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터미널-터미널2-터미널3 사이 거리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터미널-터미널2-터미널3 사이 거리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7년 11월 25일 마닐라의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이하 마닐라공항) 은 항공사별로 이용하는 터미널이 달라진다. 마 닐라공항 터미널1, 터미널2, 터미널 사이의 거리는 아래와 같다. 터미널1에서 터미널2까지 2.1km 정도 떨어져 있다고 하면 걸어갈 수 있는 거리로 보이지만 도로 상태가 좋지 못해서 캐리어를 끌고 걷기는 쉽지 않다. [주의] 각 터미널 사이 거리는 차량 이동을 기준으로 기재함 ■ 마닐라공항 터미널 1(NAIA Terminal 1) 터미널1에서 터미널2까지 거리 : 2.1km 터미널1에서 터미널3까지 거리 : 4.8km 터미널1에서 터미널4까지 거리 : 2.3 km ■ 마닐라공항 터미널 2 (NAIA Terminal 2) 터미널2에서 터미널1까지 거리 : 2.2 km 터미널2에서 터미널3까지 거리 : 4.7 km 터미널2에서 터미널4까지 거리 : 2.4 km ■ 마닐라공항 터미널 3 (NAIA Terminal 3) 터미널3에서 터미널1까지 거리 : 6.2 km 터미널3에서 터미널2까지 거리 : 6.1km 터미널3에서 터미널4까지 거리 : 4km ■ 마닐라공항 터미널 4 (NAIA Terminal 4) 터미널4에서 터미널1까지 거리 : 2.5 km 터미널4에서 터미널2까지 거리 : 2.7km 터미널4에서 터미널3까지 거리 : 2.5 km 마닐라공항 터미널1(NAIA Terminal 1) 마닐라공항 터미널2(NAIA Terminal 2) 마닐라공항 터미널2(NAIA Terminal 2) 마닐라공항 터미널3(NAIA Terminal 3) 마닐라공항 터미널4(NAIA Terminal 4)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항공통계: 2003년~2018년 마닐라공항 연간 이용객 수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항공통계: 2003년~2018년 마닐라공항 연간 이용객 수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9년 6월 20일 마닐라공항 터미널3(NAIA Terminal 3) 마닐라공항 이용객 추이 자료 출처: 마닐라국제공항관리국(MIAA) 연도 연간 이용객 수(명) 전년 대비 증가율 2003 12,955,809 2004 15,186,521 17.20% 2005 16,216,031 6.80% 2006 17,660,697 8.90% 2007 20,467,627 15.90% 2008 22,253,158 8.70% 2009 24,108,825 8.30% 2010 27,119,899 12.50% 2011 29,552,264 9.00% 2012 31,878,935 7.90% 2013 32,865,000 3.10% 2014 34,015,169 3.50% 2015 36,681,601 7.84% 2016 39,516,782 7.72% 2017 42,022,484 5.96% 2018 45,082,544 6.79%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AIA passenger traffic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월급: 마닐라의 세차장 직원은 자동차를 세차하고 얼마를 받을까?
필리핀 월급과 최저임금· 필리핀 노동법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월급·최저임금·노동법 필리핀 월급: 마닐라의 세차장 직원은 자동차를 세차하고 얼마를 받을까?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2월 25일 CAR WASH BOY "대체 이게 무슨 뜻이야? 어디 묘지까지 가서 일해?" "아냐, 우리는 여기 세차장에서만 일하지 묘지에서는 일하지 않아" 세차장 한쪽 구석에 붙어 있던 근무시간표를 아무리 보아도 내용을 이해할 수 없었다. 정비소까지 겸한 규모가 제법 큰 주차장이라서 직원이 많다는 것도 알겠고, 가게를 24시간 운영한다는 말이 참말인 것도 알겠는데 근무표에 적힌 그레이브 야드(grave yard)라는 단어가 도무지 이해되지 않았다. 혹 내가 알고 있는 묘지라는 뜻 외에 다른 뜻이 있는지 핸드폰을 꺼내 구글 사전을 검색해 봤지만 특별히 다른 뜻은 보이지 않는다. 혼자서는 답을 알아낼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 옆에서 잠깐 쉬고 있던 직원에게 가서 그레이브 야드에 일한다는 것이 대체 무슨 뜻이냐고 물었다. 내 질문을 언뜻 이해하지 못한 직원을 데리고 근무시간표 앞에 서서 다시 핸드폰을 꺼낸 뒤 사전으로 영문-필리핀어 검색을 해서 그레이브 야드가 타갈로그어로 'libingan'라고 검색된다는 것까지 알아냈지만 속 시원한 대답은 나오지 않았다. 우리 둘이 심각하게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고 다른 직원이 세 명이나 왔지만 다들 당황한 얼굴로 웃기만 한다. 뭔가 그게 아니라고 알려주고는 싶지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몰라 난처한 모양이다. 어색한 침묵이 한참 흐르고서야 간신히 누군가의 입에서 "그러니까, 음, 그건 밤에 메인이 아닌 보조자로 근무한다는 뜻이에요"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그러니까 세차장에 손님이 오면 한 사람에 한 대씩 순서대로 맡아서 세차 작업을 하는데, 손님이 많아 바쁘거나 누군가 쉬는 경우 보조로 일을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근무표가 이해된다. 나는 재빨리 이해했다고 답해 주었다. 멍청이 외국인이 자신들이 묘지에서 일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했음에 다들 안도한 표정으로 웃더니, 다시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 열심히 세차를 계속했다. 하지만 모두 운이 좋았던 것은 아니다. 아직 손님이 오지 않아 내 옆에 계속 앉아 있게 된 직원 아이는 운이 나쁘게도 나와의 대화를 계속해야 했다. 아직 십대의 나이를 벗어나지 못한 얼굴을 한 아이였다. 험한 일을 하는 탓에 손은 거칠지만 아무리 봐도 성인 남성이라기보다는 소년에 가까워 보인다. 좋은 집에 태어났으면 남의 차를 닦아주느냐 땀을 흘리는 대신 새옷이나 사달라고 투정이나 부렸을 뭐 그런 나이이다. 어쨌든 이 소년의 설명에 따르면 자신들은 근무조를 3개로 나누어 일하고 있다고 했다. 3교대라고는 하지만 8시간 근무는 아니고 무려 12시간 근무이다.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일하는 낮 근무자를 중심으로 오전 5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일하는 오전 근무자와 오후 6시부터 오전 6시까지 일하는 야간근무자가 배치된 식이다. 이렇게 업무시간표를 짜게 되면 손님이 많지 않은 야간에는 3명만 근무하지만,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무려 10명이 근무하게 된다. 그러면서 승용차 한 대를 세차하면 49페소를 받는다 고 알려준다. 손님이 140페소를 내면 그중 49페소(한화 약 1,170원)만이 자신의 몫 이라는 것이다. 가게 임대료며 수도세, 세제 등이 모두 가게 주인의 부담이라는 것은 알지만, 일의 고됨에 비해 너무나도 적은 몫이다. 마침 앞에서 픽업트럭이 세차 중이기에 저렇게 커다란 차를 세차해 주면 받느냐고 했더니 그건 세차비가 200페소이고, 자신은 59페소(한화 약 1,400원)를 받는단다. 그렇다면 이런 세차장에서 12시간이나 일하면 하루에 몇 대나 차를 닦는지 궁금해진다. 소년은 그 어떤 질문보다도 더 심각한 표정으로 오래 생각하더니 평균 10대 정도는 하는 듯하다고 답해왔다. 그럼 일당이 대충 500페소(한화 약 11,900원) 되느냐고 물었더니 팁도 좀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마침 다른 직원이 달려와 옆에 놓인 플라스틱 통에 동전을 담으며 "알칸시아(alkancia)"라고 외쳤다. 알칸시아는 타갈로그어로 예금 계좌를 의미하니, 아마도 손님에게 팁을 받으면 따로 통에 담아 저축하는 모양이었다. 세차를 마치고 세차장을 떠나면서 세차를 해준 직원에게 팁을 주면서 내 궁금증을 해준 소년에게도 알칸시아를 내밀었다. 뜻하지 않은 팁을 받은 소년은 벙긋 웃더니 내게 또 오라고 답을 해왔다. 모처럼 쉬는 시간에 어지간히 귀찮게 하기는 했지만, 팁을 받으니 용서가 되는 모양이었다. ※ 배움은 끝이 없다. 집으로 돌아와 다시 검색을 해보고 graveyard가 묘지 외에도 '야간근무'의 뜻이 있음을 깨달았다. graveyard shift는 보통 주야 교대제에서 자정부터 오전 4시(혹은 8시)까지의 근무를 의미한다고 한다. 필리핀에서는 기계식 자동 세차 시설을 보기 어렵다. 대부분 손세차이다. 마닐라의 주택가에 있는 세차장을 기준으로 세차비는 140페소 정도이다. 필리핀 세차장 직원들이 진짜 열심히 닦아주는 것 중 하나는 바로 타이어 휠이다. 도로 사정이 좋지 못하여 금세 더러워질 터인데 무엇 때문에 그렇게까지 열심히 닦는지 모르겠다. 자동차 용품점에 가면 이렇게 타이어 전용 브러시와 세정액을 팔기도 한다 필리핀 마닐라의 세차장 자동차 정비 가격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본인 경험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인 한국 비자 발급받기: 대한민국 결혼이민비자(F-6-1) 발급 신청 서류 목록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인 한국 비자 발급받기: 대한민국 결혼이민비자(F-6-1) 발급 신청 서류 목록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8월 23일 필리핀인의 결혼식 ※ 아래 글은 필리핀인 배우자가 결혼이민(F-6-1) 비자를 받을 때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무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의 안내문을 기준으로 정리 요약되었습니다. 비자 발급에 관한 규정은 수시로 바뀔 수 있으며, 외국인인 배우자의 국적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결혼이민비자(F-6-1 비자) 신청 시 구비 서류 목록을 보면 서류가 너무 많아 보여서 어떻게 모두 준비할지 막막할 지경이지만,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친절하게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상세히 안내해 두었으니 기본 서류부터 하나씩 준비하면 된다. 게다가 이 서류는 번역이나 공증과 같은 절차가 필요 없다. 하지만 서류 접수는 비자신청인인 외국인 배우자가 직접 대사관을 방문하여 신청해야 하며 우편 접수는 불가하다.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요구하는 국제결혼(F61)비자 발급 구비서류를 모두 잘 갖추어 제출하고 나면 결혼비자 심사를 받게 된다.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의 안내에 따르면 비자 심사까지는 대사관 근무일을 기준으로 15일(약 3주)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𖠿 관련 글 보기: 대한민국 결혼이민비자(F-6-1 Visa) 발급 절차 대한민국 결혼이민비자 신청 시 구비 서류 - 대상자: 한국인과 국제결혼을 하여 결혼이민비자(F-6-1 비자)를 받고자 하는 필리핀인 서류 종류 1. 기본서류(19종) ① 비자신청서 ② 여권 사진 ③ 신청인 여권 원본 ④ 신청인 여권 사본 ⑤ 비자신청수수료(2천 페소) ⑥ 작성해야 하는 서류: 초청장, 신원보증서, 결혼배경진술서 ⑦ 한국인 배우자가 준비해야 하는 서류: 여권 사본,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국제결혼 안내프로그램 이수증, 건강진단서 ⑧ 외국인 배우자가 준비해야 하는 서류: 결혼증명서나 또는 미혼증명서, 출생증명서, 범죄경력증명서, 건강진단서 2. 한국인 배우자의 소득요건 관련 서류 ① 소득금액증명 원본 ② 신원정보조회서 1부 ③ 소득입증서류 3. 필리핀인 배우자의 의사소통 요건 관련 서류 한국교육원 수료증, 세종학당 수료증, 한국어능력시험(TOPIK) 성적증명서 등 4. 한국인 배우자의 주거요건 관련 서류 등기부등본이나 임대차 계약서 등 5. 교제 입증 서류 교제 경위, 혼인의 진정성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 ※ 부부 사이에 출생한 자녀가 있거나 임신 20주 이상인 경우, 과거 한국에서 결혼이민자격으로 체휴한 적이 있는 경우는 서류가 간소화될 수 있다. 1. 기본서류(19종) ① 비자신청서(사증발급신청서) ② 여권용 사진 1매: 신청서에 부착 ③ 신청인(필리핀인 배우자)의 여권 원본 ④ 신청인 여권 사본 ⑤ 비자신청수수료: 2천 페소 ⑥ 작성해야 하는 서류: 외국인 배우자 초청장, 신원보증서, 결혼배경진술서(외국인 배우자가 영어로 작성) ⑦ 한국인 배우자가 준비해야 하는 서류: 여권 사본,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원본, 국제결혼 안내프로그램 이수증, 건강진단서 원본 ⑧ 외국인 배우자가 준비해야 하는 서류: 결혼증명서나 또는 미혼증명서 원본, 출생증명서 원본, 범죄경력증명서 원본, 건강진단서 원본 2. 한국인 배우자의 소득요건 관련 서류 부부 사이에 태어난 자녀가 있거나 임신 20주 이상인 경우, 부부가 비자 신청일로부터 1년 이상 외국에서 동거하여 최근 1년간 국내 소득이 없는 경우, 과거 필리핀인 배우자가 결혼이민비자 자격으로 한국에서 체류한 적이 있는 경우는 소득요건 면제 대상자가 될 수 있다. 참고로 2023년을 기준으로 초청인의 과거 1년간 연간소득(세전)은 2인 가구 기준으로 20,736,930원 이상이어야만 한다. ① 소득금액증명 원본 ② 신원정보조회서 1부 ③ 소득입증서류 · 근로소득 활용 시: 근로소득원천징수부,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소득 입증 서류 · 사업소득 활용 시: 사업자등록증 사본, 소득입증 서류 · 기타 소득 활용 시 : 소득 입증서류 · 재산 활용 시: 연금, 보험, 증권, 채권, 부동산 등 · 가족의 소득 또는 재산 활용 시: 가족소득 현황 진술서 등 소득 입증서류 3. 필리핀인 배우자의 의사소통 요건 관련 서류 한국교육원 수료증, 세종학당 수료증, 한국어능력시험(TOPIK) 성적증명서 등 4. 한국인 배우자의 주거요건 관련 서류 등기부등본이나 임대차 계약서 등 5. 교제 입증 서류 교제 경위, 혼인의 진정성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 사진이나 SNS 대화 내용 등을 자유롭게 서술하여 제출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국제결혼(F61)비자 발급 구비서류(2023.01.03일자 업데이트) ·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Spouse Visa Requirements (F61 Visa) updated Jan. 3, 2023 · 하이서울: 체류자격별 통합 안내 매뉴얼 · 법무부: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2023년 필리핀 최저임금 현황: 칼라바르손 지방(카비테, 라구나, 바탕가스, 리잘)
필리핀 월급과 최저임금· 필리핀 노동법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월급·최저임금·노동법 2023년 필리핀 최저임금 현황: 칼라바르손 지방(카비테, 라구나, 바탕가스, 리잘)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10월 30일 520페소 ※ 최저임금의 지역별·업종별·규모별 차등 적용 필리핀의 최저임금(Minimum Wage)은 전국적으로 단일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지역의 경제 상태의 실정에 맞추어서 지역별로 차별화된 최저임금을 적용한다. 행정구역에 따라 17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에 따라 다른 최저임금을 적용한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업종(산업)과 기업 규모에 따라 최저임금이 달라질 수 있다. 적용 지역: 칼라바르손 지방 행정구역(Region): REGION IV-A (CALABARZON) - 카비테( CA VITE PROVINCE) - 라구나( LA GUNA PROVINCE) - 바탕가스( BA TANGAS PROVINCE) - 리잘주( R IZAL PROVINCE) - 퀘존주(QUE ZON PROVINCE) ※ CA-LA-BA-R-ZON 칼라바르손 지방은 이 지방을 구성하는 5개 주의 이름의 앞뒤 글자를 조합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칼라바르손 지방 민간 부문 근로자의 1일 최저임금 메트로 마닐라 바로 옆에 있는 칼라바르손 지방은 필리핀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방(Region)이다. 2020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15%가 칼라바르존 지방에 산다. 전체 인구의 12.41%가 마닐라에 사는 것을 고려해 보면 필리핀 인구의 27%는 마닐라와 그 인근 지역에 살고 있는 셈이다. 많은 인구가 칼라바르손 지방으로 몰리는 이유 중 하나는 이 지역에 필리핀 최대 산업단지가 있기 때문이다. 페자(PEZA) 경제자유구역청(Philippine Economic Zone Authority)에서 운영하는 카비테 공단(Cavite Economic Zone) 에는 전기, 전자, 반도체, 섬유·의류 등의 기업이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 기업도 상당히 많이 입주해 있는 편이다. 필리핀 정부에서 경제자유구역 내 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해 인건비를 억제한 탓에 임금 수준이 낮아 저렴한 비용으로 노동력을 구하기 쉬운 데다가 마닐라항구에서 가까워서 생산품 운송이 쉽다는 등의 장점 때문이다. 파업 등 노동쟁의가 거의 없는 편이라는 것도 카비테 산업 공단의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칼라바르손 지방에서는 지역을 ▲고성장지역 (Growth Corridor Areas) ▲신흥성장지역 (Emerging Growth Areas) ▲자원기반지역 (Resource-Based Areas) 세 가지로 구분하여 지역마다 다른 최저임금을 적용하고 있다. 고성장지역보다 신흥성장지역이나 자원기반지역의 최저임금이 좀 더 낮은 식이다. 카비테를 예로 들면 마라곤돈, 노벨레타 지역은 신흥성장지역이 된다. 아마데오, 마갈라네스, 멘데즈, 제너럴 에밀리오 아기날도, 테르나테 등의 지역은 자원기반지역이다. - 조정 시기(시행일): 2023년 9월 24일 - 자료 출처: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Wage Order No. IVA-20 Geographical Area 비농업부문 Non-Agriculture 농업부문 Agriculture 10명 이하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소매 및 서비스 시설 고성장지역 Extended Metropolitan Area 520페소 479페소 385페소 고성장지역 Component Cities 479페소 479페소 385페소 고성장지역 1st Class Municipalities 479페소 425페소 385페소 신흥성장지역 2nd and 3rd Class Municipalities 425페소 385페소 385페소 자원기반지역 4th, 5th and 6th Class Municipalities 385페소 385페소 385페소 * 민간 부문 근로자의 최저임금은 시급이 아닌 일급으로 고시된다. 최저임금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며,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의 웹사이트를 통해 일일 최저임금(DAILY MINIMUM WAGE)을 확인할 수 있다. 𖠿 관련 글 보기: 인구와 재정 규모에 따른 시티(City)의 분류 - HUC, ICC, CC 칼라바르손 지방 가사근로자의 1달 최저임금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청소·세탁·주방일과 가구 구성원 보호·양육 등의 가사 서비스를 수행하는 가사관리사, 가사도우미, 가정부, 정원사, 요리사, 세탁부 등 개인에게 고용된 가사근로자(DOMESTIC WORKER)에게는 최저임금을 별도로 적용한다. 가사노동자에게는 한 달을 단위로 한 최저임금이 적용된다. - 조정 시기(시행일): 2022년 7월 16일 - 자료 출처: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Wage Order No. RB-IVA-DW-03 1. 시(City)와 퍼스트 클래스 구(Municipality) Growth Corridor Area (Cities and first class municipalities) 기존 최저임금 인상액 현재 최저임금 (월급) 비고 (1페소= 23.84원) 3,500페소 1,500페소 5,000페소 119,200원 2. 기타 지역 Emerging Growth Area and Resource-Based Area (other municipalities) 기존 최저임금 인상액 현재 최저임금 (월급) 비고 (1페소= 23.84원) 3,000페소 1,000페소 4,000페소 95,360원 필리핀 카비테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National Wages and Productivity Commission · Philippine Economic Zone Authority (PEZA) · Provincial Government of Cavite: Minimum Wage Rat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콘도 매매: 마닐라 파식시티 브릭스턴 플레이스(Brixton Place)
필리핀 부동산 콘도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부동산 콘도 필리핀 콘도 매매: 마닐라 파식시티 브릭스턴 플레이스(Brixton Place)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3월 19일 브릭스턴 플레이스 Brixton Place Condominium ■ 위치 : 필리핀 마닐라 파식시티, Greenfield District 근처 ■ 주소 : 27 Brixton Street, Kapitolyo Pasig City ■ 건설사 : DMCI Homes ■ 분양가 : PHP 5,898,000 - PHP 14,622,000 ■ 기타 정보 - Land Area : 9,618 sqm. - 턴오버(Turnover Date) : Brent Tower 2021년 9월 / Weston Tower 2022년 5월 - 유닛 타입 : 1BR 2BR 3BR (평형 다양) - Brixton 콘도(45층) 바로 옆에 Fairlane Residences 콘도(50층) 공사 진행 중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본인 경험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마닐라: 에어아시아 마닐라-세부, 마닐라-카티클란 노선 마닐라공항 이용 터미널 변경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필리핀 마닐라: 에어아시아 마닐라-세부, 마닐라-카티클란 노선 마닐라공항 이용 터미널 변경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12월 14일 연말에 필리핀 에어아시아(Philippines AirAsia) 를 이용하여 마닐라에서 세부 또는 카티클란(보라카이)을 간다면 터미널 번호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2022년 12월 16일부터 필리핀 에어아시아 의 마닐라-세부, 마닐라-카티클란 항공편이 마닐라공항(NAIA) 터미널3에서 탑승하는 것으로 변경 되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는 연말을 맞이하여 터미널4의 이용객이 늘어날 것이 예상됨에 따른 것으로 추후 별도의 공지가 있을 때까지 계속 적용된다. 에어아시아 마닐라공항 이용 터미널 변경 ■ 적용일: 2022년 12월 16일 ■ 대상 항공사: 필리핀 에어아시아(Philippines AirAsia) ■ 대상 노선: 마닐라-세부, 마닐라-카티클란 - 변경 전 : 마닐라공항 터미널4에서 탑승 - 변경 후 : 마닐라공항터미널3에서 탑승 ■ 비고: 나머지 국내선은 기존과 동일하게 마닐라공항 터미널4에서 출발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Philippines AirAsia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이민국: 아얄라몰 서킷 쇼핑몰 내 마카티 이민국 사무소 위치 안내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이민국: 아얄라몰 서킷 쇼핑몰 내 마카티 이민국 사무소 위치 안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5월 4일 마카티 이민국 사무소 Makati Immigration Extension Office ■ 전화번호: 02-8899-3831 / 02-7121-6236 / 02-8403-1391 ■ 이메일: immigration.makati@gmail.com ■ 운영시간: 오전 7시 ~ 오후 5시 30분 ■ 주소: 5th Floor Ayala Circuit Mall, Hippodrome Street, Makati City (beside cinemas) ■ 위치: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아얄라몰 서킷 쇼핑몰 5층(영화관 근처) 마카티 아얄라몰 서킷(Ayala Malls Circuit) 쇼핑몰 쇼핑몰에 들어가자마자 우측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타면 바로 이민국이 있는 5층으로 갈 수 있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리면 이 안내문이 보인다. 바로 아래는 영화관 매표소이다. 필리핀 이민국에서는 외국인의 입국이 다시 허용되었으니 외국인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와 비즈니스 부문이 번성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필리핀 이민국에서는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 큰 사무실로 이전하는 것이 필요했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예전보다 사무실이 더 커졌는지는 잘 모르겠다. 보니파시오 SM아우라에 있는 이민국과 같은 시설을 기대하면 곤란하다. 마카티 이민국 사무소는 오전 7시 30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된다. 이민국 사무소가 어딘지 잘 모르겠다면 시네마가 있는 쪽으로 가서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된다. 사진에서 보면 건물 왼쪽의 위층이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Bureau of Immigration : BI to inaugurate new office in Makati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콘도 임대: 마닐라 올티가스 ADB Avenue Tower 1BR
필리핀 부동산 콘도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부동산 콘도 필리핀 콘도 임대: 마닐라 올티가스 ADB Avenue Tower 1BR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12월 9일 올티가스 ADB 애비뉴 타워 ADB Avenue Tower ■ 위치: 필리핀 마닐라, 올티가스 ■ 주소: ADB Ave, Ortigas Center, Pasig, 1605 Metro Manila ■ 임대 가격: 월 30,000페소 (50 sqm 기준) Fully Furnished 1BR ■ 기타 정보 - 콘도 바로 옆에 로빈슨 갤러리아 쇼핑몰이 있음. 메가몰이나 포디움도 도보 가능 거리 - 유닛마다 크기가 아주 조금 차이가 있음 - 공간이 좀 좁다는 느낌은 있으나 내부는 비교적 깨끗한 편임 콘도 바로 앞에 로빈슨몰이 있다. 콘도 로비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본인 경험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마닐라 생활: 어둠이 진한 새벽, 마닐라 톤도 렉토 애비뉴 재래시장
심심한 삶과의 연애, 그 기록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마닐라 생활 마닐라 생활: 어둠이 진한 새벽, 마닐라 톤도 렉토 애비뉴 재래시장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6년 1월 19일 필리핀 마닐라 톤도 렉토 애비뉴(Recto Ave) 필리핀 사람에 대한 가장 많은, 그리고 가장 공감받는 평가가 "게으르다"는 평가이다. 혹자는 이들의 월급이 적음을 내세우며 이런 월급을 받고 그 누가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하겠느냐고 두둔하지만, 한국인과 비교하면 좀 게으른 것은 사실이다. 이를 악물고 악착같이 잘 살아보세를 외치던 기억을 가진 한국인과는 생활 습관부터 다르다. 그래서 한국에서라면 돈이 아까워서 하지 않을 것들을 선뜻하기도 한다. 일당으로 500페소 남짓을 받을 뿐이지만, 매니큐어를 받고 택시를 타고 싶어 하는 식이다. 어쨌든, 새벽 이른 시간에 재래시장으로 가보면 필리핀 사람은 게으르다는 이야기가 쑥 들어간다. 해가 뜨기도 전에 거리 위를 뛰어다니는 사람이 잔뜩이니, 대체 몇 시부터 나와 장사를 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하긴, 그 시간에 장을 보러 오는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모두 참 부지런하구나, 하는 감탄사가 저절로 나온다. 나에게 몇 년째 맛있는 과일을 먹게 해주는 단골 과일가게의 미라 아주머니는 과일을 차이나타운 어딘가에서 사 온다고 했다. 미라 아주머니네 가게는 아주 작은 과일 좌판이지만, 그래도 혼자서는 감당하지 못할 일이라 가족이 다 함께한다고 했다. 이를테면 가족 사업인 셈이다. 그런데 아주머니 말씀을 들어보면 아주머니네는 제법 분업화가 잘 되어 있었다. 언니가 새벽 3시 정도에 시장에 가서 과일을 도매로 사 오면, 따따이가 그걸 정리하고, 미라 아주머니와 동생이 거리에서 그걸 파는 식이다. 과일 장사는 이문이 박하지는 않지만, 과일이 싱싱함을 유지할 동안 오롯이 다 판다는 보장을 할 수 없으니 장사가 쉽지 않다. 미라 아주머니가 길거리 좌판 대신 번듯한 가게를 가지는 일은 대체 언제가 될지 기약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오전 5시에 톤도 디비소리아의 렉토 애비뉴(Recto Ave) 쪽에 나갔다가 아침 시장에서 파는 과일이 무척이나 싱싱하고 저렴하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깨달았다. 큼지막해서 제수용으로 써도 좋을 것 같은 사과도 슈퍼마켓에서 파는 가격의 절반 가격이다. 하지만 나는 사과를 사려고 지갑을 꺼내지 않았다. 약간의 돈을 아끼는 것보다는 미라 아주머니네 과일 가게를 이용해주는 것이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내 조심성 없는 성격 탓에 집에 도착하기도 전에 사과에 멍이 들 것이 뻔하기도 했다. 시장 풍경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