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마닐라 맛집: 마닐라 최고의 고급 케이크 가게, Estrel’s Caramel Cakes
필리핀 맛집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맛집 필리핀 마닐라 맛집: 마닐라 최고의 고급 케이크 가게, Estrel’s Caramel Cakes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5년 2월 4일 에스트렐스 카라멜 케이크 매장 입구. 가게 옆으로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처음에는 그저 취미였다. 하지만 에스트렐라(Estrella N. Ylagan)은 부지런하고 도전적인 사람이었다. 그녀는 집에서 취미로만 케이크를 만드는 것에 만족할 수가 없었다. 자신의 만든 케이크를 다른 사람이 먹고 행복해하는 것을 본다는 것은 큰 기쁨이었다. 그러니 그녀가 마닐라 레판토 거리에 빵집을 연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그녀의 수제 케이크가 기대 이상으로 사람들에게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어느새 동네에서 최고의 케이크라는 찬사를 받게 되었고 그녀가 혼자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주문이 밀려들었다. 에스트렐라의 작은 빵집은 곧 가족 전체가 몸담는 패밀리 사업으로 커졌다. 하지만 그녀는 공장식의 대량 주문을 받는 것으로 방식을 바꾸지 않았다. 가게를 옮겨 매장을 넓히기는 했지만, 처음 빵집을 열었을 때 꼭 그때처럼 최고의 재료를 사서 가장 예쁘게 보이는 모양으로 캐러멜 케이크를 구웠다. 그렇게 70여 년이 흘렀고, 에스트렐스 카라멜 케이크(Estrel's Caramel Cake)라는 이름은 마닐라 중상류층 사람들에게 고급 케이크의 대명사가 되었다. 에스트렐스 카라멜 케이크(Estrel's Caramel Cake)는 일반적인 빵집과는 외관부터 다르다. 매장이 일반 상가에 있지 않고 커다란 주택 하나를 오롯이 빵집으로 쓰고 있는 식이다. 그래서 밖에서 보면 전혀 달콤한 케이크를 파는 곳처럼 보이지 않는다. 건물을 보면 그저 평범한 동네 부잣집처럼 보이기도 하고, 안에 들어가면 어디 새로 생긴 사무실에 들어간 기분도 준다. 하지만 이곳은 알고 보면 무려 1946년에 문을 연 빵집이다. 그리고 그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케이크를 굽는 방식을 거의 바꾸지 않았다. 이를테면 이곳에서는 방부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에 고객에게 주문을 받은 뒤에야 케이크를 만들기 시작한다. 그래서 미리 주문하지 않고 그냥 빵집으로 찾아가면 케이크는 살 수 없고, 오랜 보관이 가능한 쿠키 따위만 소량 구매할 수 있다. 가게 이름처럼 캐러멜 케이크(Caramel Cakes)가 가장 유명하지만, 사실 에스텔스 카라멜 케이크에서 파는 것은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맛이 좋다. 레체 플란(Leche Flan)이나 산스 리잘(Sans Rival)도 유명하지만 이런 종류의 디저트류가 싫다면 Food for the Gods란 이름의 견과류바나 초코칩 쿠키 등을 구매해 보면 좋겠다. 질리지 않게 적당히 달면서도 상당히 고소한 맛을 즐길 수 있다. 필리핀 마닐라 퀘존시티 매장 입구 빵집 내부가 이렇게 생겼다. 이곳은 판매 대부분이 주문을 통해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일반 빵집과는 인테리어부터 다르다. 대단히 인상적인 정도로 맛이 좋은 이 빵은 "신들을 위한 음식(Food for the Gods)"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호두가 정말 많이 들었다. 쿠키도 다른 빵집과는 맛이 뭔가 좀 다르다. 덜 달고 더 바삭하다. 에스트렐스 카라멜 케이크 Estrel's Caramel Cakes 에스트렐스 카라멜 케이크 한때 마닐라의 모든 유명한 빵집을 모두 다녀본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하지만, 단언컨대 마닐라 최고의 빵집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그리고 10년 동안 지켜봤지만 가격만 좀 올랐을 뿐 맛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 그러니 마닐라에서 뭔가 특별한 날을 위해 고급스럽고 특별한 케이크를 사고 싶다면 이곳을 떠올리면 된다. 매장이 한적한 주택가에 있지만 주차장이 충분해서 자가용을 가지고 가도 주차 걱정은 없다. ■ 위치 : 필리핀 마닐라 퀘존시티, 띠목 서클에서 두 블럭 떨어진 거리 ■ 주소 : 54 Scout Tobias, corner Scout Limbaga Streets, Quezon City, 1103 Metro Manila ■ 전화번호 : 8372-2965, 8371-7938 or 8376-7317 ■ 영업시간: 오전 8시 30분~오후 5시 (일요일은 오후 4시까지만 영업) ■ 웹사이트 : https://www.estrels.com/ ⚝ 매장 방문 횟수: 다수 (재방문 의사 100%) Estrel's Caramel Cak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에 적힌 글은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으며,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업체 사정에 의해 영업 여부 및 메뉴 등이 변동되었을 수도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유적지: 인트라무로스의 마닐라전투 기념비(마닐라 학살의 희생자 추모 동상)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유적지: 인트라무로스의 마닐라전투 기념비(마닐라 학살의 희생자 추모 동상)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9월 27일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Memorare Manila 1945 인트라무로스를 걷다 보면 산타 이사벨 공원(플라수엘라 데 산타 이사벨) 이란 작은 공원이 있다. 공원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민망할 정도로 작은 규모의 녹지공간이라 바쁘게 지나가면 존재조차 모르고 그냥 지나치기 쉬운 그런 공원이다. 그런데 잠깐 발걸음을 멈추고 공원 안을 보면 비운의 역사가 담긴 기념비가 세워진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마닐라 전투 중 마닐라 대학살로 목숨을 잃은 시민들의 넋을 기리는 마닐라 전투 기념비이다. 마닐라 전투 기념비 메모라레 마닐라 1945 Memorare Manila 1945 ■ 주소: General Luna St, Intramuros, 658 Zone 70, Manila, 1002 Metro Manila ■ 위치: 필리핀 마닐라 인트라무로스 1945년 마닐라 전투 기념비(Memorare Manila 1945)는 1945년에 있었던 마닐라 전투(Battle of Manila) 의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념비이다. 마닐라 전투의 민간인 생존자와 그 후손이 설립한 메모라레 마닐라 1945 재단(Memorare Manila 1945 Foundation Inc.)에 의해 1995년 2월 18일에 세워졌다. 죽은 아이를 팔에 안은 여성이 절망에 빠져 쓰러져 있는 모습의 조각상은 마카티에 있는 니노이 아키노(베니그노 아키노 2세) 동상 만든 피터 드 구즈만(Peter de Guzman)이 만들었다. 조각상 아래로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아래와 같은 비문이 적혀 있는데, 필리핀의 유명 작가인 닉 호아킨(Nick Joaquin)이 썼다고 한다. This memorial is dedicated to all those innocent victims of war, many of whom went nameless and unknown to a common grave, or never even knew a grave at all, their bodies having been consumed by fire or crushed to dust beneath the rubble of ruins. Let this monument be a gravestone for each and every one of the over 100,000 men, women, children and infants killed in Manila during its battle of liberation, Feb. 3 to March 3, 1945. We have never forgotten them. Nor shall we ever forget.May they rest in peace as part now of the sacred ground of this city: The Manila of our affection. February 18, 1995.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역사: 1945년, 마닐라 전투(Battle of Manila)로 10만 명의 민간인 사망 필리핀 역사 유적지: 17세기 총독 치정사건의 장소, 인트라무로스의 산타 이사벨 공원 마닐라 인트라무로스에 있는 산타 이사벨 공원(Plazuela de Santa Isabel) 마닐라 인트라무로스 1945년 마닐라 전투 기념비(Memorare Manila 1945)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Memorare Manila 1945 Foundation Inc. · Mandirigma: Memorare Manila 1945 Monument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1935년 11월 15일,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 출범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1935년 11월 15일,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 출범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9월 28일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에서 발행했던 2페소 지폐 국어사전에 코먼웰스(Commonwealth) 를 검색해 보면 '미국의 일부 주에서 공화 정체의 국가, 자치 단체, 주(州) 따위를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을 볼 수 있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에 따르면 코먼웰스가 바른 표기이며, 커먼웰스, 코몬웰스, 커몬웰스는 잘못된 표기이다. 타이딩스 맥더피 법을 근거로 설립된 미국의 필리핀 자치령인 코먼웰스 오브 더 필리핀(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은 한국어로 필리핀 코먼웰스, 필리핀 자치 정부, 필리핀 연방, 필리핀 자치령 연방 정부 등으로도 번역된다. 마누엘 케손 박물관(Museo ni Manuel L. Quezon)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1935년 11월 15일~1946년 7월 4일 1934년 필리핀이 10년간의 과도기를 거쳐 독립국이 된다는 것을 약속하는 필리핀 독립법(타이딩스-맥더피법) 이 의회를 통과했다. 이 법이 통과된 이듬해인 1935년, 미국은 필리핀의 독립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Commonwealth)를 수립한다. 이 시기 필리핀은 여전히 미국 영토로 남아 있었고, 외교, 국방, 통화 문제 등은 미국이 직접 감독하고 통제했지만, 필리핀 국내의 문제는 필리핀 자치령 코먼웰스의 권한 아래 있을 수 있었다. 미국이 파견한 총독(Governor-General) 대신 고등판무관(High Commissioner)이 왔지만 국가 내정은 간섭하지 않았다. 1935년 필리핀 헌법 타이딩스-맥더피법(필리핀 독립법)에 따라 1935년 5월 14일 필리핀 헌법(The 1935 Constitution)이 제정 되었다. 필리핀 영토에 대해 "1898년 12월 10일에 미국과 스페인 간에 체결된 파리 조약에 의해 미국에 양도된 모든 영토로 구성된다"고 적힌 헌법이었다. 1935년 헌법의 제17조를 보면 코먼웰스 시기 미국과 필리핀 의 관계에 관해 규정한 것을 볼 수 있는데, 미국이 필리핀에 대한 주권을 최종적으로 완전히 철회할 때까지 필리핀의 모든 시민은 미국에 충성을 다해야 하며, 필리핀 국회에서 통과된 모든 법안은 미국 의회에 보고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35년 선거 1935년 9월 17일 선거를 통해 마누엘 케손(Manuel Quezon)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필리핀 자치령이 출범하면서 필리핀 부통령이라는 직함이 공식적으로 만들어졌는데, 세르히오 오스메냐(Sergio Osmeña)가 부통령으로 취임했다. 법원에도 변화가 생겼다. 필리핀 제도 도민정부(도민정청 ) 시기에는 대법원장은 필리핀인이었으나 대법관 대부분이 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필리핀 자치령(코먼웰스)이 시작되면서 대법관 전원이 필리핀인으로 구성되게 된 것이다. 의회 역시 새롭게 구성되었다. 하지만 1935년 11월 15일 출범한 필리핀 자치령(코먼웰스)은 1942년 1월 2일에 일본이 마닐라를 점령하면서 중단되어야만 했다. 그리고 일본 점령기를 거치면서 '자치정부가 수립된 후 10년이 지나 독립한다'는 약속은 지킬 수 없는 약속이 되었다. 마누엘 케손은 미국으로 망명해서 워싱턴에 망명 정부를 세웠지만, 적극적으로 독립 활동을 하기는 어려웠다. 그리고 미국으로 망명했던 마누엘 퀘존이 1944년 결핵으로 사망하면서 부통령이었던 세르히오 오스메냐가 대통령 자리를 이어받게 된다. 대통령이 된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1944년 맥아더 장군이 레이테섬에 상륙할 때 함께 필리핀으로 돌아왔지만 전쟁은 1945년까지 계속되었다. 코먼웰스는 1946년 7월 4일 필리핀이 미국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끝이 났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역사: 마누엘 루이스 케손 - 미국 식민지 시대 필리핀 자치령(코먼웰스)의 대통령 밤반 제2차 세계대전 박물관(Bamban WWII Museum) 소장품 1930년대 마닐라의 모습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Office of the Vic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The History of the Philippine Vice Presidency - Chronology of Vice Presidents · PHILIPPINE-HISTORY: The Philippine Independence Act (Tydings-McDuffie Law) · Encyclopedia Britannica: Tydings-McDuffie Act · Senate of the Philippines: History of the Senate · Official Gazette: 1935년 필리핀 헌법(The 1935 Constitutio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역사: 1807년, 바씨 반란 - 일로코스의 행정구역이 나뉘게 된 원인은 술
필리핀 역사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역사 필리핀 역사: 1807년, 바씨 반란 - 일로코스의 행정구역이 나뉘게 된 원인은 술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10월 14일 ⚑ 아래의 내용은 필인러브 운영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사가 아닌 야사를 바탕으로 한 부분도 있습니다. 바씨 반란을 묘사한 그림 - 비간의 일로코스 박물관 단지(NM Ilocos Regional Museum Complex) 소장품 바씨 반란(Basi Revolt)은 1807년에 필리핀의 일로코스 지방에서 스페인 정부의 정책에 반발하여 일어났던 민중 봉기이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 벌어졌던 크고 작은 민중봉기 중에서도 바씨 반란이 유독 눈에 띄는 것은 이 반란의 여파로 일로코스 지방의 행정구역이 일로코스 노르테(Ilocos Norte)와 일로코스 수르(Ilocos Sur)로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반란의 원인도 좀 흥미롭다. 일로코스 전역에서 일어났다는 이 반란은 다름 아닌 바씨(Basi)라는 이름의 술 때문에 시작된다. 일로코스 바씨 반란 Basi Revolt in Ilocos Ang Pag-aalsang Basi 스페인의 주류 제조 및 판매권 독점에 대항하여 일어난 봉기 기간: 1807년 9월 16일~ 1807년 9월 28일 바씨 반란(Basi Revolt)은 반란을 주도했던 암바리스토의 이름을 따서 암바리스토 반란(Ambaristo Revolt)이라고도 부른다. 바씨 반란의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장소는 필리핀 루손섬 북부에 있는 일로코스 노르테(Ilocos Norte). 주인공은 살라로고 암바리스토(Salarogo Ambaristo)와 페드로 마테오(Pedro Mateo)라는 사람이다. 그리고 문제가 된 것은 바씨(Basi)라고 이름의 술이다. 바씨는 사탕수수를 으깨 즙을 낸 뒤 파타얀(Tapayan)이라고 부르는 토기에 넣고 찹쌀가루며 향료 등을 더해 발효시켜 만드는 술이다. 어느 지역이나 집에서 빚은 가양주가 있기 마련이지만, 1807년 당시 일로카노(Ilocano, 일로코스 지역 사람들을 의미)에게 바씨는 좀 더 각별했다. 마치 한국인의 막걸리처럼 일로카노의 삶 속에서 늘 함께하는 서민들을 위한 술이라 바씨 없는 삶은 상상하기도 어려웠다. 바씨가 없다면 어떻게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같은 행사를 치르고 고된 농사일의 고됨을 견디겠는가? 그런데 스페인에서 바씨의 생산 및 판매를 독점하겠다고 나서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집에서 직접 술을 빚는 것도, 바씨를 만들어 파는 것도 모두 금지된 것이다. 바씨를 만들어 팔아 통해 생계를 유지했던 이들에게 스페인에서 지정한 상점만 바씨를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는 소식은 절망 그 자체였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밀주단속을 하던 것과 비슷한 일이 벌어졌으니, 불합리한 정책에 대한 심한 반발이 생겨났다. 피디그 바랑가이의 캡틴이었던 살라로고 암바리스토는 이 분통이 터지는 소식을 순순히 집에 앉아 받아들일 수 없었다. 바씨만큼은 지켜내야 했다. 그는 옆 마을의 페드로 마테오와 함께 노란색과 빨간색의 줄무늬가 있는 깃발을 준비한 뒤 격앙된 마을 사람들을 이끌고 비간을 향해 행진했다. 암바리스토네 마을 사람들이 불공평한 차별에 반대하는 의미로 비간으로 행진하고 있다는 소식은 주변 마을로 퍼져 나갔다. 비간까지 향하는 길은 멀었지만 사랏트, 바탁, 파오아이, 산니콜라스 등 주변 마을 사람들이 행진에 함께 합류하며 반란의 무리는 힘을 얻을 수 있었다. 연못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사방으로 퍼져나가듯 일로코스 지역 전체에 바씨만큼은 지켜내야 한다는 기운이 퍼져나갔다. 하지만 바씨 반란은 스페인에서는 군대를 보내 진압에 나서면서 불행하게 끝나야만 했다. 일로코스 전체에 격렬한 반발의 움직임이 들끓는 상황이 되자 스페인에서 군인들을 보내 반란을 진압한 것이다. 마을 사람들의 초라한 무기가 스페인 군대의 총과 칼을 이길 수 없었다. 반란에 대한 진압은 가혹했고, 반타오아이 강 주변이 붉게 물들 만큼 수없이 많은 마을 사람이 세상을 떠났다. 스페인의 군인들은 참수된 사람들의 머리를 광장에 걸어 스페인 정부의 정책에 반대할 경우 어떤 꼴을 당하는지 보여주었다. 바씨 반란이 진압된 뒤 10년 후인 1818년, 스페인에서는 바씨 반란 때처럼 일로코스 지역 전체에 반발이 기운이 퍼지는 것을 막고자 일로코스 지방의 행정구역을 둘로 나누었다. 행정중심 도시를 기준으로 비간이 있는 곳은 일로코스 수르(Ilocos Sur)가, 라왁시티가 있는 곳은 일로코스 노르테(Ilocos Norte) 지역이 되었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The Basi Revolt ·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Basi Gallery ·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 Ilocos · Manila Bulletin: National Museum launches virtual edition of 'The Basi Revolt'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마닐라 맛집: 주말이면 문을 닫는 올티가스의 스타벅스 - Starbucks Ansons Building
필리핀 맛집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맛집 필리핀 마닐라 맛집: 주말이면 문을 닫는 올티가스의 스타벅스 - Starbucks Ansons Building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6월 12일 Starbucks Ansons Building 올티가스에서 1년 반 정도를 살았고, 그 1년 반 동안 스타벅스의 스타를 무척이나 모았지만, 그런데도 가보지 못한 스타벅스 매장이 몇 곳 있다. 주중에는 내가 일을 하느냐고 바빠서, 주말에는 스타벅스가 문을 열지 않아서이다. 스타벅스는 주말에 장사가 더 잘 될 듯하지만, 올티가스에 있는 스타벅스는 좀 다른 모양이다. 사무실이 밀집해 있는 비즈니스 지역답게 주말이면 아예 문을 열지 않는다. 매장 바로 옆에 디스커버리 호텔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영업하지 않는 것을 봐서는 굳이 애써서 문을 열어보았자 매출이 나오지 않는 모양이다. 재밌는 것은 올티가스의 집을 비우고 난 뒤 오히려 올티가스 지역의 스타벅스에 갈 일이 많이 생겼다는 것이다. 그리고 올티가스에 살 때만 해도 바퀴벌레와 모기 때문에 동네가 지긋지긋하게 느껴졌는데, 오히려 이사를 하고 나니 올티가스가 좋게 느껴지니 신기한 노릇이다. 물론 올티가스의 오래된 콘도 따위에는 다시는 얼씬도 하고 싶지 않지만, 포디움에 가서 저녁을 먹는 것은 꽤 즐겁게 느껴지기도 한다. 각설하고, 올티가스에 약속이 있어 갔다가 Ansons Building에 있는 스타벅스에 들렀다. 일이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되고 여유가 생기면 가봐야겠다고 생각만 하고 올티가스를 떠날 때까지 끝내 한 번도 가보지 못했던 바로 그 스타벅스이다. 주말에 동네 산책을 나왔을 때마다 문을 굳게 스타벅스를 보면서 주 5일 영업으로 유지가 될지 궁금했는데, 역시 스타벅스는 스타벅스였다. 점심때를 훌쩍 넘긴 평일 오후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무수히 많은 직장인이 오가며 커피를 사고 있었다. 올티가스의 사무실 정도에서 일할 정도면 평균보다 더 많은 월급을 받겠지만, 그래도 저렇게 바리스타와 정겹게 인사를 나눌 정도면 얼마나 자주 스타벅스에 들려서 돈을 써야 하는 것일까 궁금했다. Starbucks Ansons Building Starbucks Ansons Building ■ 위치: 필리핀 마닐라 올티가스 ■ 주소: ADB Library, ADB Avenue, Mandaluyong, 1550 Metro Manila ■ 전화번호: 02-8632-5246 ■ 영업시간: 월~금요일, 오전 6시~오후 10시 (주말은 휴무) ⚝ 매장 방문 횟수: 다수 Starbucks Ansons Building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에 적힌 글은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으며,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업체 사정에 의해 영업 여부 및 메뉴 등이 변동되었을 수도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관광부 뉴스 | 필인러브
필리핀 관광에 대한 통계자료 및 필리핀 관광부(DOT)의 최신 소식 필리핀 관광부 Department of Tourism - Philippine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Filter by Tags 관광부 뉴스 관광슬로건 여행박람회 통계자료 검색결과: 81 2024년 1월 8일 필리핀 관광부: 방문객 1위 한국, 한국인이 필리핀 여행을 가장 많이 떠나는 달은? 2024년 1월 8일 필리핀 관광부: 2023년 필리핀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와 국적별 통계 2023년 12월 28일 필리핀 관광산업 GDP 기여도: 코로나 이후 필리핀 GDP에서 관광산업의 비중은 어떻게 변했을까? 2023년 12월 28일 필리핀 관광산업 고용규모: 필리핀 사람 100명 중 11명은 관광업 종사자 2023년 12월 28일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은 정말 동남아 관광대국일까? 2023년 12월 28일 필리핀 관광산업의 GDP 기여도가 24.6%인 동시에 12.9%인 이유 2023년 12월 28일 세계 최대 관광대국은? 세계에서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 순위 2023년 12월 27일 필리핀 관광부: 2023년 보라카이를 방문한 관광객 수와 외국인의 비율 2023년 12월 27일 필리핀 관광부: 2000년~2022년 필리핀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 추이 2023년 12월 15일 필리핀 관광부: 2023년 134만 명이 넘는 한국인이 방문한 해외 여행지 2023년 11월 10일 필리핀 관광부: 2023년 보라카이를 방문한 관광객 수 182만 명 돌파 2023년 9월 3일 [사진] 필리핀 여행박람회: 2023년 필리핀 트래블마트(Philippine Travel Mart 2023) 1 2 3 4 5 1 ... 1 2 3 4 5 6 7 ... 7 Department of Tourism 필리핀관광부 DOT-Korea 필리핀관광부 한국사무소
- 필리핀 여행 | 필인러브
필리핀에서 가볼 만한 곳은 어디일까? 필인러브에서 지역 여행지와 여행 관광명소를 확인해 보세요. 필리핀 여행 LOVE THE PHILIPPINE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어떤 여행을 원하시나요? 공원 농장투어 묘지 문화시설 성지순례 실내여행지 액티비티 검색결과: 11 농장투어 필리핀 딸락: 보 어 염소와 도퍼 양을 키우는 대규모 염소농장 농장투어 공원 필리핀 마닐라: 퀘존 메모리얼 서클 공원에 가면 뭘 볼 수 있나요? 묘지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 최고의 초호화 럭셔리 묘지, 헤리티지 메모리얼 파크(Heritage Memorial Park) 액티비티, 실내여행지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의 실내 롤러스케이트장 - Rolyo Sk8House 1 2 3 1 ... 1 2 3 ... 3 필리핀 역사유적지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 역사 유적지: 말라카냥 궁전의 대통령 박물관 투어 신청 방법(무료 가이드 투어)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 역사 유적지: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 홍보관, 말라카냥궁의 바하이 웅나얀(Bahay Ugnayan)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 역사 유적지: 말라카냥궁의 테우스 맨션(Teus Mansion)과 탄두아이 럼주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 역사 유적지: 필리핀 현대사와 함께하는 장소, 말라카냥궁의 칼라야안홀(Kalayaan Hall) 1 2 3 4 5 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
- 필리핀 음식 | 필인러브
필리핀의 맛있는 이야기, 필리핀 전통음식과 열대과일 소개 필리핀 전통음식·열대과일 Filipino cuisine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태그 danggit 전통음식 검색결과: 3 danggit 필리핀 음식: 강력한 냄새의 맛! 말린 생 선 당깃(danggit) Taho 필리핀 전통 음식: 달콤한 따뜻함으로 아침을 시작하는 순두부 따호(Taho) Piaya 필리핀 전통 음식: 바콜로드의 마스코바도 설탕과 피아야(Piaya) 1 1 ... 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