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세부: 모알보알 페스카도르 섬, 3개월간 임시 폐쇄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필리핀 세부: 모알보알 페스카도르 섬, 3개월간 임시 폐쇄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1월 25일 모알보알 지역의 최고 다이빙 명소인 페스카도르 섬(Pescador Island)이 3개월간 임시 폐쇄된다는 소식이다. 태풍 라이(Rai)로 파괴된 섬을 복구하기 위함이다. 현재 페스카도르 섬 주변은 태풍으로 인해 산호초가 심하게 파괴된 상태. 세부 모알보알(Municipality of Moalboal)에서 지난 1월 19일 발표된 결의안(Resolution No. 10 series of 2022)에 따르면 자연 생태계가 복구될 수 있도록 페스카도르 섬 주변 지역을 3개월 동안 다이빙 및 스노클링 금지 구역으로 삼을 예정이다. 하지만 지역 내 다른 다이빙 장소나 해변 등은 대중에게 공개되며, 다이빙, 스노클링, 호핑투어와 같은 활동이 가능하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CDN Digital : Pescador Island closed to public for 3 months · Municipality of Moalboal : Resolution No. 10 series of 2022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뉴스: 필리핀에서 불법행위를 하는 경찰을 만났다면 어디로 신고해야 할까?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필리핀 뉴스: 필리핀에서 불법행위를 하는 경찰을 만났다면 어디로 신고해야 할까?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8월 27일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에서 불법행위를 하는 경찰을 만났다면 어디로 신고해야 할까? 필리핀 경찰(PNP) REGIONAL 3 지역 자문위원회(RAC)의 페이스북에 올라온 안내문에 따르면, 필리핀 경찰청 내에 경찰의 비리를 전담 수사하는 내사과(경찰감찰청) 전화번호는 0966-869-8789 또는 0908-469-4387 번호라고 한다. 참고로 PNP REGIONAL 3가 담당하는 지역은 팜팡가 산페르난도(San Fernando, Pampanga)를 중심으로 한 중앙루손지방이며, 지역 자문위원회(RAC : Regional Advisory Council) 는 RIAS3 활동 및 공공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조직이다. PNP REGIONAL 3 지역 자문위원회(RAC)의 페이스북에 올라온 필리핀 경찰감찰청 전화번호에 대한 안내문. 놀랍게도 한글로 적혀 있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Philippine National Police: Police Regional Office 3 - ORGANIZATIONAL CHART · Rac of Pnp.rais3 - PHILIPPINE NATIONAL POLICE REGIONAL3 INTERNAL AFFAIRS SERVICE-REGIONAL ADVISORY COUNCIL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생활: 마닐라 타귁시티의 트라이시클 요금
필리핀 교통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교통 필리핀 생활: 마닐라 타귁시티의 트라이시클 요금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11월 3일 필리핀 마닐라 타귁시티 필리핀 대사관 근처에 있는 바랑가이를 산책하다가 트라이시클 요금표가 붙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트라이시클 기사에게 꽤 후하게 팁을 주는 편이라서 요금이 얼마나 나왔는지 꼼꼼하게 확인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지정된 요금이 얼마인지 알아야만 팁도 적당히 줄 수 있게 된다. 결론만 말하면, 요즘 마닐라 타귁시티의 트라이시클 요금은 최소 12페소이다. 그리고 택시와 비슷하게 거리요금이 추가된다. 기본 요금 거리를 벗어나면 1km마다 1페소씩 요금이 올라간다고 보면 된다. 필리핀 트라이시클 요금 트라이시클 요금은 지역 및 승차 인원에 따라 달라진다. · 대상 지역: 필리핀 마닐라 타귁시티 (City of Taguig) · 요금: 기본 요금(12페소) + 거리 요금(1km마다 1페소 추가) · 비고: 타귁시청에서는 트라이시클 요금을 웹사이트에 공지하여 안내하고 있다. 웹사이트를 보면 총 34개의 TODA가 엠보 바랑가이에 있다는 안내문을 볼 수 있는데, 지난 2022년 4월에 엠보 바랑가이 (EMBO Barangays) 지역이 마카티시티에서 타귁시티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행정구역 변경으로 엠보 바랑가이 지역 내에서 운행되던 트라이시클이 타귁시티로부터 새로 운영허가증을 받아야만 했다. 참고로 TODA는 트라이시클 협회(Tricycle Operators and Drivers Association)을 의미한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행정구역 개편: 마카티가 아닌 타귁시티에 있게 된 마카티 대학 필리핀 트라이시클 요금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City Government of Taguig: TODA Fare Matric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뉴스: 필리핀항공을 사칭한 페이스북 가짜 이벤트 신종사기수법
필리핀 뉴스와 정보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뉴스와 정보 필리핀 뉴스: 필리핀항공을 사칭한 페이스북 가짜 이벤트 신종사기수법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7년 5월 30일 "OMG! 제가 비행기 티켓을 받을 수 없다고요? 이벤트 당첨이 되었던 것이 아니라고요?" 오늘 있었다는 새로운 컨셉의 사기 사건 하나. 오늘 낮의 일이다. 페이스북에 필리핀항공에서 항공권을 공짜로 주는 이벤트를 한다는 광고판이 올라왔다. 그리고 몇 시간 뒤, 저녁이 되자 필리핀항공 공식 페이스북에 그 이벤트가 가짜 이벤트였으니 조심하라는 안내문이 올라왔다. 낮에 페이스북에서 그 이벤트 페이지를 보았었지만 그저 필리핀항공에서 무언가 새로운 이벤트를 한다고 생각하고 무심하게 넘겼었는데, 그게 바로 사기 이벤트였다나 어쨌다나. 사건은 이렇다. 페이스북의 광고페이지를 통해 필리핀항공에서 한다는 깜짝 이벤트가 하나 올라왔다. 항공기 좌석이 다 차지 않고 남아서 빈 좌석을 가지고 이벤트를 한다는 이야기와 함께 진행된 이 이벤트는 클릭 몇 번으로 참여 가능한 그런 이벤트였다. 너무 쉽게 당첨되는 공짜 항공권 이벤트가 있다는 소식은 빠르게 사람들에게 퍼졌다. 사람들은 기꺼이 이벤트에 참여했고, 참여한 사람들은 모두 당첨이 되었다. 그리고 이벤트 당첨이 되었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즐거운 마음으로 자신들의 인적사항을 남겼다. 그런데 알고 보니 필리핀항공에서는 그런 이벤트 따위는 기획하지 않았고, 그 모든 것이 가짜였다나? 그러니까 그 이벤트는 그저 사람들의 인적사항 정보를 빼내기 위한 수단 이었다는 것이다. 나중에야 필리핀항공뿐만 아니라 에어아시아 그리고 세부퍼시픽 항공사까지 그 이름을 빌려 같은 형태로 가짜 이벤트가 진행되었음이 밝혀졌는데, 지금 아직 피해 규모조차 정확히 파악되지 못할 정도로 피해자가 많다고 한다. 누구나 이용하는 곳이 페이스북이다 보니 피해 대상도 필리핀 사람뿐만 아니라 외국인까지, 국적이나 연령, 나이도 다양하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보면 아주 쉽게 알아챌 만큼 이벤트 페이지가 허술했다는 점이다. 필리핀항공에서 한다는 이벤트 페이지 상단에 버젓이 에어아시아라는 글씨가 적혀있었으니 하는 이야기이다. 이벤트 페이지로 사용된 URL도 XX1host.us 따위니 아무리 봐도 정상적인 사이트 주소로 보이지 않는다. 하긴, 애초 페이스북 링크를 몇 번 클릭만 하면 비싼 항공권을 마구 준다는 것부터 수상하기도 한 일이었다. 하지만 원래 사기꾼이 속이려고 들면 속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이런저런 사기 유형을 미리 알고 조심하는 것만이 그나마 사기당하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이 된다. 꼼꼼히 보면 이벤트 페이지 문구들 모두 꽤 엉성하다. 지금 보면 누가 속을까 싶을 정도로 허술하기 짝이 없는 이벤트 페이지였지만, 상당히 많은 피해자가 나왔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Philippine Airl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도착한 곳은 세부가 아닌 호몬혼섬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도착한 곳은 세부가 아닌 호몬혼섬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2월 28일 1519년 9월 20일, 에스파냐의 카를로스 1세(카를 5세) 왕의 후원으로 향신료를 찾아 에스파냐(영어식 국명은 스페인)를 떠난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모두 건너 54,000km를 항해한 뒤 1521년 3월 중순이 되어서야 필리핀에 도착했다. 세부 시티의 산토니뇨 대성당 옆에 있는 '마젤란의 십자가(Magellan's Cross)'가 관광지로 워낙 유명하여서 마젤란하면 세부(Cebu)부터 떠오르지만, 실상 마젤란이 필리핀 도착 후 처음 상륙한 곳은 세부가 아니다. 필리핀 중부 비사야 지방 서쪽에 있는 동사마르주(Province of Eastern Samar)의 호몬혼섬이다. 호몬혼섬 Homonhon Island - 주소: Guiuan, Eastern Samar 1521년 3월 16일, 페르디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 1480년~1521년)은 3년에 가까운 긴 항해 끝에 필리핀의 레이테만(Leyte Gulf)에 도착했다. 당시 항해사가 멀리 넓은 사마르(Samar)의 육지가 보이는 것을 확인했지만, 마젤란은 이곳이 미지의 낯선 땅이라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는 배의 안전을 위해 호몬혼섬(Homonhon Island)의 한적한 해변에 닻을 내리고 배를 정박했다. 잠시 휴식 시간을 갖은 마젤란은 며칠 뒤 인근에 있는 술루안섬(Suluan Island) 사람들과 만나 배에 있던 물건을 물고기며 코코넛 등과 교환했고, 이렇게 술루안섬 사람들은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원정대와 교류한 최초의 필리핀인이 되었다. 그런데 동사마르주에는 마젤란이 도착한 호몬혼섬보다 더 유명한 섬이 하나 있다. 호몬혼섬에서 좀 더 남쪽으로 내려가면 보홀과 수리가오 사이에 아주 작은 섬이 있는데, 바로 마젤란이 필리핀에서 처음으로 나무 십자가를 세웠다는 리마사와섬이다. ※ 요즘은 호문혼섬에도 인구 4천 명 정도가 살아가고 있지만, 당시만 해도 무인도에 가까웠다고 한다. 마카티 아얄라 박물관(Ayala Museum)에 전시된 디오라마. 필리핀 최초의 부활절 미사를 묘사하고 있다. 리마사와섬 Limasawa Island - 주소: Limasawa, Southern Leyte '필리핀 가톨릭 종교의 발상지'라는 거창한 타이틀을 가지고 있지만, 실상 리마사와섬은 인구 6천 명 정도가 살아가는 작은 섬이다. 이 섬은 위아래로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섬의 북쪽 끝에서 남쪽 끝까지의 거리가 고작 8km밖에 되지 않는다. 바닷물이 파랗다 못해서 초록색이라는 리마사와의 사람들은 대부분 어업과 농업으로 살아가지만, 몇몇은 성지순례자와 다이버를 대상으로 숙박시설을 운영하기도 한다. 예전에 이곳에 가보고 싶어 타클로반 지역에 있는 로컬 여행사로 교통편을 문의한 적이 있는데, 타클로반 공항에서 차로 4시간 정도 달리면 항구(Padre Burgos Pier)가 나오고 이 항구에서 배를 타면 섬까지 1시간가량 걸린다고 했다. 이렇게 교통이 불편한데도 필리핀 사람들이 기꺼이 리마사와 섬에 가보기를 원하는 것은 이곳이 필리핀 최초의 부활절 미사 장소(First Easter Mass) 이기 때문이다. 역사에 따르면 마젤란은 1521년 3월 31일에 이곳 섬에 와서 페드로 데 발데라마 신부와 함께 가톨릭 미사를 거행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날 오후 섬의 가장 높은 언덕에 올라 바다가 보이는 장소에 나무로 만든 십자가를 세우고 세부로 떠났다는 것이다. 그래서 "마젤란이 리와사와에 십자가를 세운 순간 필리핀 기독교(가톨릭)의 역사가 시작됐다"는 식의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그런데 리와사와 아일랜드(Limasawa Island)는 섬 이름의 유래가 퍽 재밌다. 매우 당연한 이야기지만, 마젤란이 십자가를 세웠을 당시 섬 사람들은 스페인어를 하지 못했다. 그래서 섬사람들은 스페인 사람들이 섬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묻는 것을 통치자였던 라자(Rajah)에게 아내가 몇 명 있느냐는 질문이라고 오해했다고 한다. 리마사와 사람들은 낯선 이의 질문에 '우리 라자에게는 아내가 다섯 명이 있다'는 뜻에서 '리마스 아사와(lima’y asawa)'라고 답했고, 스페인 사람은 섬의 이름을 리와사마(Limasawa)라고 기록했다. 그러니까 순전히 의사소통의 문제로 섬의 이름이 리마사와가 되었다는 뭐 그런 이야기이다. 막탄전투를 묘사한 디오라마. 스페인 입장에서 보면 미개한 원주민에게 당한 것으로 보일 터이지만, 라푸라푸 입장에서 보면 스페인 침략자에 맞서 싸우고 승리한 셈이다. 세부로 간 마젤란 부활절 미사를 마친 마젤란은 리마사와섬에 계속 머물지 않았다. 그는 짐을 꾸려 며칠 뒤 바로 세부로 출발했다. 순풍이었는지 얼마 후 바로 세부에 도착한 마젤란은 이 지역을 다스리던 라자 후마본(Rajah Humabon)과 친교를 다지고 그를 기독교(가톨릭)로 개종시키는 것에 성공하였다. 라자 후마본과 그 일족은 1521년 4월에 필리핀인 최초로 기독교 세례를 받았는데 그걸 기념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것이 세부 시티에 있는 마젤란의 십자가(Magellan's Cross) 다. 당연히 500년 전에 만든 나무 십자가가 여전히 남아 있을 리는 없으니 관광객이 보는 것은 복제품이다. 그리고 마젤란이 라자 후미본과 그의 부하들의 세례를 기념하기 위하여 선물했다는 아기 예수상(산토니뇨, Santo Niño)은 세부의 시눌록 축제(Sinulog Festival)의 기원 이 되었다. 하지만 막탄섬을 다스리던 라푸라푸(Lapu-Lapu)를 너무 얕잡아 본 것이 마젤란의 실수였다. 소수의 병력만을 이끌고 전투에 나선 그는 1521년 4월 27일 있었던 막탄전투에서 전사한다. 마젤란이 사망하자 살아남은 선원들은 콘셉시온 호를 버리고 남은 배를 정비하여 귀국,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해 냈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세계일주였다. ※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막탄전투에서 사망하여 에스파냐로 돌아가지는 못했다. 그래서 실제로는 마젤란의 노예이자 통역사였던 엔리케가 세계 일주를 한 최초의 사람이라는 주장도 있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사람들은 왜 산토니뇨 아기 예수상에게 기적의 힘이 있다고 믿게 되었을까? 필리핀에서의 마젤란 항해 경로(MAGELLAN VOYAGE MAP) - 이미지 출처: National Quincentennial Committee 마닐라의 지상철 마갈라네스역(MRT Magallanes Station). Magallanes는 마젤란의 스페인식 표기라고 한다. 마젤란은 포르투갈에서 태어났으나 스페인으로 귀화했다. 포르투갈어 이름은 페르낭 데 마갈랴잉시(Fernando de Magalhes)이다. MRT Magallanes Station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ational Quincentennial Committee: Philippines First Circumnavigation Map · Philippines First Circumnavigation Map · Province of Southern Leyte: HISTORY OF LIMASAWA · ABS-CBN News: Limasawa, not Butuan: Gov’t historians affirm site of 1521 Easter Sunday mass in PH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정치: 임기 연장은 절대 불가! 필리핀 대통령의 임기와 출마 자격
필리핀 정치·법률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정치·법률 필리핀 정치: 임기 연장은 절대 불가! 필리핀 대통령의 임기와 출마 자격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15일 필리핀 대통령의 임기는 6년으로 단임제 이다. 필리핀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며, 대통령의 임기는 6월 30일 정오부터 시작하여 6년 후 같은 날 정오까지 가 된다. 유고 시 부통령이 대통령의 잔여 임기를 승계하게 되며, 만약 대통령과 부통령이 동시 유고 시에는 보궐선거 시까지 상원의장, 하원의장 순으로 대통령직을 대행하게 된다. 부통령 역시 6년의 임기를 가지지만, 대통령과 다르게 1회 중임할 수 있다. 부통령 자격은 대통령 피선 자격과 동일하다. 참고로 필리핀 대통령과 부통령은 직무 수행에 들어가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선서를 하게 된다. “나는 필리핀 대통령(또는 부통령 또는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성실하고 현명하게 나의 의무를 이행하고 헌법을 수호하며 법률을 집행하고 모든 국민을 공정하게 대하고 국가 봉사에 헌신할 것을 엄숙히 선서(또는 맹세)합니다. 신이시여 저를 도와주소서.” Malacanang Palace 대통령 선출 방법 국민 직접 투표로 선출 𖠿 관련 글 보기: 1억이 넘는 인구를 가진 필리핀에서는 대체 표를 얼마나 받아야 필리핀 대통령이 될 수 있을까? 필리핀 대통령의 임기 6년 단임제 (연임이나 중임 불가) The President shall not be eligible for any reelection.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대통령 임기가 6년 단임제가 된 이유 대선 출마 자격 1987년 헌법(1987 Constitution)에 따라 다음의 5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사람만이 필리핀 대통령이 될 수 있다. ① 필리핀에서 태어난 시민일 것 ② 등록된 유권자일 것 ③ 읽기와 쓰기가 가능할 것 ④ 선거 당일 40세 이상일 것 ⑤ 선거 직전 국내에 10년 이상 거주했을 것 ARTICLE VII, SECTION 2. No person may be elected President unless he is a natural-born citizen of the Philippines, a registered voter, able to read and write, at least forty years of age on the day of the election, and a resident of the Philippines for at least ten years immediately preceding such election. 비고: 대통령은 상원의원이나 하원의원보다 자격 요건이 좀 더 엄격한 편이다. 거주요건 나이요건 대통령 선거 직전 국내에 10년 이상 거주했을 것 40세 이상 상원의원 선거 직전 국내에 2년 이상 거주했을 것 35세 이상 하원의원 선거 직전 선거구에서 1년 이상 거주했을 것 25세 이상 1987년 필리핀공화국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재임이 불가하다. 1987년 필리핀공화국 헌법 - 필리핀 대통령 집행 권한에 대한 근거는 1987년 헌법 제7조 1항(Article VII, Section 1, of the 1987 Constitution)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통령은 행정기관(executive departments, bureaus, and offices)을 통제하며, 필리핀 국방부 사령관으로 활동하게 된다. - 필리핀 헌법(Constitution) 제12조에는 "대통령의 심각한 질병 시 국민에게 대통령의 건강 상태가 알려져야 한다."고 적혀 있다. - 국가원수인 대통령은 법률 제정을 담당하는 국회(입법부)와 독립된 행정적 실권을 가진다. - 대통령은 행정명령(Executive Order)을 비롯하여 집행명령(Administrative Order), 포고령(Proclamation), 메모 명령(Memorandum Orders), 메모 회람(Memorandum Circulars) 등을 발할 권한을 가진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정치: 현대판 왕조라는 필리핀의 가문정치 문화
필리핀 정치·법률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정치·법률 필리핀 정치: 현대판 왕조라는 필리핀의 가문정치 문화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17일 필리핀 대통령은 단임제로 연임이나 중임이 불가하다. 그래서 한번 대통령을 한 사람은 다음에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 그렇다면 상원의원과 하원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등의 선출직은 어떨까? 시장, 주지사 등의 선출직도 연임이나 중임이 불가할까? 상원의원과 하원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주지사, 시장 등)은 연임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재임 중에 치러지는 다음 선거에 출마해서 당선될 경우 연이어서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무제한 계속해서 연임할 수는 없다. 6년 임기의 상원의원은 한 번 더, 3년 임기의 하원의원은 두 번 더 연속하여 출마할 수 있다. 즉, 상원은 계속하여 최대 12년까지, 하원은 최대 9년까지 직무수행이 가능하다. 주지사(governor)나 부주지사(vice governor), 시장(mayor), 부시장(vice mayor)도 하원의원과 마찬가지이다. 최대 9년까지 연임하여 직무 수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방법이 없는 것이 아니다. 차기 선거에는 나갈 수 없어도 차차기 선거에는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한번 건너뛰고 나면 다시 선거에 출마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보통 연임이 불가한 시기가 되어 선거에 출마할 수 없게 되면 다른 선출직으로 옮겨가는 식으로 처리한다. 가족이나 친인척에게 자신의 자리를 잠시 넘겨주고 자신은 다른 선출직을 맡은 뒤 차차기 선거에서 다시 애초의 자리로 돌아오는 식이다. 그리고 이런 방식은 필리핀에 '가문정치' 문화를 만들었다. 정당보다는 인물이 중심이 되는 필리핀에서 유력 정치 가문(Political family)에서 정치권력을 세습하는 예는 무수히 많이 볼 수 있다. 필리핀 경제의 중심이라는 마닐라의 마카티 시티만 봐도 그렇다. 현재 마카티 시티의 시장은 아비가일 비나이(Abigail Binay)인데, 아비가일 비나이가 마카티 시장으로 취임하기 전에는 남동생인 준준 비나이가 마카티 시장이었다. 그런데 아비게일 비나이의 아버지가 바로 노이노이 아키노 대통령 시절 부통령이었던 조조 비나이(Jejomar Binay)이다. 조조 비나이는 마카티가 시로 승격되기도 전인 1986년부터 마카티의 시장으로 일했다. 그러니 1986년 이후 마카티 시장의 자리는 거의 비나이 집안 식구들의 차지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준준 비나이가 2015년 마카티 시청 건물과 관련된 부정부패 혐의로 갑자기 시장 자리에서 물러난 뒤 당시 부시장이었던 로물로 페냐가 잠깐 시장 자리에 맡았을 뿐이다. 하긴, 먼 곳에서 예를 찾을 필요도 없다. 당장 필리핀 대통령인 봉봉 마르코스만 봐도 아버지가 마르코스 전 대통령이다. 두테르테 전 대통령 역시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다바오 시장 자리를 딸인 사라 두테르테에게 물려주었다. 지난 선거에서 사라 두테르테가 부통령이 되면서, 현재 다바오 시장의 자리는 두테르테 전 대통령의 아들인 세바스찬 두테르테가 맡고 있다. 다바오가 두테르테의 왕국이라는 이야기가 괜히 나온 것은 아닌 셈이다. 봉봉 마르코스와 사라 두테르테의 홍보용 티셔츠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Malacanang Palac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정치: 역대 필리핀 대통령 목록(에밀리오 아기날도에서부터 마르코스까지)
필리핀 정치·법률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정치·법률 필리핀 정치: 역대 필리핀 대통령 목록(에밀리오 아기날도에서부터 마르코스까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19일 필리핀 정부에서는 에밀리오 아기날도 를 필리핀의 제1대 대통령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는 1899년 당시 필리핀은 아직 독립을 하지 못한 채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었다. 하지만 필리핀 정부에서는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재임기간을 불라칸 말로로스에 혁명정부(필리핀 제1공화국) 를 수립하고 대통령으로 취임했던 1899년 1월 23일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필리핀이 스페인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한 것은 아니지만, 독립에 대한 의지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참고로 필리핀 정부에서는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고향인 카비테(Cavite)의 집에서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 했던 1898년 6월 12일을 기준으로 독립 관련 행사를 하고 있다. 1571년~1898년: 스페인 식민지 시대 구분 사진 성명 재임기간 출생일/사망일 1대 에밀리오 아기날도 Emilio Aguinaldo 1899년 1월 23일 ~ 1901년 4월 1일 1869년 3월 23일 ~ 1964년 2월 6일(94세) 1898년~1946년: 미국 식민지 시대 · 1898년~1902년 7월 4일: 필리핀-미국 전쟁(Philippine-American War) · 1902년 7월 4일~1935년 11월 15일: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 (Insular Government of the Philippine Islands) · 1935년 11월 15일~1946년 7월 4일: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 1942년~1945년: 일본 점령기 · 1943년 10월 14일~1945년 8월 17일: 필리핀 제2공화국(일본 괴뢰국) 🜹 필리핀 역대 필리핀 대통령 목록을 보면 호세 라우렐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이 마누엘 루이스 케손 전 대통령과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의 재임기간이 다소 겹치는 시기가 있는데,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 시기와 필리핀 제2공화국(일본 괴뢰국) 시기가 겹치는 기간이 있기 때문이다. 구분 사진 성명 재임기간 출생일/사망일 2대 마누엘 루이스 케손 Manuel Luis Quezon y Molina 1935년 11월 15일 ~ 1944년 8월 1일 1878년 8월 19일 ~ 1944년 8월 1일(65세) 3대 호세 파키아노 라우렐 José Paciano Laurel 1943년 10월 14일 ~ 1945년 8월 17일 1891년 3월 9일 ~ 1959년 11월 6일(68세) 4대 세르히오 오스메냐 Sergio Osmeña 1944년 8월 1일 ~ 1946년 5월 28일 1878년 9월 9일 ~ 1961년 10월 19일(83세) 1946년 7월 4일~현재: 필리핀 공화국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은 미국으로부터 독립함 · 독립 후 첫 대통령은 마누엘 로하스이다. 필리핀의 제5대 대통령인 마누엘 로하스는 필리핀 대통령 취임 후 필리핀 독립을 정식으로 선포한 대통령이기도 하다. 구분 사진 성명 재임기간 출생일/사망일 5대 마누엘 로하스 Manuel A. Roxas 1946년 5월 28일 ~ 1948년 4월 15일 1892년 1월 1일 ~ 1948년 4월 15일(56세) 6대 엘피디오 키리노 Elpidio R. Quirino 1948년 4월 17일 ~ 1953년 12월 30일 1890년 11월 16일 ~ 1956년 2월 29일(65세) 7대 라몬 막사이사이 Ramon F. Magsaysay 1953년 12월 30일 ~ 1957년 3월 17일 1907년 8월 31일 ~ 1957년 3월 17일(49세) 8대 카를로스 P. 가르시아 Carlos Polistico García 1957년 3월 18일 ~ 1961년 12월 30일 1896년 11월 4일 ~ 1971년 6월 14일(74세) 9대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Diosdado P. Macapagal 1961년 12월 30일 ~ 1965년 12월 30일 1910년 9월 28일 ~ 1997년 4월 21일(86세) 10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Ferdinand E. Marcos 1965년 12월 30일 ~ 1986년 2월 25일 1917년 9월 11일 ~ 1989년 9월 28일(72세) 11대 마리아 코라손 코후앙코 아키노(코리 아키노) Corazon C. Aquino 1986년 2월 25일 ~ 1992년 6월 30일 1933년 1월 25일 ~ 2009년 8월 1일(76세) 12대 피델 발데스 라모스 Fidel V. Ramos 1992년 6월 30일 ~ 1998년 6월 30일 1928년 3월 18일 ~ 2022년 7월 31일(94세) 13대 조셉 에스트라다(조지프 에스트라다) Joseph E. Estrada 1998년 6월 30일 ~ 2001년 1월 20일 1937년 8월 19일~ 14대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Gloria Macapagal-Arroyo 2001년 1월 20일 ~ 2010년 6월 30일 1947년 4월 5일~ 15대 베니그노 아키노 3세(노이노이 아키노) Begnino S. Aquino III 2010년 6월 30일 ~ 2016년 6월 30일 1960년 2월 8일 ~ 2021년 6월 24일(61세) 16대 로드리고 두테르테 Rodrigo Roa Duterte 2016년 6월 30일 ~ 2022년 6월 30일 1945년 3월 28일~ 17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봉봉 마르코스) Ferdinand Bongbong Romualdez Marcos Jr. 2022년 6월 30일 ~ 현재 1957년 9월 13일~ 역대 필리핀 대통령 목록 보니파시오. Andres Bonifacio Monument in BGC 임시 대통령 아래 인물은 스페인 식민지를 거쳐 미국 식민지 시대까지 필리핀의 지도자 역할을 한 인물들이다. 정식 대통령으로 취임하지는 못했으나, 임시 대통령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성명 재임 기간 출생일 ~ 사망일 비고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Andrés Bonifacio 1896년 8월 24일~1897년 3월 22일 1863년 11월 30일~1897년 5월 10일 필리핀의 독립운동가 미구엘 말바르 Miguel Malvar 1901년 4월 1일~1902년 5월 5일 1865년 9월 27일~1911년 10월 13일 카티푸난의 멤버 / 필리핀의 독립운동가 마카리오 사카이 Macario Sakay 1902년 5월 6일~1906년 7월 14일 1870년 3월 1일~1907년 1월 9일 필리핀의 독립운동가 / 마닐라 근처에서 '카타갈루간 공화국'을 세움 · 미구엘 말바르는 필리핀의 독립운동가로 카티푸난의 멤버였다. 필리핀-미국 전쟁 시기에 지도자 역할을 했다. · 마카리오 사카이는 마닐라 근처에서 '카타갈루간 공화국'을 세우고 지도자가 되었지만, 필리핀 전체의 지도자 역할은 하지는 않았다. 역대 필리핀 대통령 목록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Malacanang Palac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정치: 다당제 국가 필리핀, 정당의 수는?
필리핀 정치·법률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정치·법률 필리핀 정치: 다당제 국가 필리핀, 정당의 수는?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11일 대한민국에는 모두 몇 개의 정당이 있을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정당의 수는 모두 49개이다. 이 수가 상당히 많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많다와 적다의 개념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그러니 필리핀과 비교하면 한국의 정당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게 느껴진다. 5년 정도 전의 일이지만, 필리핀의 정당의 수가 몇 개나 되는지 세어 본 적이 있다. 100개 넘게 세어보다가 그만두고, "필리핀에는 100개가 넘는 정당이 있다."라고 마무리를 하고 말았는데, 그 말을 "170개 가까이 있다"로 바꾸어야 할 것 같다. 2024년 현재는 필리핀 정당의 수가 대략 170개 정도로 파악되니 하는 이야기이다. 필리핀에 이렇게 많은 정당이 난립하는 것은 선거 출마나 정치인 개인의 이해관계 등 필요에 따라 정당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정당의 수가 워낙 많아서 그렇겠지만, 필리핀에서는 정당을 주요 정당(Major Parties)과 소수정당(Minor parties), 그리고 지역 군소정당(Local Parties)으로 구분한다. 필리핀에 몇 개나 되는 정당이 있는지 그 수를 헤아려보면, 일단 주요 정당과 의회의 의석을 가진 정당이 19개 있다. 여기에 소수정당(25개)만 더해도 44개이다. 거기에 지역 군소정당(Local Parties)이 있는데, 각 지역마다 정당이 어찌나 많은지 지역 군소정당도 아일랜드 그룹에 따라 구분한다. 그런데 루손섬(63개), 비사야제도(22개), 민다나오섬(34개)의 지역 군소정당만 해도 정당의 수가 119개에 달한다. 이게 끝이 아니다. 분명 존재는 하지만, 선거관리위원회(COMELEC, Commission on Elections)에 등록되지 않은 정당도 9개나 된다. 이렇게 해서 2024년 8월 현재 필리핀 정당의 수는 173개로 파악된다. (173이란 이 숫자는 언제든 바뀔 수 있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의 여당과 야당 - 필리핀의 주요 정당(2024년) 필리핀 정당의 수 2024년 현재 필리핀의 주요 정당으로는 필리핀 연방당(PFP)을 비롯하여 라카스 기독교-무슬림 민주당(Lakas–CMD), 국민당(NP), 국민통합당(NUP), 민족인민연합(NPC), 자유당(LP), 민주필리핀당(PDP) 등이 있다. 2024년 현재 여당은 필리핀 연방당(PFP)이다. 필리핀 정당 이름 abbreviation Partido Federal ng Pilipinas Federal Party of the Philippines PFP Lakas–Christian Muslim Democrats People Power–Christian Muslim Democrats Lakas–CMD Nationalist People's Coalition NPC Nacionalista Party Nationalist Party NP National Unity Party NUP Liberal Party LP Partido Demokratiko Pilipino Philippine Democratic Party PDP Partido para sa Demokratikong Reporma Party for Democratic Reforms PDR United Nationalist Alliance UNA Aksyon Demokratiko Democratic Action Aksyon Laban ng Demokratikong Pilipino Fight of Democratic Filipinos LDP Pederalismo ng Dugong Dakilang Samahan Federalism of the Noble Blooded Association PDDS Centrist Democratic Party of the Philippines CDP Akbayan Citizens' Action Party Akbayan Pwersa ng Masang Pilipino Force of the Filipino Masses PMP Anti-Crime and Terrorism Community Involvement and Support Partylist ACT-CIS 1-Rider Partylist Union of Motorists of the Philippines Ang Buklod ng mga Motorista ng Pilipinas Tingog Party List Voice of the East TPL 4Ps Party-list Strengthen and Grow the Filipino Livelihood Alliance for Barangay Concerns ABC Ang Kapatiran The Brotherhood or Alliance for the Common Good KPTRAN Bagumbayan–Volunteers for a New Philippines BVNP Bangon Pilipinas Rise Up Philippines BP Bigkis Pinoy Movement Bind Filipinos Movement BIGKIS Democratic Party of the Philippines DPP Katipunan ng Demokratikong Pilipino Society/Association of Democratic Filipinos KDP Katipunan ng Kamalayang Kayumanggi Society of Brown Consciousness KTPNAN Katipunan ng Nagkakaisang Pilipino Society of the United Filipinos KANP Kilusang Bagong Lipunan New society Movement KBL Kilusan ng Nagkakaisang Pilipino KNP Laban para sa Kapayapaan, Katarungan at Kaunlaran Struggle for Peace, Progress and Justice KKK Ladlad Coming Out LADLAD Partido Demokratiko Sosyalista ng Pilipinas Philippine Democratic Socialist Party PDSP Partido Komunista ng Pilipinas-1930 Philippine Communist Party PKP-1930 Partido Lakas ng Masa Party of the Laboring Masses PLM People's Reform Party PRP Labor Party Philippines WPP Medical Cannabis Party MEDCANN Partido Pilipino sa Pagbabago Filipinos for Change Party PPP People's Progressive Humanist Liberal Party PolPHIL Philippine Green Republican Party PGRP Progressive Movement for the Devolution of Initiatives PROMDI Reform PH - People's Party RP Sanlakas SANLAKAS Makatizens United Party MKTZNU Move Makati Malay Democrats of the Philippines MDP Kabalikat ng Bayan sa Kaunlaran KABAKA Philippine Christian Nationalist Party PCNP Serbisyo sa Bayan Party SBP Retailers Party Liping Kalookan Katipunan ng Bagong Caloocan KABACA Kasangga ng Bayan, Tao, Kalikasan at Kaunlaran KABATAK Kilusang Diwa ng Taguig KDT Caloocan Team for Action and Progress CATAPAT Partido Tapat Partido Navoteño NVTEÑO Reform Caloocan Party United Citizens of Caloocan Party UCCP Partido Magdiwang Lingkod ng Mamamayan ng Valenzuela City LINKOD Kambilan Party Lingkod Bayan-Sulong Taguig Coalition LINGKOD TAGUIG Asenso Manileño AMM Kapayapaan, Kaunlaran at Katarungan KKK Movement for Economic Transformation & Righteous Opportunities METRO Samahang Kaagapay ng Agilang Pilipino AGILA United Benguet Party UBP Bileg Ti La Union Bileg Ti Ilocano BILEG Biskeg na Pangasinan Party BISKEG Democratic Tabula Tua Buklod Capampangan Lapiang Bagong Lakas ng Nueva Ecija BALANE Lingap Lugud Capampangan Party Pinag-isang Lakas Tungo sa Pagbabago PINATUBO Sama Sama Tarlac Democratic Alliance DA Partido del Pilar Nagkakaisang Partido ng mga Kapampangan Unang Sigaw-Partido ng Pagbabago USPP Kalapian ng mga Kaibigan ng Kaunlaran-Bayan ng Hagonoy LAPIANG K Kapanalig at Kambilan Ning Memalen Pampanga KAMBILAN Partido Malolenyo PM Sulong Zambales Party SZP Partido ABE Kapampangan PAK, ABE Partido Balikatan ng Bataan BALIKATAN Partido Magdalo Forward with Vitality for Reforms-Sigaw ng Kabite FVR-Sigaw Quezon Nationalist Democratic Party QNDP Pangkat Laguna Partido Dimasalang Partido Batangueño Partido ng Masang Batangueno PMB Union of Nationalist Democratic Filipino Organization UNIDO One Batangas Movement One Batangas Partido Bagong San Pablo People's Alliance Development of Romblon PADER People's Empowerment sa Lungsod Agham PELA Partido Pagbabago ng Palawan PPP Sulong Palawan Party SPP Mindoro Sandugo Para sa Kaunlaran SANDUGO Bicol Saro Catanduanes Alliance for Reform and Democracy CARD Alliance of Bicolnon Party ABP-BICOLNON Ako Bicol Political Party AKB Panaghiusa PANAGHIUSA Paglaum Party Kusog Han Eastern Samar People's Progressive Alliance for Peace and Good Government Towards Alleviation of Poverty and Social Advancement Partido PAGASA Pusyon Pilipino Abante Anak Bisaya United Negros Alliance UNA Barug Alang sa Kauswagan ug Demokrasya BAKUD Alayon Alang sa Kalambu-an ng Kalinaw ALAYON Katig-buan Nortehanon Partido Pundok Biliranon Aton Tamdon Utod Negros-anon ATUN Kugi Uswag Sugbo KUSUG Ugyon Timawa United Guardians Party UGP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Advancement EDSA Democracy of the Independent Liberal Conservative Party DILC Ugyon Kita Capiz UK CAPIZ One Cebu 1-CEBU Bando Osmeña - Pundok Kauswagan BOPK Partido Barug BARUG Hugpong ng Pagbabago HNP Hugpong sa Tawong Lungsod Hugpong Christian Muslim Independent Party CMIP Aggrupation of Parties for Prosperity APP Sarangani Reconciliation and Reformation Organization SARRO Islamic Party of the Philippines IPP Ompia Party OMPIA Democratic Alliance of Mindanaoans for Good Government DAMAGO Muslim Reform Party MRP Ummah Party Compostela Valley Rainbow Alliance CORAL Cotabato United People's Movement Lanao People's Party Serbisyong Inklusibo-Alyansang Progresibo SIAP Padajon Surigao PS People's Champ Movement PCM Citizens Call for Action Party of Zamboanga City CCA Adelante Zamboanga Party AZAP Aksyon Magsasaka-Partido ng Tinig ng Masa AKMA-PTM Achievers with Integrity Movement AIM Padayon Pilipino PADAYON Partido Prosperidad y Amor Para na Zamboanga PAZ People's Consultative (Mushawara) Party Bukidnon Paglaum BPP United Bangsamoro Justice Party UBJP Bangsamoro Party BaPa Bangsamoro People's Party BPP Al Ittahad-UKB Party Al Ittahad-UKB Salaam Party Indigenous People's Democratic Party IPDP Mahardika Party Rayyat Development Party RDP Basilan Unity Party BUP Tawi-Tawi One Party TOP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Senate of the Philippines: http://www.senate.gov.ph · House of Representatives: www.congress.gov.ph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2023년 7월 기준 필리핀 입국 서류 - 백신접종증명서, 음성확인서 없이 필리핀 입국 가능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2023년 7월 기준 필리핀 입국 서류 - 백신접종증명서, 음성확인서 없이 필리핀 입국 가능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7월 25일 필리핀 입국 시 백신접종증명서나 음성확인서를 준비하는 일이 힘들었다면 상당히 반가운 소식이다. 드디어 지난 금요일 필리핀의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은 포고령을 통해 코로나19 관련 전국에 선포되었던 비상사태를 해제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기간 중 공중보건 비상사태 발생으로 인해 시행되었던 각종 집행명령과 행정명령, 메모회람 등이 모두 해제 또는 취소될 예정이다. 백신에 대한 긴급사용허가 부분만은 백신 사용을 위한 목적으로 1년 동안 유효하게 유지되지만, 대중교통(비행기 기내 포함) 이용 시 마스크 착용 등과 같은 규정을 포함하여 코로나19와 관련된 대부분의 규제가 해제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해제되는 규제에는 필리핀 입국 시 백신접종증명서나 음성확인서 제출에 대한 부분도 포함된다. 다만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발표한 필리핀 국가 공중보건 비상사태 해제와 관련하여 이민국이나 보건부, 검역국 등 각 정부 기관에서 세부 지침을 아직 발표되지 않은 상황이라 시행 초기에는 약간의 혼선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이트래블(eTravel) 사이트 의 경우 FAQ 부분은 아직 업데이트되지 않아서 백신접종증명서 또는 음성확인서가 필요하다고 기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이트래블 QR코드 등록을 해보면 Health Declaration 단계에서 아래와 같은 문구를 볼 수 있으니 백신미접종자도 안심하고 음성확인서 없이 필리핀 입국 서류를 준비하면 되겠다. As of July 22, 2023, No Covid-19 test or Vaccination requirement when traveling to the Philippines. 필리핀 입국 시 백신접종증명서 또는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 해제 ■ 근거: 대통령 포고령 제297호(Proclamation No. 297) ■ 시행일: 즉시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했던 지난 2020년 3월 8월,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대통령은 포고령(Proclamation No. 922)를 통해 전국적으로 국가 공중보건 비상사태(State of Public Health Emergency)를 선포했다. 그리고 이 포고령이 발표되고 불과 2주만에 모든 국적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필리핀 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지역 봉쇄에 나섰다. 그런데 당시 두테르테 전 대통령이 발표한 포고령을 보면 '해당 포고령은 대통령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유효하다'는 내용이 적혀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번에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발표한 포고령을 보면 총 2장으로 되어 있는데 첫 장에 기재된 내용이 바로 해당 내용이라고 보면 된다. ※ 헌법이나 법률에서 부여하는 권한에 따라 필리핀 대통령은 정부 정책에 대해서 대중에 발표하는 포고령(Proclamation)을 발할 권한을 가진다. 프라클러메이션(Proclamation)의 경우 포고령 또는 선언문으로 번역된다. 필리핀 입국 시 백신접종증명서 또는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 해제됨을 알리는 주한필리핀대사관의 안내문 필리핀 입국 시 작성하는 이트래블 등록 화면 필리핀 국가 공중보건 비상사태 해제로 인해 비행기 안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도 사라진다. 필리핀 마닐라 산후안시티 필리핀 마닐라 파식강 주변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한필리핀대사관: ADVISORY ON PRESIDENTIAL PROCLAMATION NO. 297 LIFTING OF THE STATE OF PUBLIC HEALTH EMERGENCY THROUGHOUT THE PHILIPPINES DUE TO COVID-19 · Official Gazette : Proclamation No. 297, s. 2023 · Proclamation No. 297 : Lifting of the state of public health emergency throughout the Philippines due to Covid-19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