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세부퍼시픽 항공사 기내수하물 7kg 규정 적용 강화 예정(위탁수하물 추가 요금 안내)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세부퍼시픽 항공사 기내수하물 7kg 규정 적용 강화 예정(위탁수하물 추가 요금 안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8년 7월 16일 앞으로 세부퍼시픽 항공사를 이용할 때는 기내 반입 수하물의 개수와 무게에 대해 신경을 쓰고 공항에 가야 할 것 같다. 지난주 금요일, 세부퍼시픽(Cebu Pacific)에서 '1 hand-carry baggage' 정책의 지침을 새롭게 발표했다. 이 지침에 따르면 다음 주부터 기내수하물 반입 규정이 예전보다 훨씬 엄격히 적용될 예정이다. 여행기념품을 담은 쇼핑백 등을 추가로 들고 가려고 한다면 규정에 어긋남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세부퍼시픽 기내수하물 규정 적용 강화 방침 ■ 시행일: 2018년 7월 17일 화요일 ■ 무게 제한: 7kg 이하 ■ 수량 제한: 기내수하물 가방 1개와 핸드백 혹은 노트북 가방까지 기내 반입 가능 ■ 크기 제한: 가로 56cm, 세로 36cm, 높이 23cm 이내로 제한 (ATR 기종의 항공기 탑승인 경우는 56cm x 35cm x 20cm) ■ 비고 - 핸드백과 같은 작은 가방이나 노트북(노트북 가방 포함)은 추가로 가져갈 수 있음. 단, 작은 백은 35 cm x 20 cm x 20 cm 이내의 크기로 좌석 아래 공간에 놓을 수 있어야 함 - 어린아이를 동반한 경우에도 같은 규정이 적용되지만, 아이 용품을 위한 작은 가방(baby bag) 하나는 추가 가능함 - 머리 위 선반에 수납 가능한 크기로 손잡이, 바퀴, 주머니 포함하여 크기 책정 세부퍼시픽 위탁수하물 관련 규정 - 세부퍼시픽 항공의 항공권에는 기본적으로 항공료에 수화물 비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 7kg 기내수하물(Carry-On Baggage) 외의 위탁수하물(Checked Baggage)에 대해서는 별도로 수하물 신청을 하고 추가 요금을 내야만 이용할수 있다. - 수하물 사전구매는 무게에 따라 15kg, 20kg, 30kg, 40kg 단위로 선택할 수 있다. 공항에 가서 무게를 쟀을 때 무게가 초과하면 기존 초과 수하물 요금이 적용된다. - 수하물 추가는 세부퍼시픽 홈페이지나 고객센터 등을 통해 신청하면 되는데, 항공기 출발 4시간 전까지만 신청 가능하다. - 승객 한 명당 항공편당 사전 지불 수하물 허용량: 1개 (15kg, 20kg, 30kg, 40kg 중 하나만 선택 가능) - 무게 제한: 가방 1개당 최대 32kg (40kg을 선택하는 경우 2개의 가방에 나누어야 함) - 유모차 및 보행기는 무료로 체크인 가능 - 수하물 사전구매 서비스는 환불 취소 또는 다른 승객에게 양도가 되지 않는다. - 위탁수하물에 대한 보호 정책 : 세부퍼시픽 항공사에서는 운항 중 발생한 수하물 분실 및 손상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필리핀, 한국, 일본, 대만 및 마카오에서 출발하는 승객만 수하물 보호 정책이 적용을 받을 수 있으며, 보상 금액도 많지 않다. 수하물 보상은 수하물을 체크인할 때 개시되며 목적지 공항에서 수하물을 찾으면 종료된다. 이 규정에 따르면 수하물 분실 때에는 최대 100,000페소까지, 수하물 파손 때에는 최대 200,000페소까지 보장된다. - 세부퍼시픽 항공사를 이용하면서 짐이 있다면 위탁수하물을 사전 구매하는 것이 좋다. 공항에 가서 수하물 구매하면 사전구매한 것 보다 훨씬 요금이 비싸지기 때문이다. - 수화물 요금은 노선의 거리 및 환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항에서 수하물을 부치는 경우 필리핀 내 국내선 및 단거리 국제선은 kg당 200페소의 요금이 적용되지만, 장거리 국제선의 경우 kg당 800페소가 추가되기도 한다. - 추가 수하물 신청 : 세부퍼시픽 홈페이지 내 예약 관리 > 부가서비스 구매 > 수하물 추가 세부퍼시픽 위탁수하물 사전구매요금 Prepaid Baggage 2018년 7월 16일 현재 확인되는 요금으로 환율 및 항공사 사정에 따라 변동 가능함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CEB Prepaid Baggage Terms and Conditions · Cebu Pacific Air, one hand-carry baggage policy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2021년 3월 20일부터 외국인 입국 전면금지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2021년 3월 20일부터 외국인 입국 전면금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1년 3월 17일 필리핀 국기 2021년 3월 19일 내용 수정 필리핀 입국 관련 내용이 다소 변경되었습니다.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필리핀인의 배우자 및 자녀는 외국인 입국금지 기간에도 입국 가능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와중에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까지 발견됨에 따라 필리핀 정부에서 필리핀 입국 금지에 나섰다. 어제(3월 16일) 오후 10시 30분에 NTF(National Task Force Against COVID-19)에서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새로 작성된 각서(IATF EID Memorandum Circular No. 5, s. 2021)를 하나 올렸다. 이 각서에 따르면 3월 20일부터 4월 19일까지 외국인의 필리핀 입국이 금지된다. 해외근로자(OFW)가 아닌 필리핀 인의 입국도 일시 중단된다. 한편, 관련하여 이민국에서는 아직 공지문을 올리지 않은 상태이다. 코로나19 방역 문제로 이민국 본청(BI main office)은 오늘까지 문을 닫을 예정이다. 필리핀 입국 규정 변경 적용 기간 2021년 3월 20일 토요일 ~ 2021년 4월 19일 월요일 입국 금지 대상자 ① 외국인 ② Non-OFWs : OFW가 아닌 필리핀인(Returning Overseas Filipinos) 예외 - 필리핀 입국 가능 대상자 ① 해외근로자(OFW) Overseas Filipino Workers ② 선원비자(9C비자) 소지자 선원으로 항만에 정박하면서 임시적인 입국을 원하는 자에게 발급하는 비자 ③ DFA-OUMWA나 OWWA가 승인한 의료적인 목적의 귀국 Medical repatriation and their escort/s duly endorsed by th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Office of the Undersecretary for Migrant Workers (DFA-OUMWA) or the Overseas Workers Welfare Administration ④ 외교부(DFA) OUMWA가 승인한 필리핀인의 귀국 Distressed returning overseas Filipinos duly endorsed by the DFA-OUMWA * OUMWA : Office of the Undersecretary for Migrant Workers Affairs ⑤ 긴급, 인도주의적 이유로 NTF에서 입국을 승인한 경우 Emergency, humanitarian, and other analogous cases approved by the NTF COVID-19 필리핀 마닐라. Overseas Filipino Bank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PH suspends entry of foreigners, non-OFW returnees · National Task Force Against COVID19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인천공항 내 관공서 및 취항 항공사 고객센터 전화번호 - 2020년 기준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인천공항 내 관공서 및 취항 항공사 고객센터 전화번호 - 2020년 기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1월 22일 항공사에서 운영하는 고객센터 대부분은 통화가 쉽지 않다. 자연재해 등을 이유로 항공편이 한꺼번에 결항하는 일이라도 발생하면 고객센터와 전화하기란 더욱더 어려워진다. 그나마 항공사에서 국내에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면 다행이지만, 에어아시아처럼 인도에만 고객센터가 있다고 하면 대단히 난처해진다. 인도까지 국제전화를 걸어 이야기하는 것 자체도 부담이지만, 전화 비용도 염려되지 않을 수 없다. 통화 연결이 쉽지 않다고는 해도 필리핀항공과 세부퍼시픽 항공사에서 한국 고객센터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다행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항공권을 예약한 것이 아니라 여행사나 항공권 예약 사이트 등을 통해 항공권을 발권했다면 굳이 항공사로 전화할 필요가 없다. 항공사 고객센터로 전화를 해도 십상팔구 예약한 곳으로 연락하여 처리하라는 안내를 받게 되기 때문이다. 항공권 발권을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예약한 곳을 통해서만 항공권의 취소 또는 환불 처리가 되는 곳도 많다. 개인적으로 항공권을 중개하는 온라인 여행 예약 사이트(OTA - Online Travel Agency)의 이용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해외에 기반을 두고 있는 트립닷컴이니 고투게스트의 직원과 통화하는 일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기 때문이다. 참고로 한국소비자원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글로벌 숙박·항공 예약대행 사이트 관련 소비자 불만 접수 건은 총 2,024건이었는데, 그중 80.6%(1632건)이 아고다(싱가포르), 부킹닷컴(네덜란드), 트립닷컴(중국), 고투게스트(스웨덴), 트래블제니오(스페인) 등 5개 업체 관련 불만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예약 후 전혀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것이 고투게이트의 주요 불만 사례였다. 인천국제공항(Incheon Airport) ① 인천국제공항 내 관공서 전화번호 구분 터미널 전화번호 인천공항검역소(예방접종실) 제1여객터미널 032-740-2700/2703 인천공항검역소(예방접종실) 제2여객터미널 032-740-3403 동물검역 제1여객터미널 032-740-2660 동물검역 제2여객터미널 032-740-2028 식물검역 제1여객터미널 032-740-2077 식물검역 제2여객터미널 032-740-2029 수산물검역 제1여객터미널 032-740-2981 수산물검역 제2여객터미널 032-740-2971 병무신고사무소 제1여객터미널 032-740-2500~1 병무신고사무소 제2여객터미널 032-740-2502 세관신고안내 제1여객터미널 032-722-4114 세관신고안내 제2여객터미널 032-723-5150~1 출입국관리사무소 제1여객터미널 032-740-7115 출입국관리사무소 제2여객터미널 032-740-7361~2 우체국 제1여객터미널 032-740-2900~1 유실물관리소 제1여객터미널 032-741-3114 유실물관리소 제2여객터미널 032-741-8988/8989 영사민원서비스센터 제1여객터미널 032-740-2773 영사민원서비스센터 제2여객터미널 032-740-2782~3 인천국제공항(Incheon Airport) ② 인천국제공항 긴급전화 구분 터미널 전화번호 공항이용안내(Help Desk) 제1여객터미널/제2여객터미널 1577-2600 해외에서 이용시(82-2-1577-2600) 의료센터(인하대학교병원) 제1여객터미널 032-743-3119 의료센터(인하대학교병원) 제2여객터미널 032-743-7080 유실물관리소 제1여객터미널 032-741-3110/3114/8991/8992 유실물관리소 제2여객터미널 032-741-8988/8989 자원봉사센터 제1여객터미널 032-741-3555 자원봉사센터 제2여객터미널 032-741-8987 공항소방대(화재) 제1여객터미널 032-741-2119 공항소방대(화재) 제2여객터미널 032-741-2119 도난·범죄 신고 제1여객터미널 032-740-0112 도난·범죄 신고 제2여객터미널 032-740-0112 폭발물 신고 제1여객터미널 032-741-4000 폭발물 신고 제2여객터미널 032-741-4425 테러,침입,탈주 신고 제1여객터미널 032-741-4949 테러,침입,탈주 신고 제2여객터미널 032-741-0202 수도고장 신고 제1여객터미널 032-741-2460~2 수도고장 신고 제2여객터미널 032-744-8900~1 승강설비고장 신고 제1여객터미널 032-741-6931~6 승강설비고장 신고 제2여객터미널 032-741-3482 통신서비스 불편신고(인터넷,전화,TV) 제1여객터미널/제2여객터미널 032-741-7000 전기고장 신고 제1여객터미널 032-741-7514(제1여객터미널) 032-741-7408(제1교통센터) 032-741-9168(탑승동) 전기고장 신고 제2여객터미널 032-741-7430(제2여객터미널) 032-741-7440(제2교통센터) 인천공항에서 항공사 사무실을 방문하고자 한다면 2층으로 가면 된다. ③ 국내 항공사 구분 전화번호 대한항공 1588-2001 아시아나항공 1588-8000 에어부산 1566-3060 에어서울 1800-8100 에어인천 032-719-7890 이스타항공 1544-0080 제주항공 1599-1500 진에어 1600-6200 티웨이항공 1688-8686 인천국제공항(Incheon Airport) ④ 외국 항공사 구분 전화번호 아에로플로트 러시아항공 080-822-0244 아에로멕시코 02-754-6336 에어 아스타나 02-3788-9170 캐나다항공 02-3788-0100 에어 프랑스 02-3483-1033 에어인디아 리미티드 02-752-6310 에어 재팬 주식회사 02-2661-6337 에어마카우 02-779-8899 에어 뉴질랜드 02-737-4025 필리핀에어아시아 050-4092-00525 에어아시아엑스 050-4092-00525 알리탈리아 02-2222-7890 아메리칸항공 02-3483-3909 오로라항공 032-741-6035 에어로로직 032-744-0884 중국국제항공 001-80086-100-999 에어홍콩 032-744-6766 에어브릿지 화물항공 02-712-5803 아틀라스항공 02-752-6310 영국항공 02-3483-3337 뱀부 항공 02-6328-1166 캐세이패시픽항공 032-744-6777 세부퍼시픽항공 02-6105-2037 중화항공 032-743-1513 중국화물항공 02-518-0330 중국동방항공 1661-2600 중국남방항공 1899-5539 체코항공 1544-9474 카고룩스항공 02-2663-8200 카고룩스 이탈리아 항공 02-2663-8200 중국우정항공 032-744-4785 델타항공 0079-8651-7538 에미레이트항공 02-2022-8400 에티오피아항공 02-733-0325 에티하드 항공 02-3483-4888 에바항공 032-744-3512 핀에어 02-730-0067 FedEX항공 080-023-8000 가루다인도네시아 02-773-2092 하와이안 항공 02-775-5552 홍콩항공 032-743-1012 홍콩익스프레스 007-988-523-8014 일본항공 02-757-1711 젯스타 - 젯스타 퍼스픽 항공 613-9645-5999 케에엘엠네덜란드항공 02-3483-1033 칼리타항공 02-775-2333~4 라오항공 02-6262-0808 폴란드항공 02-3788-0270 루프트한자 독일항공 02-6022-4228 말레이시아 에어라인스 02-3483-4849 몽골항공 02-756-9761 미얀마국제항공 02-319-7676 팔익스프레스 항공 1544-1717 팬퍼시픽항공 1588-1308 피치항공 02-2023-6764 필리핀항공 1544-1717 폴라에어카고 02-3211-3185 카타르항공 032-744-3370 청도항공 02-2039-0737 로얄브루나이항공 02-777-7556 S7항공 080-729-0882 스쿠트타이거항공 023-483-5423 산동항공 032-743-8202 상하이항공 1661-2600 심천항공 0086-755-8881-4023 사천항공 86-28-8888-8888 싱가포르항공 032-744-6500 스카이 앙코르 항공 02-752-2633 춘추항공 032-743-6990 실크웨이웨스트항공 02-779-8864 타이에어아시아엑스 050-4092-00525 타이항공 02-3707-0114 천진항공 86-10-95350 터키항공 02-6022-4270 타이거에어 타이완 886-2-5599-2555 미국남부화물항공 032-742-9257 유니항공 032-744-3512 유나이티드항공 02-751-0300 유피에스항공 1588-6886 우즈베키스탄항공 02-754-1041 비엣젯항공 032-743-0370 베트남항공 1577-9908 샤먼항공 02-3455-1666 야쿠티아항공 02-335-6944 한국에서 필리핀으로 전화를 할 때는 앞에 63(필리핀 국가코드)을 추가하고 지역 번호의 0을 제외하면 된다. 그리고 해외에서 한국으로 전화를 걸 때는 '국제전화서비스코드(exit code) + 82(한국 국가코드) + 지역 번호(앞자리 ‘0’은 제외) + 전화번호' 로 전화를 걸면 된다. 핸드폰 번호를 걸 때도 앞자리 ‘0’을 제외하고 걸어야 한다. (예) 휴대전화 : 상대방 번호 010-123-4567 으로 전화를 건다고 할 때, 00-82-10-1234-5678 유선전화 : 상대방 번호 02-123-4567 으로 전화를 건다고 할 때, 00-82-2-1234-5678 항공사 고객센터 전화번호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인천국제공항 고객센터 · '환불 NO'피해 주의보...3년간 글로벌 숙박·항공 예약대행 소비자 불만 '2000건'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지도: 한반도 면적의 1.3배라는 필리핀 섬의 크기 순위 - 2018년 기준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지도: 한반도 면적의 1.3배라는 필리핀 섬의 크기 순위 - 2018년 기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8년 7월 5일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섬을 가진 나라는 인도네시아이다. 세계 최대의 군도 국가답게 인도네시아는 무려 13,466개의 섬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6,000개의 섬에 사람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 13,466개는 2012년 개최된 유엔지명표준화회의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등록한 섬의 개수를 기준으로 한 숫자이다. 일부에서는 인도네시아 섬 개수를 약 2만 개로 보기도 하니 대단한 숫자가 아닐 수 없다.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섬이 많은 나라는 필리핀으로 약 7,107개에 달한다. 3위는 6,852개의 섬을 가지고 있다는 일본이다. 우리나라가 4위인데 섬 개수를 대략 3,400개로 보고 있다. 2010년 국토해양부가 공식집계로 제시한 섬 총수는 3,358개였으며, 우리나라도 3,400여 개의 섬 중 85.65%에 달하는 2,876개의 섬이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섬 숫자를 정확히 집계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작업이다. 지적도에도 잡히지 않는 무인도가 많은 데다가 때에 따라 섬 개수가 변하기도 한다. 기후변화로 해수면 상승이 계속되면 섬이 사라지기도 하고 화산 분출이나 지진 등으로 섬이 새로 생기기도 하는 식이다. 그래서 집계할 때마다 그 숫자가 들쑥날쑥할 수밖에 없다. 정확한 섬 개수는 귀신도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이다. 필리핀도 필리핀의 섬이 과연 몇 개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좀 있지만, 그래도 그동안 필리핀에서 홍보해온 것은 바로 "7,107개의 섬나라 필리핀"이다. 일각에서는 7,641개라는 주장도 있지만, 필리핀 관광부(DOT) 자료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총 7,107개의 섬이 있다. 하지만 이 7천 개의 섬에 모두 사람이 사는 것은 아니다. 면적이 I㎢ 이상 되는 섬은 500개밖에 되지 않으며 이름 없는 섬도 수천 개가 넘는다고 한다. 7천여 개의 섬 중 2천여 개의 섬만이 사람이 사는 유인도이기도 하다. 좀 더 필리핀의 섬을 자세히 보고 싶어 필리핀 지도를 펼쳐 보면 북쪽으로는 대만, 남서쪽으로는 말레이시아, 남쪽에는 인도네시아가 근접해 있음을 볼 수 있다. 동서 길이는 1,100km이지만 남북으로 보면 길이가 1,850km에 이르는데, 위에서부터 아래로 루손 섬(Luzon), 비사야 제도(Visayas), 민다나오 섬(Mindanao) 세 지역으로 나누기도 한다. 루손 섬과 민다나오 섬 사이에 있는 비사야(Visayas)제도 지역에 큰 섬 7개를 포함하여 약 6천 개의 작은 섬이 흩어져 있다. 네그로스 섬, 레이테 섬, 보홀 섬, 사마르 섬, 세부 섬, 파나이 섬 등이 비사야 제도에 속한다. 그렇다면 그 많고 많은 필리핀의 섬 중에서 어떤 섬이 가장 클까? 1위는 단연 루손섬이다. 수천 개의 섬 중에 가장 큰 섬은 수도인 마닐라가 있는 루손 섬으로 104,688 km²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도 15번째 큰 섬으로 꼽힌다. 루손 섬 다음으로 큰 섬은 민다나오 섬(Mindanao)으로 세계에서 19번째로 큰 섬으로 꼽힌다. 민다나오는 약 4백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데, 다바오, 카가얀데오로 등의 도시가 민다나오에 있다. 민다나오 섬 다음 큰 섬은 사마르, 사마르 다음은 네그로스이다. 네그로스는 필리핀 중부 비사야 지방에서 가장 큰 섬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뒤로는 팔라완, 파나이, 민도로, 레이테, 세부, 보홀 등의 순서로 면적이 크다. 구체적으로 필리핀의 섬을 면적의 크기 순서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나열된 섬 중 루손, 민다나오, 사마르, 네그로스. 팔라완, 파나이, 민도로, 레이테, 세부, 보홀, 그리고 마스바테까지 11개 섬이 필리핀 전체 면적의 94%를 차지하고 있다. 필리핀 섬 크기 순위 (List of islands by size) - 조사 시기 및 조사 기관에 따라 섬 면적이 다르게 측정되기도 한다. 필리핀 섬에 대한 토막 상식 - 필리핀의 전체 면적은 약 300,000km²로 한반도 면적의 1.3배에 이른다. (남한의 3배) - 필리핀은 전 국토의 65%가 산악지대이다. - 필리핀은 37개의 화산이 있으며 이 중 18개가 활화산이다. - 필리핀의 섬 중 5천여 개는 아직 공식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 - 필리핀 환경부에서 섬 개수 조사를 하고 있다. 레이더를 이용하여 작은 무인도까지 모두 확인하는데, 주로 민다나오 쪽에서 작업이 진행된다고 한다. - 가끔 섬이 매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코론의 듀먼파릿 섬(DUMUNPALIT ISLAND) 이 32억원 정도에 매물로 나오기도 했다. - 2018년 현재 필리핀 행정 구역 단위는 17개의 지방(Region), 81개의 주(Provinces), 145개의 시(City), 1,489개의 구(Municipality), 42,045개의 바랑가이(Barangay)로 나뉜다. 필리핀 섬 크기 순위 필리핀 지도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필리핀 통계청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주소 표기 방법: 필포스트(필리핀 우체국) 웹사이트에서 우편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주소 표기 방법: 필포스트(필리핀 우체국) 웹사이트에서 우편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2월 19일 필리핀 우편번호 필리핀의 우편번호는 행정구역에 따라 네 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필리핀 우편번호를 알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하면 된다. ① 필리핀의 우체국 웹사이트 이용 필리핀의 우체국인 필포스트(PHLPost) 웹사이트의 우편번호 검색(ZIP CODE FINDER) 페이지를 통해 우편번호 조회가 가능하다. 단 이 방법은 주소지의 행정구역을 명확히 알고 있을 때에만 이용할 수 있다. - 바로 가기: https://phlpost.gov.ph/zip-code-locator/ ② 구글에서 검색 '지역명+ ZIP CODE'로 검색 ③ 구글맵에서 주소지 확인 구글에서 주소를 검색하면 뒤쪽 부분에 4자리 숫자가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우편번호이다. 주 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의 주소를 예로 들면 1634가 우편번호가 된다. (예시) 주 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의 경우 McKinley Town Center, 122 Upper McKinley Hl, Fort Bonifacio, Taguig, 1634 Metro Manila ④ PHILIPPINE ZIP CODES 파일에서 확인 ①, ②, ③ 방법을 모두 동원해도 우편번호를 확인할 수 없다면 필포스트에서 배포한 아래 파일을 확인하면 된다. ZIP CODES .pdf PDF 다운로드 • 6.25MB 타귁시티 맥킨리(Mckinley) 지역의 우편번호가 1634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필리핀의 우체국인 필포스트(PHLPost) 웹사이트. Taguig으로 검색 시 우편번호가 조회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메트로 마닐라 지역의 경우 우편번호가 지역별로 좀 더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세분화된 행정구역을 적어야만 우편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PHLPost: https://phlpost.gov.ph/zip-code-locator/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2023년 필리핀 최저임금 현황: 일로코스 지방(비간, 일로코스, 팡가시난)

    필리핀 월급과 최저임금· 필리핀 노동법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월급·최저임금·노동법 2023년 필리핀 최저임금 현황: 일로코스 지방(비간, 일로코스, 팡가시난)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10월 30일 435페소 ※ 최저임금의 지역별·업종별·규모별 차등 적용 필리핀의 최저임금(Minimum Wage)은 전국적으로 단일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지역의 경제 상태의 실정에 맞추어서 지역별로 차별화된 최저임금을 적용한다. 행정구역에 따라 17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에 따라 다른 최저임금을 적용한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업종(산업)과 기업 규모에 따라 최저임금이 달라질 수 있다. 적용 지역: 일로코스 지방 - 행정구역(Region): REGION I (Ilocos Region) 시티(CITIES) 알라미노스(ALAMINOS) 바탁(BATAC) 칸돈(CANDON) 다구판(DAGUPAN) 라왁(LAOAG) 산카를로스(SAN CARLOS) 산페르난도(SAN FERNANDO) 우르다네타(URDANETA) 비간(VIGAN) 주(PROVINCES) 일로코스 노르테(ILOCOS NORTE) 일로코스 수르(ILOCOS SUR) 라우니온(LA UNION) 팡가시난(PANGASINAN) 일로코스 지방 민간 부문 근로자의 1일 최저임금 - 조정 시기(시행일): 2023년 11월 6일 - 자료 출처: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Wage Order No. RB 1-22 분야/산업 기존 최저임금 인상액 현재 최저임금 (일급) 비고 (1페소= 23.84원) 비농업부문 - 직원 수 10명 이상 Non-Agriculture employing 10 or more employees 400페소 35페소 435페소 10,370원 비농업부문 - 직원 수 10명 미만 Non-Agriculture employing less than 10 employees 372페소 30페소 402페소 9,583원 농업부문 Agriculture 372페소 30페소 402페소 9,583원 * 민간 부문 근로자의 최저임금은 시급이 아닌 일급으로 고시된다. 최저임금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며,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의 웹사이트를 통해 일일 최저임금(DAILY MINIMUM WAGE)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로코스 지방 가사근로자의 1달 최저임금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청소·세탁·주방일과 가구 구성원 보호·양육 등의 가사 서비스를 수행하는 가사관리사, 가사도우미, 가정부, 정원사, 요리사, 세탁부 등 개인에게 고용된 가사근로자(DOMESTIC WORKER)에게는 최저임금을 별도로 적용한다. 가사노동자에게는 한 달을 단위로 한 최저임금이 적용된다. - 조정 시기(시행일): 2023년 11월 6일 - 자료 출처: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Wage Order No. RB 1-DW-04 기존 최저임금 인상액 현재 최저임금 (월급) 비고 (1페소= 23.84원) 5,000페소 500페소 5,500페소 131,120원 필리핀 스타일의 얼음 배달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National Wages and Productivity Commissio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지도: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 이동 경로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지도: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 이동 경로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9월 27일 1942년 바탄 죽음의 행진 이동 경로를 표시한 지도 Bataan Death March route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역사: 1942년, 바탄 반도를 피로 물들인 바탄 전투(Battle of Bataan) 필리핀 역사: 잔인한 4월,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 바탄 죽음의 행진(Bataan Death March) .pdf PDF 다운로드 • 549KB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ational Museum of the U.S. Air Force: Bataan Death March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VIP 의전 서비스 요금 8천 페소로 인상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VIP 의전 서비스 요금 8천 페소로 인상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10월 11일 필리핀 마닐라공항 8천 페소(한화 약 20만 원에 해당)를 내고 공항에서 VIP 서비스를 받을 의향이 있으신가요?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이하 마닐라공항)의 VIP 의전 서비스(meet and assist service)의 요금이 기존 800페소에서 8천 페소로 10배 인상 된다는 소식이다. 그리고 공항에서 이런 특별한 여객 서비스의 제공을 관리하는 곳은 지난 9월부터 마닐라공항의 시설 운영을 담당하는 NNIC(New Naia Infra Corp.) 이다. 이번 VIP 서비스 요금 인상의 이유에 대한 NNIC의 설명은 이렇다. 해당 서비스가 특별한 보안이 필요한 사람을 위해 제한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800페소라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됨에 따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누구나 VIP 의전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음이 공항 보안의 취약성을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언급되었다. 그러니 서비스 요금을 인상하여 필수적이지 않은 사용을 억제하고 VIP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NNIC에서 봤을 때 VIP 의전 서비스가 꼭 필요한 사람은 누구일까? 일단 고위 공무원과 외국의 고위 인사가 포함된다. 고위 공무원이 아니더라도 중대한 책임이 맡은 공무원도 대상자가 될 수 있다. 국제적인 공연자와 유명 승객의 경우 고위직 VIP로 분류되지 않지만 효율적인 공항 이용을 위해 유료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한편, 마닐라공항에서는 2025년부터 터미널 이용료(Passenger service charge)를 인상할 예정 이다. 아직 정확한 시행일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국내선의 경우 200페소에서 390페소로, 국제선의 경우 550페소에서 950페소로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𖠿 관련 글 보기: 마닐라공항에서의 VIP 의전 서비스 비교 - 아로서비스 vs MG서비스 vs 콘보이(Convoy) 필리핀 마닐라공항 터미널2 도착층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GMA News: Higher NAIA VIP service fees, tighter rules meant to curb 'misuse' — NNIC · Philippine Daily Inquirer: BIZ BUZZ: Naia curbs ‘VIP’ lane via steep hike in fees The Philippine Star: New NAIA operator hikes service fees(October 10, 2024)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섬 개수: 7,107개의 섬 vs 7,641개의 섬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섬 개수: 7,107개의 섬 vs 7,641개의 섬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3월 28일 벌써 꽤 오래전 일의 일이 되어버렸지만, 2016년 2월 필리핀 환경천연자원부(DENR) ¹ 산하 기관인 필리핀 국가 지도 제작 및 자원 정보국(NAMRIA) ² 에서는 필리핀의 섬의 개수에 대한 흥미로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광초단파통합구경 레이더(IFSAR) ³ 를 사용해서 조사해보니 500개 이상 새로운 섬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는 것이다. 하지만 대선이라는 중요한 행사를 불과 석 달 앞두고 있던 시점에서 이 조사 결과는 큰 이슈가 되지 못했다. 선거는 5월에 끝났지만, 다바오 시티의 시장이었던 로드리고 두테르테가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되며 여러 가지 새로운 정책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서 '필리핀 섬의 개수가 정확히 몇 개인가'에 대한 것이 주목받기란 어려웠다. 필리핀 섬의 개수가 7,107개가 아닌 7,641개라는 것이 당장 생활에 대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단 말인가? 밀물과 썰물 때의 섬의 개수가 다르지 않으냐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 게다가 섬이 몇 개가 되는지 그 개수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측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기후의 변화로 인해 해수면 상승이 계속되면 섬이 사라지기도 하고 화산 분출이나 지진 등으로 섬이 새로 생기기도 해서 집계하는 시기나 방식에 따라 섬 개수가 변하기도 한다. 지적도 상에 잡히지 않은 무인도도 많기 때문에 자국의 섬 개수를 측정하지 못하는 나라도 많다. 하지만 필리핀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섬의 개수를 부각해 볼거리 많은 아름다운 섬나라로 자국을 홍보한다. 실제 필리핀 관광부 (DOT) 에서는 꽤 오랜 기간 섬의 개수를 내세워 섬의 수만큼 필리핀의 매력도 각양각색이라며 필리핀을 홍보해 왔다. 7,107개나 되는 섬이 있는 섬나라답게 ' 7,107가지 즐거움이 있는 필리핀 ', '7,107가지의 매력을 지닌 필리핀' 등으로 꾸준히 필리핀을 알려온 것이다. 하지만 섬의 개수에 대한 문의가 늘자 필리핀 관광부 (DOT) 한국사무소에서는 2021년 중반부터 ' 7,641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나라 '로 필리핀을 알리기 시작했다. 2022년에 필리핀 관광부 (DOT) 에서는 디지털 여행 매거진(Digital Travel Magazine)을 새로 만들었는데, 이 웹진에 <7641 Islands of the Philippines>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필리핀 7641개의 섬이 있다니 필리핀이 더 재미있는 이유가 이제 7,641가지로 늘어나게 된 셈이다. 참고로 "새롭게 발견된" 500여 개의 섬의 대부분은 민다나오에 있다. ¹ 필리핀 환경천연자원부(DENR) :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² 필리핀 국가 지도 제작 및 자원 정보국(NAMRIA): National Mapping and Resource Information Authority ³ IFSAR :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필리핀 엘니도 El Nido, Philippines 필리핀 관광부(DOT) 한국사무소의 웹사이트 주소 여담이지만, 개인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것은 필리핀 관광부(DOT) 한국사무소의 웹사이트 주소이다. 필리핀관광부 한국사무소에서는 홍보 슬로건에 맞추어 웹사이트의 도메인을 계속 바뀌었는데 그중 하나가 7107이었던 것이다. 2006년까지만 해도 필리핀 관광부에서는 싸이월드를 마케팅 채널로 활용했다. 싸이월드에 '상상 이상의 즐거움(town.cyworld.com/7107philippines)'이란 이름으로 미니홈피를 만들어 여행지를 소개한 것이다. 하지만 싸이월드 사용자가 줄어들자 2007년 4월 필리핀 관광부에서는 싸이월드를 버리고 웹사이트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 신문 기사를 보면 필리핀 관광부 한국사무소에서 공식 웹사이트 주소를 www.wowphilippines.or.kr 과 www.7107.co.kr 두 가지로 안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와우 필리핀(WOW Philippines) 은 2002년부터 필리핀 관광부(DOT)에서 사용하던 관광브랜드 슬로건. 하지만 필리핀관광부에서는 웹사이트를 개편하며 '와우 필리핀'이란 도메인 이름을 버리고 '7107'을 넣은 URL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베르나데트 로물로 푸얏 전 필리핀 관광부 장관이 '잇츠 모어 펀 인 더 필리핀(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슬로건을 계속 사용하기로 하면서 필리핀관광부의 웹사이트 주소는 또 바뀌었다. 2023년 현재 필리핀관광부 한국사무소에서는 웹사이트의 주소로 www.itsmorefuninthephilippines.co.kr 을 사용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 https://itsmorefuninthephilippines.co.uk/about-the-islands/ 이미지 출처 : 7641 Islands of the Philippines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ATIONAL MAPPING AND RESOURCE INFORMATION AUTHORITY · INQUIRER : PH has 400 more islands, says mapping agency · Philippine Daily Inquirer : From 7107 to 7641 · BusinessMirror : 7,641 reasons why 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의 한국인 지원 데스크

    필리핀 월급과 최저임금· 필리핀 노동법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월급·최저임금·노동법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의 한국인 지원 데스크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1월 9일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의 한국인 지원 데스크 DOLE Korean Assistant Desk - KAD 2019년 1월 28일, 주 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에서는 필리핀 노동고용부(DOLE)에 한국인 지원 데스크를 설치하고 전담직원을 각각 2명씩 배치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DOLE Korean Assistant Desk라는 이름의 이 한국인 지원 데스크는 메트로 마닐라를 비롯하여 중앙 루손 지방 (앙헬레스, 클락, 수빅), 칼라바르손 지방 (바탕가스, 라구나), 중부 비사야 지방 (세부), 코르디예라 행정구 (바기오), 다바오 지방 (민다나오, 다바오)의 DOLE 지역사무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외국인 고용허가나 취업비자 관련하여 문의 시에도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DOLE Korean Assistant Desk 외국인고용허가(AEP) 신속발급 및 서비스 강화를 위해 한국인 지원 데스크(KAD)를 운영하겠다는 것을 알리는 필리핀 고용노동부의 문서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Labor Advisory No. 2-19 Korean Assistance Desk Operating Guidel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PC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콘텐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이에 대한 무단배포 및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글, 사진, 영상 등 콘텐츠의 내용을 사전 동의 없이 재편집하여 사용하거나, 출처 없이 필인러브의 콘텐츠를 무단 스크랩하여 사용하실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 Copyright 2025.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