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과 필리핀에 있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2017년 7월 24일
지금은 사용이 중단되었지만, 필리핀 구권 화폐 중 500페소의 뒷면을 보면 한국전쟁의 흔적을 볼 수 있다. 베니그노 아키노 2세(니노이 아키노) 상원의원이 한국전쟁에 종군기자로서 군복을 입고 카메라를 들고 있는 모습과 당시 사용했던 수동타자기가 그려져 있는 것이다. 필리핀 민주화 운동의 주역인 니노이 아키노는 마닐라공항을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The Ninoy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NAIA)'이라고 부르게 한 인물로 지폐 왼쪽을 꼼꼼히 보면 아키노가 마닐라 타임스 신문에 기고했다는 ‘제1기병사단 38선 돌파(1st Cav knives through 38)’라는 제목의 기사도 보인다. 1950년 6.25 전쟁 발발 당시 필리핀은 필리핀 한국 원정군(PEFTOK)을 편성하여 대한민국으로 파병하여 전쟁에 참전했는데 한국전쟁에 참가했던 이들 중에는 피델 라모스 전 대통령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과 필리핀이 정식 외교 관계를 맺은 것은 1949년 3월 3일의 일이었다. 한국은 1954년 1월 19일 필리핀 마닐라에, 필리핀은 1954년 11월 11일 서울에 각각 공사관을 설치했는데, 1958년 2월 1일에 이르러 양국 모두 공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시켰다. 그런데 가끔 서울 용산구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과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둘 다 간단히 '필리핀대사관'이라고 부르게 되기 때문인데, 당연히 완전히 다른 곳이다. 굳이 공통점을 찾는다면 서비스에 대한 민원인의 불평불만이 많고, 업무시간이 짧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은 금요일과 토요일에는 업무를 보지 않으므로 방문하기 전에 업무시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참, 두 곳 모두 필리핀 공휴일과 대한민국 공휴일에 근무하지 않는다. 대사관에 일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겠으나,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부러워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서울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
Embassy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in Korea
필리핀 외교사절단의 공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으며 필리핀 국민을 대상으로 국적·호적·여권 업무 및 필리핀 여행객에 대해 비자 발급 업무 등을 보고 있다. 한국에서 미리 필리핀 비자를 발급받으려고 할 때는 주한필리핀대사관을 방문하면 된다.
𖠿 관련 글 보기: 서울에 있는 주한필리핀대사관 전화번호와 위치, 업무시간
필리핀에 있는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대한민국 외교사절단의 공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은 필리핀 마닐라 타귁시티에 있으며, 세부에 주세부 대한민국 분관을 운영하고 있다. 주필리핀대사관에서는 필리핀과의 정치 문화 경제 교류를 목적으로 경제·통상·문화·홍보 업무와 국적·호적·여권 업무를 보고 있다. 필리핀 여행 중 여권을 분실했다면 주필리핀대사관을 방문하면 된다.
𖠿 관련 글 보기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한국대사관 전화번호와 위치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Embassy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Seoul Republic of Korea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