황금시대는 정말 있었을까? 마르코스의 지지자들은 동의하지 않겠지만,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가족과 친척, 측근이 권력을 독점하고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동안 필리핀의 경제는 침체하고 빈부격차는 더 극심해졌다. 부정부패가 만연한 상황에서 경제적 불평등이 심해지며 페소 가치는 1달러당 3.9페소(1965년)에서 20.53페소(1986년)로 떨어졌다. 근로자의 실질 소득은 감소했으며, 당장의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빈민들은 늘어났다. 토지 개혁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혜택을 받는 농부가 거의 없는 완전한 실패였다. 미국으로부터 원조와 차관이 들어왔지만, 국립극장이니 코코넛 팰리스와 같은 과시성 건물을 짓는 일에 과다하게 사용되거나 마르코스가 가진 스위스 은행 계좌로 빼돌려졌다. '윌리엄 손더스'와 '제인 라이언'이라는 가명으로 개설된 마르코스의 통장에 돈이 쌓이는 동안 국가부채는 계속 쌓였다. 경제활동인구의 4분의 1은 실업자 상태일 정도로 실업률이 증가했으며, 빈곤율 역시 대폭 증가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봉봉 마르코스) 사회기반시설의 투자 Imelda's edifice complex 봉봉 마르코스의 주장대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재임했을 당시 학교와 도로, 다리, 병원, 발전소 등과 같은 사회 기반 시설이 다수 지어진 것은 사실이다. NLEX(North Luzon Expressway), SLEX(South Luzon Expressway), 레이테의 산후아니코 대교(San Juanico Bridge), 마할리카 고속도로(Pan-Philippine Highway) 등과 같은 교통 인프라가 모두 마르코스 시절 완공되었다. 마닐라의 CCP 콤플렉스(CCP Complex) 내에 있는 국립극장(Tanghalang Pambansa) 과 마닐라 필름센터(Manila Film Center) , 코코넛 팰리스(Coconut Palace) 그리고 나용필리피노(Nayong Pilipino) 등도 이멜다 마르코스의 주도하에 필리핀의 유산과 문화를 홍보한다는 명분으로 지어진 것이다. 기념비적인 거대 건축물에 집착한 이멜다 마르코스의 에디피스 콤플렉스(edifice complex)에 따라 지어진 시설들이 정말 필리핀의 유산과 문화를 홍보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인프라 건설이 이멜다 마르코스가 부를 축적하는 방법으로 사용된 것은 사실이다. 막대한 자본을 들여 일부 부유층을 위한 건물이 지어지는 동안 마르코스 일가는 유권자를 확보하고, 막대한 돈을 받아 챙길 수 있었다. 그러나 정부 예산의 범위를 넘어선 공사 비용은 고스란히 국가 부채로 이어졌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대통령 자리에 올랐던 1965년 당시만 해도 6억 달러였던 필리핀의 국가 부채는 21년 후 260억 달러로 급증했다. 그리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21년 동안 필리핀을 장기 집권하며 부정 축재한 재산은 약 100억 달러로 추청 된다. 또 하나의 문제는 이런 건물들이 기능성을 무시한 채 보여주기식으로 서둘러 지어진 탓에 부실 공사를 피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노동자 하루 일당이 20페소도 안 되던 시절 에 수천만 페소를 들여 지은 CCP의 국립극장과 코코넛 팰리스, 나용 필리피노 등은 모두 현재 문을 닫은 상태이다. 1976년에 건설하기 시작한 바탄의 원자력 발전소(BNPP) 역시 마르코스 주변의 주머니만 채워주었을 뿐 제대로 사용도 해보지 못한 채 국민들의 세금을 잡아먹는 골칫덩이로 전락했다. 서민들은 안에도 들어가 보지도 못한 이런 건물들이 마르코스의 독재 정권에 신뢰성을 주는 홍보 전략으로 효과적으로 이용 되고 있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필리핀 말라카냥궁의 테우스 맨션(Teus Mansion) 필리핀 대통령 전시관 필리핀 문화센터(CCP)는 필리핀의 예술과 문화를 보존 개발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된 필리핀 정부 소유의 국유기업이다. 마닐라 CCP Complex에 있는 코코넛 팰리스(Coconut Palace)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Bloomberg: Where Did Marcos Hide His $10 Billion Fortune? · The Philippine Star : #NeverForget, #NeverAgain · Rappler: FACT CHECK: Ferdinand E. Marcos opened Swiss bank accounts while he was president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영문 날짜 표기: 월(Month), 일(Day), 요일에 대한 영어 약자(약어)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영문 날짜 표기: 월(Month), 일(Day), 요일에 대한 영어 약자(약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11월 1일 이미지 출처: 셔터스톡 날짜를 이야기할 때 사용되는 월(Month), 일(Day), 요일에 대한 영어 약자(abbreviation)는 아래와 같다. 요일을 영어 약자로 표시하는 법 요일 days of the week 약자(약어) 월요일 Monday Mon. 화요일 Tuesday Tue. 수요일 Wednesday Wed. 목요일 Thursday Thu. 금요일 Friday Fri. 토요일 Saturday Sat. 일요일 Sunday Sun. 월(Month)을 영어 약자(약어)로 표시하는 법 월 Month 3-Letter Abbreviation 2-Letter Abbreviation 1월 January Jan. JA 2월 February Feb. FE 3월 March Mar. MR 4월 April Apr. AP 5월 May May MY 6월 June Jun. JN 7월 July Jul. JL 8월 August Aug. AU 9월 September Sep. or Sept. SE 10월 October Oct. OC 11월 November Nov. NV 12월 December Dec. DE 일(Day)을 영어 약자로 표시하는 법 일(날짜) Day 약자(약어) 1 first 1st 2 second 2nd 3 third 3rd 4 fourth 4th 5 fifth 5th 6 sixth 6th 7 seventh 7th 8 eighth 8th 9 ninth 9th 10 tenth 10th 11 eleventh 11th 12 twelfth 12th 13 thirteenth 13th 14 fourteenth 14th 15 fifteenth 15th 16 sixteenth 16th 17 seventeenth 17th 18 eighteenth 18th 19 nineteenth 19th 20 twentieth 20th 21 twenty-first 21st 22 twenty-second 22nd 23 twenty-third 23rd 24 twenty-fourth 24th 25 twenty-fifth 25th 26 twenty-sixth 26th 27 twenty-seventh 27th 28 twenty-eighth 28th 29 twenty-ninth 29th 30 thirtieth 30th 31 thirty-first 31st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유적지: 마닐라 올티가스 로빈슨몰 앞의 커다란 황금색 EDSA 성모상에 대한 이야기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유적지: 마닐라 올티가스 로빈슨몰 앞의 커다란 황금색 EDSA 성모상에 대한 이야기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7월 13일 필리핀 마닐라 올티가스 1986년 피플 파워 혁명(EDSA 혁명) 당시 사람들이 혁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준 사람 중 하나는 마닐라 대교구장이었던 하이메 신(Jaime Sin) 추기경 이다. 하이메 신 추기경은 사람들을 EDSA 거리로 나오게만 한 것이 아니라 피플파워혁명이 평화적인 시위가 될 수 있도록 주도했다. 실제 피플파워혁명 당시 나온 사람들의 손에는 무기 대신 묵주와 꽃이 들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수녀들이 묵주 기도를 하며 군대가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는 것을 막아서는데 어떻게 쉽게 총을 겨눌 수 있겠는가? 자칫 잘못하면 많은 피를 불러올 수도 있었던 대규모 군중집회가 평화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가장 슬기로운 방법을 택한 셈이다. 에드사 쉬라인 EDSA 성지 EDSA Shrine Mary, Queen of Peace Shrine ■ 주소: EDSA cor. Ortigas Ave., , Quezon City, Metro Manila, Philippines ■ 위치: 필리핀 마닐라, 로빈슨 갤러리아 올티가스점 옆 피플 파워 혁명(EDSA 혁명) 으로 독재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가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나고 이틀 뒤의 일이다. 미사에 참여하고자 EDSA 도로를 지나던 하이메 신 추기경은 시위대가 있던 장소를 보고 혁명의 성공에 대해 마리아 님에게 감사할 수 있도록 성지를 세우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이메 신 추기경은 이 아이디어를 JG서밋홀딩스 창업주인 존 고콩웨이에게 이야기했고, 로빈슨몰 앞의 모퉁이 땅을 기부받게 된다. 그리고 건축가인 프란시스코 바비 마노사(Francisco Mañosa)에게 성당 건립을 의뢰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올티가스 로빈슨몰 앞에 있는 에드사 쉬라인(EDSA Shrine)이다. 그런데 에드사 쉬라인(EDSA 성지)은 프란시스코 바비 마뇨사가 애초에 디자인한 것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지어졌다. 프란시스코 바비 마뇨사는 팔라완의 아만풀로 리조트와 코코넛 팰리스 등을 설계한 건축가로 모던한 형태의 건물보다는 필리핀 전통 건축양식인 바하이 쿠보(Bahay Kubo)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형태의 건물을 짓고자 노력했던 인물이다. 하이메 신 추기경에게 신사 건립을 의뢰받은 프란시스코 바비 마뇨사는 에드사 쉬라인을 위해 필리핀 전통 건축양식인 바하이 쿠보(Bahay Kubo)에서 착안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그런데 에드사 쉬라인 건설 위원회의 유력 인사가 스페인 시절의 성당 디자인을 고집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당시 프란시스코 바비 마노사는 필리핀의 혁명을 기념하는 자리에 스페인 식민지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건물을 지을 수 없다며 프로젝트의 참여를 거부했다고 한다. 하지만 하이메 신 추기경의 부탁으로 다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현재와 같은 디자인의 건물로 공사가 진행되었다. 평화의 여왕 마리아 대교구 성당(The Archdiocesan Shrine of Mary, Queen of Peace)은 1989년 11월에 완공되었는데, 동정 마리아 대축일 인 12월 8일에 맞춰 개관했다고 한다. Archdiocesan Shrine of Mary, Queen of Peace - EDSA Shrine (Archdiocese of Manila) 황금색 EDSA 성모상 올티가스의 로빈슨몰 앞에 평화의 여왕 마리아 대교구 성당이 있는 것은 알지 못할 수 있지만, EDSA도로를 지나면 자연스럽게 커다란 황금색 EDSA 성모상이 있음을 보게 된다. 10.7m 높이의 이 성모상은 필리핀의 유명 여성 조각가인 버지니아 나바로(Virginia Ty-Navarro)가 만든 청동 조각품으로 평화의 성모상 또는 EDSA 성모상(Our Lady of EDSA sculpture)이라고 불린다. 여담이지만, 당시 버지니아 나바로는 산후안에 있는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EDSA 성모상을 만들었는데 작품이 워낙 커서 올티가스까지 옮기기가 어려워 미국 대사관의 도움을 받아 헬리콥터로 운반했다고 한다. 황금 옷을 입은 성모 마리아 옆에는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가 조각되어 있다. Archdiocesan Shrine of Mary, Queen of Peace - EDSA Shrine 2차 피플 파워 혁명 에드사 쉬라인(EDSA Shrine)은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 을 축출하고자 일어났던 2차 피플 파워 혁명(2차 EDSA 혁명) 의 장소이기도 하다. 하이메 신 추기경은 1986년 피플파워혁명 때와 마찬가지로 2001년 2차 피플파워혁명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했는데,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은 잇따른 비리사건으로 국민을 이끌 수 있는 도덕성을 상실했으니 국민을 위해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는 것이 마땅하다"면서 에스트라다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하이메 신 필리핀 전 추기경은 지난 2005년 선종했다. 필리핀의 양심이라고 불리며 정치적 혼란기마다 평화적 봉기를 주도했던 하이메 신 추기경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독재 정권이 붕괴된 후에도 필리핀 정치인의 부정부패가 계속되자 "알리바바는 몰아냈지만 40인의 도적은 여전히 남아 있다" 고 말하기도 했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역사: 조셉 에스트라다 - 2차 피플 파워 혁명으로 물러난 영화배우 출신의 대통령 필리핀 마닐라. 로빈슨 갤러리아 쇼핑몰 Archdiocesan Shrine of Mary, Queen of Peace - EDSA Shrine 마닐라의 EDSA 도로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Rappler: Looking back at EDSA II: The political paths of Estrada and Arroyo · The Philippine Star: People Power II, a period of ‘liberation’ · Inquirer: Edsa 1 and Edsa 2 compared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생활: 아이코스 전자담배 공식 매장 위치와 필리핀 판매 가격 안내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필리핀 생활: 아이코스 전자담배 공식 매장 위치와 필리핀 판매 가격 안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6월 30일 필리핀 마닐라 보니파시오 하이스트리트의 아이코스 매장 필리핀에서 아이코스 전자담배를 사려면 어디로 가면 될까? 메트로 마닐라나 세부 시티 쪽에 있다면 시내 곳곳에 있는 쇼핑몰 안에서 아이코스(IQOS)에서 운영하는 매장을 찾을 수 있다.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I)에서 발매한 궐련형 전자담배인 아이코스의 필리핀에서의 가격은 히츠가 140페소. 스틱형 전자기기 가격은 아이코스3 듀오(IQOS 3 DUO Kit)를 기준으로 2,990페소이다. 만약 매장 방문이 어렵다면, 아이코스 필리핀에서 온라인샵을 운영하고 있어서 온라인 구매도 가능하다. 메트로 마닐라 지역 내에서 온라인 구매 시 당일 혹은 다음날 배달되며, 배송료가 무료이다. 그리고 상당히 신기한 일이지만, 올티가스의 로빈슨 갤러리아 쇼핑몰에 있는 아이코스 매장에서는 'Designed Vaping Area'라는 이름으로 전자담배를 피울 수 있는 공간도 운영하고 있다. 로빈슨 갤러리아 쇼핑몰 안에서는 금연이지만, 아이코스 매장 내부의 흡연실에서만큼은 전자담배 사용이 가능하다. 아이코스에서는 전자기기를 가지고 오지 않은 고객이 흡연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기기 대여도 무료로 하고 있다. 𖠿 관련 글 보기: 마닐라 로빈슨 갤러리아 쇼핑몰 내 아이코스 흡연실 위치 안내 필리핀 아이코스 전자담배 가격 - 2024년 2월 기준 마닐라 로빈슨 갤러리아 쇼핑몰 내 아이코스 매장 필리핀 내 아이코스 매장 위치 지역 위치 주소 파사이 SM 몰 오브 아시아 Level 1, South Entertainment Mall, SM Mall of Asia, 123 Seaside Blvd, Pasay, 1300, Metro Manila 마닐라 시티 로빈슨 플레이스 마닐라 Level 2, Sta. Monica Atrium, Robinsons Place Manila, Pedro Gil cor. Adriatico Streets, Ermita, Manila, 1000 Metro Manila, Philippines 마카티 글로리에따 Glorietta 4 - Ayala Center, Ayala Ave 타귁 SM아우라 Upper Ground Floor (Atrium), SM Aura Premier, 26th Street, Corner McKinley Pkwy, Taguig, 1630 Metro Manila 타귁 보니파시오 하이스트릿 Unit 107, Lower Ground Floor, Bonifacio High Street Central, 7th Avenue 만달루용 더 포디움 The Podium, 12 ADB Ave, Ortigas Center 만달루용 SM메가몰 4th Floor Building B, SM Megamall EDSA, corner Doña Julia Vargas Ave, Ortigas Center 파식시티 에스탄시아몰 Estancia - Unit 3L-41, 3rd Floor, Estancia East Wing, Meralco Avenue 퀘존 SM North EDSA Upper Ground Floor, SM City North EDSA Annex Building, EDSA corner North Avenue 퀘존 SM Fairview Ground Floor, AX2, SM City Fairview, Quirino Highway corner Regalado Avenue, Novaliches 퀘존 로빈슨 갤러리아 Level 1, Robinsons Galleria, Ortigas Ave, Ortigas Center 퀘존 Eastwood Citywalk Unit A2-D, Ground Floor Eastwood Citywalk, East1, Bagumbayan, Quezon City, 1800 Metro Manila 퀘존 ETON Centris ETON Centris Courtyard & Walk Expansion Common Area, EDSA, Corner Quezon Avenue, Barangay Pinahan 라스피냐스 SM 사우스몰 Ground Floor, SM City Southmall, Alabang–Zapote Road, Las Pinas, 1740 Metro Manila 문틴루파 Festival Mall Filinvest Corporate City, Commerce Ave, Alabang 파라냐케 아얄라몰 마닐라베이 Ground Floor, Ayala Malls Manila Bay, Diosdado Macapagal Blvd, cor Aseana Ave 카비테 SM 다스마리냐스 Upper Ground Level, SM City Dasmarinas, Governor's Drive, Dasmariñas, 4114 Cavite, Philippines 세부 아얄라센터 Level 1, Ayala Center Cebu, Cebu Business Park, Cebu, 6000, Philippines 아얄라몰 마닐라베이 쇼핑몰 내 아이코스 판매점 - IQOS Pop-Up Store Ayala Malls Manila Bay 보니파시오 하이스트릿, IQOS Boutique Store BGC Highstreet IQOS Boutique Store BGC Highstreet 매장 방문 시 기기를 무료로 클리닝받을 수 있다. 마닐라 올티가스. IQOS Boutique Store Robinsons Galleria 마닐라 올티가스. IQOS Boutique Store Robinsons Galleria 파우치와 홀더캡 등 아이코스 액세서리도 판매한다. 아이코스 매장 안에서 흡연실을 볼 수 있다. 물론 전자담배만 피울 수 있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IQOS Philipp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제1공화국에서부터 제5공화국까지 구분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필리핀 제1공화국에서부터 제5공화국까지 구분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1일 1987년 필리핀 헌법 필리핀 공화국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공화국을 구분하는 기준은 국가 통치 구조의 변화다. - 필리핀 제5공화국은 피플 파워 혁명(EDSA 혁명) 으로 마르코스의 독재 정권이 끝난 1986년 이후 시작된다. 필리핀 제5공화국은 1987년 필리핀공화국 헌법 을 근간으로 한다. - 괴뢰국은 표면적으로는 스스로 독립적인 국가의 정부임을 표방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전적으로 특정 국가에 예속되어 사실상 외부 세력의 지시대로 운영되는 국가를 의미한다. - 아래 표에 마누엘 케손(제2대 대통령)과 세르히오 오스메냐(제4대 대통령) 전 대통령의 이름이 없는 것은 이들이 미국 식민지 시기인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의 대통령이었기 때문이다. 구분 기간 대통령 필리핀 제1공화국 1899년 1월 21일~1901년 3월 23일 에밀리오 아기날도(제1대 대통령): 1899~1901 필리핀 제2공화국 1943년~1945년 호세 라우렐(제3대 대통령): 1943~1945 일본 괴뢰국 필리핀 제3공화국 1946년~1972년 마누엘 로하스(제5대 대통령): 1946~1948 엘피디오 키리노(제6대 대통령): 1948~1953 라몬 막사이사이(제7대 대통령): 1953~1957 카를로스 가르시아(제8대 대통령): 1957~1961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제9대 대통령): 1961~1965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제10대 대통령): 1965~1972 ¹ 필리핀 제4공화국 1981년~1986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제10대 대통령): 1981~1986 ² 필리핀 제5공화국 1986년~현재 코라손 아키노(제11대 대통령): 1986~1992 피델 라모스(제12대 대통령): 1992~1998 조셉 에스트라다(제13대 대통령): 1998~2001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제14대 대통령): 2001~2010 베니그노 아키노 3세(제15대 대통령): 2010~2016 로드리고 두테르테(제16대 대통령): 2016~2022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제17대 대통령)2022~현재 ¹ 1972년 9월 23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계엄령 선포 ² 1981년 1월 17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계엄령을 해제하는 선언문 발표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역사: 필리핀 제1공화국의 존속 시기(1899년 1월 21일~1901년 3월 23일) 필리핀 역사: 필리핀 제4공화국의 존속시기(1981년~1986년) 말라카냥궁에 걸린 마르코스 일가의 사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재임시절 찍은 사진 옆으로는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가족을 이끌고 말라카냥궁으로 들어오는 사진이 보인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INQUIRER: Is there, in fact, a Fifth Philippine Republic?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여행: 마닐라 더 페닌슐라 호텔, 크리스마스 진저브레드 하우스 요리교실 진행 예정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필리핀 여행: 마닐라 더 페닌슐라 호텔, 크리스마스 진저브레드 하우스 요리교실 진행 예정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7년 11월 29일 과자로 만든 집에 대한 환상을 심어준 동화라고 하면 독일의 야코프 그림과 빌헬름 그림, 두 형제가 쓴 헨젤과 그레텔을 빼놓을 수 없다. 헨젤과 그레텔 남매가 부자가 되어 집으로 돌아가는 이 이야기는 언뜻 들으면 꽤 재밌는 모험 이야기로 들리지만, 자세히 알고 보면 잔혹한 이야기라는 평가가 더 많다. 아이들이 가난 때문에 부모에게 버림받았는데 기껏 찾아낸 숲속의 집에서는 자신을 식료품 정도로 생각하는 마녀가 살고 있다는 식이니 말이다. 살아남기 위해 오븐에 마녀를 넣는 장면에 이르러서는 으스스하기까지 하다. 그림형제가 15세기 독일 각지에서 파다하게 퍼진 영아 살해 관련 이야기를 모티브로 만들어 냈다는 이 동화를 놓고 아이들에게 위험한 상황에 놓이더라도 용기를 잃지 않고 어려움을 헤쳐나가자는 교훈을 주는 이야기라고 보기는 어쩐지 어렵다. 하지만 크리스마스 시즌에 등장하는 과자로 만든 집은 헨젤과 그레텔에 나오는 과자로 만든 집과 조금 다르다. 크리스마스 때 즐겨 먹는 생강과자인 진저브레드를 이용해서 만드는 이런 과자 집을 독일에서는 헥센하우스(Hexenhaus)라고 부르는데 맛은 둘째치고 상당히 예뻐서 특별한 크리스마스 장식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만드는 과정이 어려워서인지 필리핀에서는 판매하는 곳을 찾기 어려운 데다가 막상 판다고 해도 가격이 상당히 비싼 편이다. 특히 호텔 제과점에서 붙여둔 가격표를 보면 그냥 우베케이크나 또 먹어야 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그런데 크리스마스를 맞이하여 진저브레드(Gingerbread 생강쿠키)를 직접 만들고 싶다면 이번 주 토요일 마닐라의 더 페닌슐라 호텔로 가보자. 마카티 아얄라 트라이앵글 옆에 있는 페닌슐라 호텔에서 생강쿠키 집을 만들어 보는 요리교실을 연다는 소식이다. 고급 호텔에서 하는 워크숍이다 보니 워크숍 참여비의 가격이 좀 비싼 편이지만, 그만큼 양질의 시간이 되지 않을까 기대된다. 이 강연은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 사이(Session 1), 그리고 오후 2시부터 오후 4시 사이(Session 2) 두 번 진행되며, 어른과 아이 모두 참여가 가능하다. 마닐라 더 페닌슐라 호텔의 진저브레드 하우스 요리교실 The Peninsula Manila Gingerbread house Workshop ■ 날짜: 2017년 12월 2일 토요일 ■ 워크샵 요리교실 신청: 이메일 diningpmn@peninsula.com 혹은 전화 8872888로 신청 가능 ■ 비용: 요리교실 수강료 및 간식을 포함하여 1인 2천 페소 / 동반자 추가시는 1인당 1천 페소 ■ 장소: 더 페닌슐라 마닐라(The Peninsula Manila) 호텔 ■ 주소: Corner of Ayala and Makati Avenues, 1226 Makati City, Metro Manila ■ 위치: 마닐라 마카티 아얄라 트라이앵글 근처 마닐라 더 페닌슐라 호텔( The Peninsula Manila)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The Peninsula Manila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PC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콘텐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이에 대한 무단배포 및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글, 사진, 영상 등 콘텐츠의 내용을 사전 동의 없이 재편집하여 사용하거나, 출처 없이 필인러브의 콘텐츠를 무단 스크랩하여 사용하실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 Copyright 2025.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