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결과

SEARCH RESULTS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란으로 1690개 검색됨

  • 필리핀 지도: 한반도 면적의 1.3배라는 필리핀 섬의 크기 순위 - 2018년 기준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지도: 한반도 면적의 1.3배라는 필리핀 섬의 크기 순위 - 2018년 기준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18년 7월 5일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섬을 가진 나라는 인도네시아이다. 세계 최대의 군도 국가답게 인도네시아는 무려 13,466개의 섬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6,000개의 섬에 사람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 13,466개는 2012년 개최된 유엔지명표준화회의에서 인도네시아 정부가 등록한 섬의 개수를 기준으로 한 숫자이다. 일부에서는 인도네시아 섬 개수를 약 2만 개로 보기도 하니 대단한 숫자가 아닐 수 없다.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섬이 많은 나라는 필리핀으로 약 7,107개에 달한다. 3위는 6,852개의 섬을 가지고 있다는 일본이다. 우리나라가 4위인데 섬 개수를 대략 3,400개로 보고 있다. 2010년 국토해양부가 공식집계로 제시한 섬 총수는 3,358개였으며, 우리나라도 3,400여 개의 섬 중 85.65%에 달하는 2,876개의 섬이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섬 숫자를 정확히 집계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작업이다. 지적도에도 잡히지 않는 무인도가 많은 데다가 때에 따라 섬 개수가 변하기도 한다. 기후변화로 해수면 상승이 계속되면 섬이 사라지기도 하고 화산 분출이나 지진 등으로 섬이 새로 생기기도 하는 식이다. 그래서 집계할 때마다 그 숫자가 들쑥날쑥할 수밖에 없다. 정확한 섬 개수는 귀신도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이다. 필리핀도 필리핀의 섬이 과연 몇 개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좀 있지만, 그래도 그동안 필리핀에서 홍보해온 것은 바로 "7,107개의 섬나라 필리핀"이다. 일각에서는 7,641개라는 주장도 있지만, 필리핀 관광부(DOT) 자료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총 7,107개의 섬이 있다. 하지만 이 7천 개의 섬에 모두 사람이 사는 것은 아니다. 면적이 I㎢ 이상 되는 섬은 500개밖에 되지 않으며 이름 없는 섬도 수천 개가 넘는다고 한다. 7천여 개의 섬 중 2천여 개의 섬만이 사람이 사는 유인도이기도 하다. 좀 더 필리핀의 섬을 자세히 보고 싶어 필리핀 지도를 펼쳐 보면 북쪽으로는 대만, 남서쪽으로는 말레이시아, 남쪽에는 인도네시아가 근접해 있음을 볼 수 있다. 동서 길이는 1,100km이지만 남북으로 보면 길이가 1,850km에 이르는데, 위에서부터 아래로 루손 섬(Luzon), 비사야 제도(Visayas), 민다나오 섬(Mindanao) 세 지역으로 나누기도 한다. 루손 섬과 민다나오 섬 사이에 있는 비사야(Visayas)제도 지역에 큰 섬 7개를 포함하여 약 6천 개의 작은 섬이 흩어져 있다. 네그로스 섬, 레이테 섬, 보홀 섬, 사마르 섬, 세부 섬, 파나이 섬 등이 비사야 제도에 속한다. 그렇다면 그 많고 많은 필리핀의 섬 중에서 어떤 섬이 가장 클까? 1위는 단연 루손섬이다. 수천 개의 섬 중에 가장 큰 섬은 수도인 마닐라가 있는 루손 섬으로 104,688 km²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도 15번째 큰 섬으로 꼽힌다. 루손 섬 다음으로 큰 섬은 민다나오 섬(Mindanao)으로 세계에서 19번째로 큰 섬으로 꼽힌다. 민다나오는 약 4백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데, 다바오, 카가얀데오로 등의 도시가 민다나오에 있다. 민다나오 섬 다음 큰 섬은 사마르, 사마르 다음은 네그로스이다. 네그로스는 필리핀 중부 비사야 지방에서 가장 큰 섬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뒤로는 팔라완, 파나이, 민도로, 레이테, 세부, 보홀 등의 순서로 면적이 크다. 구체적으로 필리핀의 섬을 면적의 크기 순서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 나열된 섬 중 루손, 민다나오, 사마르, 네그로스. 팔라완, 파나이, 민도로, 레이테, 세부, 보홀, 그리고 마스바테까지 11개 섬이 필리핀 전체 면적의 94%를 차지하고 있다. 필리핀 섬 크기 순위 (List of islands by size) - 조사 시기 및 조사 기관에 따라 섬 면적이 다르게 측정되기도 한다. 필리핀 섬에 대한 토막 상식 - 필리핀의 전체 면적은 약 300,000km²로 한반도 면적의 1.3배에 이른다. (남한의 3배) - 필리핀은 전 국토의 65%가 산악지대이다. - 필리핀은 37개의 화산이 있으며 이 중 18개가 활화산이다. - 필리핀의 섬 중 5천여 개는 아직 공식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다. - 필리핀 환경부에서 섬 개수 조사를 하고 있다. 레이더를 이용하여 작은 무인도까지 모두 확인하는데, 주로 민다나오 쪽에서 작업이 진행된다고 한다. - 가끔 섬이 매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코론의 듀먼파릿 섬(DUMUNPALIT ISLAND) 이 32억원 정도에 매물로 나오기도 했다. - 2018년 현재 필리핀 행정 구역 단위는 17개의 지방(Region), 81개의 주(Provinces), 145개의 시(City), 1,489개의 구(Municipality), 42,045개의 바랑가이(Barangay)로 나뉜다. 필리핀 섬 크기 순위 필리핀 지도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필리핀 통계청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2020년 11월 28일부터 필리핀 공항 이용 시 출입 기록 트레이즈(TRAZE) 앱 사용 의무화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2020년 11월 28일부터 필리핀 공항 이용 시 출입 기록 트레이즈(TRAZE) 앱 사용 의무화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0년 10월 28일 필리핀 마닐라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inoy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오늘(2020년 10월 28일), 필리핀의 공항 4곳에서 코로나19 추적 앱 사용에 대한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고 한다. 이 앱의 이름은 트레이즈 콘택트 트레이싱 앱(TRAZE Contact Tracing App). 대상이 된 공항은 마닐라공항(NAIA)을 비롯하여 클락공항(CRK), 막탄-세부국제공항(MCIA), 다바오 공항(DIA)이다. 아직 소프트 런칭(soft launches) 단계이지만, 필리핀 교통부(DOTr)에서는 장차 공항을 비롯한 모든 대중교통 수단에 이 시스템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래서 오는 2020년 11월 28일부터는 필리핀 내 공항을 이용하려면 스마트폰에 트레이즈앱을 다운로드받아야만 한다. 통행증(quarantine pass)이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별 도움이 되지 못하였던 것을 떠올려보면 이건 또 무슨 색다른 시도일까 싶은 생각부터 들지만, 한국의 와 비슷한 시스템을 도입 한다고 보면 이해가 쉬워진다. 마닐라공항 터미널2(NAIA Terminal 2) 트레이즈 콘택트 트레이싱 앱 TRAZE Contact Tracing App 트레이즈 콘택트 트레이싱 앱(TRAZE Contact Tracing App)은 QR코드를 이용해 공항 등 코로나19 위험시설이나 다중이용 시설을 사람의 출입 기록을 저장하는 시스템 으로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필리핀 정부에서 사용중인 위치 추적 애플리케이션(앱)이다. 필리핀항만청(PPA)과 코스모테크(Cosmotech Philippines, Inc)에서 공동 개발한 앱으로 QR코드를 활용하여 개인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도록 했다. 개인의 신상정보가 담긴 QR코드를 미리 발급해 두었다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시설에 들어갈 때마다 입구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고 입장하는 방식이다.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앱 이용이 가능하니, 스마트폰이 없다거나 와이파이 사용이 어려워서 QR코드 스캔을 하지 못했다는 핑계는 대기 어렵다. 어딘가 방문할 때마다 모바일 QR코드를 확인해야 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게 느껴지고, 개인정보를 침해하는 것은 아닐까 싶은 우려도 들지만 이렇게 데이터를 만들어 놓으면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역학조사를 돕는 역할을 한다. 필리핀 정부에서 접촉자를 신속히 파악하여 격리하는 등의 후속조치를 완벽하게 할 것 같다는 생각은 들지 않지만, 코로나19 상황을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는 엿보인다. 한편, 필리핀 교통부(DOTr)에서는 이 앱 사용 과정에서 블루투스나 GPS는 이용되지 않으며, 수집된 정보는 공화국법 제10173조(Republic Act No. 10173) 또는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법(DPA-Data Privacy Act)에 따라 보호된다고 밝혔다. 불필요한 개인정보 사용을 막기 위해 이 앱을 통해 수집된 정보는 30일 후에 파기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어느 부서에서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사용하게 되는지 등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트레이즈(TRAZE) 코로나19 추적 앱 사용에 대해 필리핀 교통부에서 발표한 안내문 공항에서 트레이즈 앱 사용 의무화 ■ 시행일: 2020년 11월 28일부터 ■ 대상: 필리핀 내 공항을 이용하는 모든 승객 ■ 트레이즈 앱 사용방법 ① 휴대폰에서 앱 다운로드/설치 - 안드로이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traze.contacttraze&hl=en - 애플 : https://apps.apple.com/ph/app/traze-contact-tracing/id1527546402 - 삼성 : https://apps.samsung.com/appquery/appDetail.as?appId=com.traze.contacttraze - 화웨이(Huawei) : https://appgallery.huawei.com/#/app/C103016829 ② 계정 등록 후 개인별 QR코드(TRAZE ID) 발급 - 앱을 열고 등록(Register) 버튼을 클릭 후 개인(Individual)으로 등록 - 이름, 핸드폰번호, 주소, 이메일 등 기재 후 회원 가입 ③ 계정이 활성화되면 개인별 QR코드가 발급되고, 이후 스캔하여 사용 가능 ■ 비고 -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이 없는 경우 공항 내 헬프 데스크(Malasakit Helpdesk)에서 QR코드 발급 가능 - 전국의 모든 교통부(DOTr) 사무실에서 QR코드 사용 가능 ■ 이용문의 : (02) 8403-98-11 / TRAZE@cosmotech.com.ph 트레이즈 콘택트 트레이싱 앱(TRAZE Contact Tracing App) 트레이즈 콘택트 트레이싱 앱(TRAZE Contact Tracing App) 등록 화면 와이파이가 없어도 위치 등록은 가능하지만, 방문 장소에 대한 기록(히스토리)을 보려면 온라인 상태여야만 한다. 필리핀 마닐라공항 터미널2. 공항 내 말라사킷 헬프 데스크(Malasakit Helpdesk)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항만청(PPA) - Philippine Ports Authority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DOTr Air Sector to soft launch ‘Traze’ contact-tracing app at the NAIA, 3 other major airports · TRAZE Contact Tracing App · 코스모테크(Cosmotech Philippines, Inc)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관광부: 1989년~2023년 필리핀의 관광브랜드 슬로건 개발 변천사

    필리핀 관광부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관광부(DOT) 필리핀 관광부: 1989년~2023년 필리핀의 관광브랜드 슬로건 개발 변천사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3월 27일 잇츠 모어 펀 인 더 필리핀(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필리핀은 실로 오랜 기간 필리핀 여행의 매력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괜찮은 관광브랜드 슬로건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필리핀의 정체성과 다양한 관광자원을 표현할 수 있는 문구가 무엇인가는 늘 고민거리였다. 어떤 슬로건이 최선인지 고민을 하는 동안 "Philippines: Where Asia Wears A Smile", "Consider the Philippines" , "Rediscovery Philippines" 등 수많은 슬로건이 나왔다가 사라졌다. 필리핀 관광부(DOT)에서 그나마 대중의 기억에 남는 슬로건을 만들어 낸 것은 약 20년 전부터였다. 하지만 홍보용 슬로건이나 로고, 마스코트 등을 멋지게 만든다고 하여 관광브랜드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그러하듯이 상품의 질이 미흡한데 브랜드만 프리미엄으로 포지셔닝한다고 해서 공감대가 생기지 않는다. 슬로건이나 로고의 디자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외국에서 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가의 인지도 및 국가적 위상을 높이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 브랜드 전문가들은 일관성 있는 브랜딩 작업도 필수라고 지적한다. 꾸준히 지속적으로 브랜드를 노출시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가 그 가치에 공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필리핀 관광브랜드의 슬로건 개발 변천사 로고 관광브랜드 슬로건 1989년 Fiesta Island Philippines 1999년 Rediscovery Philippines 2002년 WOW Philippines 2003년 Visit Philippines 2003 2010년 Pilipinas Kay Ganda 2012년 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2016년 Experience the Philippines 2019년 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피에스타 아일랜드 필리핀(Fiesta Island Philippines) - 슬로건 사용 시기: 1989년 필리핀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코라손 아키노 전 대통령은 남편인 베니그노 아키노 2세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독재에 투쟁하다 암살된 후 1986년 대선에 출마하여 46.1% 득표율을 얻고 필리핀 국민들의 절대적 지지로 대통령이 되었다. 코리 아키노 대통령은 임기 중이었던 1989년 4월에 색다른 선언문(Proclamation No. 245, s. 1988)을 하나 발표했다. 1989년을 필리핀 축제의 해(Philippine Fiesta Year)로 삼고 필리핀을 관광지(wholesome tourist destination)로 홍보하기에 나선 것이다. 홍보를 위한 위원회도 구성되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와우 필리핀(WOW Philippines - More Than the Usual) - 슬로건 사용 시기: 2002년~2010년 와우 필리핀(WOW Philippines)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는 슬로건이다. 브랜드 슬로건 로고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원색을 주로 사용하여 필리핀 문화의 독특한 요소를 담아 디자인되었다. WOW Philippines 아래 More Than the Usual이란 설명과 웹사이트 주소까지 적혀 있어 좀 복잡해 보이지만 필리핀을 여행지로 널리 알릴 수 있게 한 슬로건으로 호평을 받았다. 푸른색 텍스트 안을 자세히 보면 다이빙을 하는 사람이며 야자수, 보트 등을 볼 수 있다. 당시 언론에서는 필리핀 내 정치적 불안에 대해 부정적인 기사를 많이 내보냈는데, 그런 부정적인 이미지를 극복하고자 이렇게 해변과 여행 명소를 강조한 알록달록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슬로건의 와우(WOW)는 두문자어로 여러 가지 필리핀 여행에 대한 어떤 측면이 홍보되고 있는지에 따라 다양한 문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관광 명소의 경우 'Wealth of Wonders'라고 설명되는 식이다. 이 시기 필리핀에서는 해변(Warm Over Winter), 해양스포츠(Wild Over Water), 고래상어(Watch Our Whales), 마닐라 인트라무로스(Walk Our Walls)등 다양한 단어를 동원하여 '와우 필리핀'의 슬로건과 함께 필리핀을 여행지로 홍보했고, 2007년에서 2012년 사이 필리핀을 방문하는 외국인 방문객이 300만 명에서 427만 명으로 100만 명 이상 증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비지트 필리핀(Visit Philippines) - 슬로건 사용 시기: 2003년 당시 필리핀관광부 장관이었던 리차드 고든은 'Visit Philippines 2003'이란 이름으로 관광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 슬로건은 '필리핀 방문의 해(Visit the Philippines Year)'로 선포된 2015년과 '필리핀 재방문의 해(Visit the Philippines Again Year)'로 선포된 2016년에 재사용되었다. 필리피나스 케이 간다(Pilipinas Kay Ganda) - 슬로건 사용 시기: 2010년 필리피나스 케이 간다(Pilipinas Kay Ganda)는 필리핀관광부에서 사용한 슬로건 중 최대 짧은 기간 사용된 슬로건으로 한 달도 되지 않아 사용이 중지되었다. 케이 간다는 필리핀어로 아름다워(So Beautiful)를 의미한다. 로고 아랫부분을 보면 케이 간다(Kay Ganda)의 발음과 뜻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슬로건은 '와우 필리핀'을 대처하는 슬로건으로 만들어졌지만 안경원숭이와 웃는 얼굴의 야자수, 태양 등 이미지로 이전 로고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필리핀의 Pilipinas Kay Ganda 폴란드의 Polska Pilipinas Kay Ganda의 로고가 완전한 대실패로 평가되는 것은 당시 폴란드에서 진행했던 관광 슬로건인 폴스카(Polska)의 로고와 지나치게 비슷했기 때문이다. 로고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물론 색상과 폰트까지 아무리 봐도 폴란드의 슬로건과 유사했다. 이 로고는 디자인 표절 혐의로 큰 비판을 받았고, 당시 갓 대통령으로 취임했던 베니그노 아키노 3세(재임 기간: 2010년 6월 30일–2016년 6월 30일) 전 대통령은 새로운 슬로건의 폐기에 나섰다. 이 사건 당시 필리핀 관광부 장관이었던 알베르토 알다바 림(Alberto Aldaba Lim) 장관은 이 일에 대해 "폴란드의 로고와 일부 비슷한 점이 보이지만 필리핀의 로고가 더 다채롭다"라고 해명했지만 결국 장관직에서 물러나야만 했다. 2019년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의 필리핀 관광부 사무소(Philippines Department of Tourism) 잇츠 모어 펀 인 더 필리핀(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 슬로건 사용 시기: 2012년 ~ 2017년 중반 2012년 필리핀 관광부에서는 필리핀의 다양한 여행지를 알리는 것에 집중하여 홍보 캠페인을 벌였다. 그리고 필리핀이 다른 나라와 다른 재미(fun)가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이란 슬로건을 만들었다. 로고는 여전히 매우 컬러풀했는데, 필리핀의 전통 직조 방식으로 만든 필리핀 지도를 보여준 것이 특징이다. 이 슬로건은 1951년에 스위스 관광청에서 진행하였던 'It's more fun in Switzerland!' 광고를 모방했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필리핀관광부에서는 필리핀에 대한 진실을 단순히 이야기했을 뿐이라며 모방에 대한 의혹을 부인했다. 논란이 커지자 Cesar Purisima 전 재무부 장관이 스위스가 It's more fun 슬로건을 사용한 것이 이미 61년 전이며 지식재산권도 50년이 지나면 만료된다는 요지의 이야기를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 어쨌든, 필리핀 관광부는 엄청난 예산을 쓰며 It's more fun 슬로건의 홍보에 나섰다. 그리고 다행스럽게도 그 예산이 아깝지 않게 이 슬로건은 인지도와 선호도 모두 높은 것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More Fun' 슬로건은 여행객들이 필리핀이 더 재밌는 이유에 대해 다양한 패러디 밈을 만들어 사용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고 이 시기 필리핀의 관광객은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이미지 출처 : DOT TV ad Experience the Philippines - 슬로건 사용 시기: 2016년 로드리고 두테르테(재임 기간: 2016년 6월 30일–2022년 6월 30일) 대통령 취임 뒤 필리핀관광부 장관의 자리에 올랐던 완다 테오(Wanda Teo) 전 장관은 필리핀을 경험하세요(Experience the Philippines) 라는 새로운 관광브랜드 슬로건을 제시했다. 슬로건 로고는 컬러풀하게 만들어진 필리핀이란 텍스트를 중심으로 위에 'Experience the Philippines'이라고 적어 만들어졌다. 아래에 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를 적는 것도 잊지 않았다. 하지만 보다 감성적인 접근 방식으로 필리핀을 홍보하겠다는 완다 테오 관광부 장관의 야심찬 계획은 홍보 영상 하나로 인해 좌절되었다. 필리핀 독립기념일에 맞춰 특별히 제작한 TV 광고가 문제였다. McCann Worldgroup Philippines에서 제작했던 'Sights'이란 제목의 TV 광고는 필리핀에 정착한 일본인 퇴직자가 필리핀의 유명 여행지를 여행하는 장면으로 제작되었다. 바나웨 라이스 테라스(Banaue Rice Terraces)와 파오아이 모래사막(Paoay Sand Dune), 비간(Vigan)의 역사 거리 등을 여행하며 영상 마지막 부분에 "here, you don’t have to see the sun to discover radiance. You don’t have to see colors to experience vibrance. You don’t have to see smiles to know you are safe."라는 음성이 나오면서 여행객이 시각장애인이었음을 밝히면서 끝나는 식이다. 하지만 이 TV 광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진행한 캠페인의 광고와 유사 하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필리핀이 장애인 친화적인 여행지라는 것을 홍보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했다는 지적도 잇달았다. 결국 광고대행사에서 남아공의 광고와 유사해 보이지만 자신들이 만든 것은 실제 퇴직자를 모델로 한 실화라는 점에서 구분된다고 변명에 나섰지만 표절 의혹을 멈출 수는 없었다. 잇츠 모어 펀 인 더 필리핀(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 슬로건 사용 시기: 2018년 ~ 2023년 현재 2018년 필리핀관광부 장관으로 취임한 베르나데트 로물로 푸얏(Bernadette Romulo-Puyat) 장관은 More Fun 캠페인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2012년의 로고를 똑같이 쓰지는 않고 좀 더 깔끔해진 새로운 로고를 공개했다. 필리핀 지도 로고는 필리핀 전통 직조물 스타일로 단순화되었고, 텍스트 부분은 새로운 폰트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당시 필리핀관광부에서는 관광 브랜드를 좀 더 알리고자 바라바라(BARABARA) 폰트 를 개발하여 로고에 사용하면서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했는데 상당히 큰 호응을 얻었다. 이 폰트는 필리핀의 대중교통수단인 지프니에서 볼 수 있는 표지판 글씨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관광부 홍보 자료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필리핀관광부 한국사무소에서는 IMFITP(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슬로건에 대해 "당신이 몰랐던 재미와 만나다 필리핀" 또는 "좀 더 재미있는 필리핀" 으로 번역하여 홍보를 진행해 왔다. 필리핀을 방문하는 여행객이 좀 더 재미있게 필리핀을 즐기기를 바란다는 뜻이다. 한편, 코로나19로 필리핀 여행이 제한되던 시기 필리핀 관광부에서는 Wake Up in the Philippines(2020.6)과 More Fun Awaits(2021.9), It's More Fun With You(2022.3) 등의 캠페인을 진행했다. 다시 안전하게 여행하는 것이 가능해질 때를 대비하여 더 많은 즐거움이 기다리고 있음을 강조하는 캠페인을 벌인 것이다. 2022년 6월 필리핀 관광부 한국사무소에서는 더 현대 서울에서 'It’s More Fun With You in the Philippines(필리핀에서 당신과 함께하면 더욱 재미있다)'라는 이름으로 필리핀 테마의 팝업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𖠿 관련 글 보기: It’s More Fun 하지 않을 필리핀 관광부의 새로운 슬로건 잇츠 모어 펀 인 더 필리핀(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잇츠 모어 펀 인 더 필리핀(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잇츠 모어 펀 인 더 필리핀(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필리핀 국기 - 안티폴로 클라우드 나인(Cloud 9 Antipolo Hanging Bridge)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관광부 한국사무소(DOT-KOREA) · Philippines Department of Tourism(DOT) · ABS-CBN News: ‘Pilipinas Kay Ganda’ officially dead · ABS-CBN News : Not a copycat: Ad agency defends controversial tourism campaig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에서 집 구하기: 부동산 중개업자 - 브로커(Broker)와 에이전트(Agent)의 차이

    필리핀 부동산 콘도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부동산 콘도 필리핀에서 집 구하기: 부동산 중개업자 - 브로커(Broker)와 에이전트(Agent)의 차이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12월 13일 필리핀 마닐라 올티가스. 멀리 보이는 쇼핑몰이 바로 메가몰이다. 내가 만난 부동산 중개업자(공인중개사)는 자격증이 있는 브로커일까 아니면 에이전트일까? 필리핀에서 부동산 거래를 한다면 중개업자가 브로커인지 에이전트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해주고 수수료를 받는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브로커와 에이전트는 엄연히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거의 동일한 업무를 수행해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법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이 다르다. 집주인 입장이라면 중개업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중개수수료도 달라진다. 필리핀에는 부동산 중개수수료에 대해 얼마를 내야 한다는 규정은 없지만, 매도가의 2.5%에서 5% 사이가 브로커(broker)의 중개수수료가 된다. 에이전트(agent)라면 매도가의 2~3% 정도를 커미션으로 주면 된다. (필리핀에서는 집주인만 수수료를 낸다. 매수인이나 임차인은 수수료를 내지 않는다) 필리핀에서 브로커란? 브로커(Licensed Real Estate Broker)는 부동산 중개 관련 자격증(라이선스)이 있는 사람 을 의미한다. 정확히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지만, 한국과 비교하면 브로커는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 합격에 합격하고 관련 자격증을 받은 사람이라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특별히 응시 자격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는 한국과 다르게 필리핀에서 브로커가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건을 갖추어야만 한다. 일단 필리핀인만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그리고 범죄 사실이 없어야만 한다. 하지만 범죄사실이 없는 필리핀인이라고 하여 모두 부동산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에서 BS REM(Real Estate Management) 과정을 들은 뒤 학사 학위를 취득해야만 REBLE(Real Estate Brokers Licensure Examination)라고 부르는 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얻게 된다. 이 시험이 바로 부동산 중개사 시험인데 합격률은 크게 높지 않은 편이다. 올해 4월에 있었던 시험의 경우 954명이 응시하여 584명이 합격했다. 어쨌든 이 시험에 합격한다고 바로 부동산 시장에 뛰어들 수는 없다. 합격자는 주택토지사용규제위원회(HLURBB)에 신청서 및 사진 등의 서류를 제출하고 등록해야 한다. HLURBB 등록까지 마치면 이제 본격적으로 브로커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전문직 규제 위원회(PRC)PRC에서는 진짜 REB(REAL ESTATE BROKER) 자격증이 있는 사람인지 PRC 웹사이트를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PRC(Professional Regulation Commission) : 전문직 규제 위원회 - HLURBB(Housing and Land Use Regulatory Board) : 주택토지사용규제위원회 𖠿 관련 글 보기: 브로커(공인중개사)의 PRC 자격증 번호가 진짜인지 확인하는 방법 Discovery Suites Manila 필리핀에서 에이전트란? 에이전트(Real Estate Agent)는 중개보조원에 가깝다. 자격증은 없지만 대리인으로 임대인과 임차인, 또는 매도인과 매수인을 연결하는 일을 한다. 필리핀에서 에이전트는 독자적으로 일을 하기도 하지만 부동산 중개사 사무소에 소속되어 특정 브로커만을 위해 일하기도 한다. 본격적으로 부동산 일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약간의 소개비를 받고 집을 소개하는 사람도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에이전트는 직접 부동산 계약서를 쓸 수 없다. 그래서 필리핀에서 콘도를 사러 갔는데 집을 보여주었던 업자가 계약 당일에는 다른 사람을 데리고 와서 계약서를 쓰도록 한다면 그 업자는 에이전트일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외국인은 부동산 브로커 자격증 취득이 불가 하다. 하지만 브로커 자격증을 취득하지 못한다고 하여 부동산 관련 업무를 보는 것을 무조건 불법이라고 볼 수는 없다. 외국인이 브로커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거나, 자신의 이름으로 계약서를 쓴다고 하면 의심을 해봐야겠지만, 그렇다고 부동산 관련 일을 한다는 것 하나만을 놓고 불법적인 일을 한다고 폄하할 수는 없다는 이야기이다. 컨설팅 회사로 등록한 뒤 부동산 수익성을 분석해 주거나 부동산 관련 법규를 알아봐 주는 등의 자문 서비스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법인 사업자를 가지고 있거나 브로커의 마케팅 파트너로서 일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필리핀 부동산 중개인 중에 자신이 어프레이저나 컨설턴트, 또는 HLURB 콘도분양사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고 어필하는 경우가 있는데, 부동산의 재산 가치를 평가하는 감정평가사인 어프레이저(Appraiser)나 납부해야 할 세금 액수를 계산하는 어세서(Assessor)가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격시험을 치러야만 한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PRC(Professional Regulation Commission): April 2022 Real Estate Broker Licensure Examination Results Released in Two (2) Working Days · How to Become a Real Estate Broker in the Philippines?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행정구역: 18개의 지방(Region) 전체 목록 - 2024년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행정구역: 18개의 지방(Region) 전체 목록 - 2024년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30일 필리핀 국기 필리핀 관광부(DOT)에서는 필리핀 관광부에서 인증을 받은 호텔이나 리조트, 여행사, 투어가이드 등의 목록을 웹사이트에서 공개하고 있다. 하지만 관광부 웹사이트에서 ' Accreditations '이라고 적힌 항목을 클릭해도 실제로 내가 가려는 지역 내 호텔 목록을 찾기란 쉽지 않다. 필리핀 관광부에서 지방(Region)에 따라 탭을 분류하여 자료를 게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보라카이의 호텔 목록을 보려면 보라카이가 속한 지방(Region) 행정구역이 'Region VI'임을 알아야만 해당 지역의 호텔 목록을 볼 수 있다. 관광부의 인증을 받은 호텔이 워낙 많아서 그렇겠지만, NCR-TEs, R1--TEs 등으로 분류하여 안내하고 있는데, 앞에 적힌 것은 지방(Region)을 뒤에 적힌 TEs는 TOURISM ENTERPRISES를 의미한다. 필리핀에서는 지방(Region) 행정구역 을 표시할 때 일로코스 지방이니 중앙 루손 지방 등으로 지방의 이름을 적기보다는 로마 숫자를 동원하여 Region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18개의 지방 중 메트로 마닐라(NCR)와 코르디예라 행정구(CAR), 네그로스섬 지방(NIR), 민다나오 무슬림 방사모로 자치구(BARMM)는 로마 숫자 대신에 NCR, CAR, NIR, BARMM로 표기한다. BARMM는 Bangsamoro Autonomous Region in Muslim Mindanao의 약어이다. 필리핀 지도: 필리핀 지방(Region) 행정구역 필리핀 행정구역 - 18개의 지방(Region) 2024년 8월 현재 필리핀의 행정구역은 18개의 지방(Region), 82개의 주(Province), 149개의 시(City), 1,493개의 구(Municipality), 42,004개의 바랑가이(Barangay)로 구성된다.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행정구역 개편: 네그로스섬을 위한 NIR 지방(Region) 신설 1 메트로 마닐라(NCR) NCR NCR National Capital Region 2 코르디예라 행정구(CAR) CAR CAR Cordillera Administrative Region 3 일로코스 지방 Region 1 Region I Ilocos Region 4 카가얀밸리 지방 Region 2 Region II Cagayan Valley 5 중앙 루손 지방 Region 3 Region III Central Luzon 6 칼라바르손 지방 Region 4-A Region IV-A CALABARZON 7 미마로파 지방 Region 4-B Region IV-B MIMAROPA 8 비콜 지방 Region 5 Region V Bicol Region 9 서부 비사야 지방 Region 6 Region VI Western Visayas 10 네그로스섬 지방(NIR) Region NIR NIR Negros Island Region 11 중부 비사야 지방 Region 7 Region VII Central Visayas 12 동부 비사야 지방 Region 8 Region VIII Eastern Visayas 13 잠보앙가 반도 지방 Region 9 Region IX Zamboanga Peninsula 14 북민다나오 지방 Region 10 Region X Northern Mindanao 15 다바오 지방 Region 11 Region XI Davao Region 16 소크사르젠 지방 Region 12 Region XII SOCCSKSARGEN 17 카라가 지방 Region 13 Region XIII Caraga 18 민다나오 무슬림 방사모로 자치구(BARMM) BARMM BARMM Bangsamoro Autonomous Region in Muslim Mindanao 필리핀에서 하는 여행박람회에 가면 각 지방(Region)에서 나와 홍보부스를 운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잠보앙가 반도 지방(Zamboanga Peninsula) 미마로파 지방(MIMAROPA) 소크사르젠 지방(SOCCSKSARGEN)은 SOX라고 적기도 한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Philippine Standard Geographic Code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학생비자와 SSP 특별학업허가서의 차이 및 발급 면제 대상

    필리핀 입국과 비자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입국과 비자 필리핀 학생비자와 SSP 특별학업허가서의 차이 및 발급 면제 대상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5년 1월 15일 마닐라 보니파시오 멕킨리힐에 있는 필리핀한국국제학교 KISP 학생비자와 SSP의 차이 필리핀에서 공부하려고 하는데 학생비자와 SSP 중 무엇이 필요한지 모르겠다면 학생의 나이와 함께 어떤 과정의 교육을 받는지를 확인해 보면 된다. 정규 대학과정을 다닌다고 해도 18세가 되지 않았다면 SSP를 발급받게 된다. ■ 학생비자(9F비자)가 발급되는 경우 - 18세 이상으로 고등학생 과정 이상의 정규 대학 과정을 수강하는 경우 ■ SSP 특별학업허가서 취득이 필요한 경우 - 미성년자가 초중고교에 다니는 경우 - 필리핀 어학연수를 목적으로 어학원을 다니는 경우 - 대학에서 학위를 받지 않는 과정이나 프로그램에 등록한 경우 - 졸업에 필요한 비행시간을 완료하기 위해 항공학교에 등록한 경우 𖠿 관련 글 보기 필리핀 학생비자 9F비자 발급 대상 및 발급 수수료 필리핀 어학연수를 받으려면 필요한 특별학업허가서 SSP 발급 대상자와 비용 안내 학생비자 및 SSP 발급 면제 대상 비자신청자의 부양가족 자격으로 자녀가 아래의 비자를 가지고 있다면 학생비자(9F비자)나 특별학업허가서(SSP) 없이 필리핀에서 공부할 수 있다. 단, 이민국에서 인증을 받은 교육시설만 면제가 가능하다고 하니 실제 면제 대상으로 분류되는지는 재학 중인 학교나 학원으로 문의하여 확인해야만 한다. 1. 영주권자 A permanent foreign resident 2. 무역비자(9D비자), 워킹비자(9G비자), 특별취업비자 소지자 Foreign nationals with valid working visas under Sections 9(d), 9(g) and 47(a)(2) of Commonwealth Act No. 613, as amended 3. 외교비자(9E비자) 소지자 Personnel of foreign diplomatic and consular missions residing in the Philippines 4. 국제기구의 직원 Personnel of duly accredite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siding in the Philippines 5. 특별 투자자 거주 비자(SIRV) 및 특별 은퇴자 거주 비자(SRRV) 소지자 Holders of Special Investor’s Resident Visa (SIRV) and Special Retiree’s Resident Visa (SRRV) 6. 47(a)(2) 비자 소지자 Foreign students coming in the Philippines with 47(a)(2) visas issued pursuant to existing laws, e.g. Pres. Decree No. 2021 학생비자 및 SSP 발급 면제 대상에 대한 필리핀 이민국의 안내문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이민국(Bureau of Immigration): IMMIGRATION MEMORANDUM CIRCULAR NO. SBM-2015-007 · 필리핀 이민국(Bureau of Immigrati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 Visa and a Special Study Permit? When is one required?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콘도 임대: 마닐라 올티가스 익스체인지 리젠시(The Exchange Regency)

    필리핀 부동산 콘도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부동산 콘도 필리핀 콘도 임대: 마닐라 올티가스 익스체인지 리젠시(The Exchange Regency)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2년 12월 10일 올티가스 익스체인지 리젠시(The Exchange Regency) 올티가스 익스체인지 리젠시(The Exchange Regency) ■ 위치: 필리핀 마닐라, 올티가스 ■ 주소: THE EXCHANGE REGENCY MERALCO AVE, CORNER Exchange Rd, San Antonio, Pasig, Metro Manila ■ 임대 가격: 월 22,000페소 (22 sqm 기준) Fully Furnished 1BR ■ 기타 정보 - 콘도 바로 옆에 아얄라(Ayala Malls The 30th) 쇼핑몰이 있음. 메가몰이나 포디움도 도보 가능 거리 - 발코니는 없음. 커다란 창문으로 되어 있어서 환한 느낌이 있지만 창문이 열리지 않아서 그런지 공기가 다소 답답함 - 크게 단점은 없지만 그렇다고 크게 장점도 없음 - 익스체인지 리젠시 콘도에 몇 달 정도의 단기 임대를 원한다면 같은 건물 내에서 "The Exchange Regency Residence Hotel Managed by HII"라는 이름의 레지던스 호텔(Residence Hotel)이 운영되고 있음 필리핀 마닐라 올티가스, Renaissance Towers 근처에 버스정류장도 있다. Exquadra Tower 복도 거실 겸 주방 주방 주방 싱크대가 매우 작다. 욕실 침실 침실에서 보이는 풍경. 멀리 가운데 보이는 건물이 MMDA Head Office 이다.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본인 경험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최저임금: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1951년~1989년

    필리핀 월급과 최저임금· 필리핀 노동법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월급·최저임금·노동법 필리핀 최저임금: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1951년~1989년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10월 26일 필리핀에서 사용하는 월급봉투 1951년, 필리핀에서 최저임금제도가 처음 시행되었다. 1951년 당시 마닐라 지역의 최저임금(Minimum wage)은 일급 4페소로 책정되었는데, 당시 노동조합이 기대한 것보다 20% 낮게 책정되었지만 실제임금이 최저임금을 훨씬 상회하고 있어 별다른 논쟁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기간(1972년~1981년) 중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실질임금이 감소하면서 최저임금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970년대 중반에서 1980년 초반 사이 최저임금은 10페소에서 14페소로 4페소밖에 오르지 않았지만, 쌀 가격이 3배 가까이 인상되면서 실질적인 구매력이 급감한 것이다. 문제는 필리핀에서는 최저임금이 임금의 하한선이 아니라 임금 책정의 기준으로 이용 되고 있다는 점이다. 물가 상승으로 기본적인 의식주의 해결마저 힘든 상황이 되자 노동자들은 최저임금 인상을 요구했지만 임금 인상은 쉽지 않았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난 뒤 1987년 5월(46페소)부터 1989년 6월(89페소) 사이 최저임금이 계속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100페소 미만으로 책정되었다. 그리고 1990년 이후가 되어서야 필리핀 노동자들의 최저임금은 일일 100페소 이상이 된다. 필리핀 최저임금의 변화 기간: 1951년~1989년 1951년부터 1989년 사이 필리핀의 연도별 최저임금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필리핀의 최저임금은 시간급이 아닌 일급으로 책정 된다. 그리고 필리핀 전역에 동일한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과 업종, 사업체 규모 등에 따라 최저임금이 다르게 적용 된다. 시행일 비농업부문 - 마닐라 지역 비농업부문 - 마닐라 이외 지역 농업 - 플랜테이션 농업 - 비플랜테이션 근거법(ORDER/ACT/DECREE) 1951년 8월 4일 4페소 4페소 2.5페소 2.5페소 Minimum Wage Law (R.A. 602) 1963년 8월 8일 - - 3.5페소 3.5페소 Agricultural Land Reform Code (R.A. 3844) 1965년 4월 21일 6페소 6페소 3.5페소 3.5페소 Minimum Wage Law Amendment (R.A. 4180) 1966년 6월 18일 6페소 6페소 - - Minimum Wage Law Amendment (R.A. 4707) 1970년 6월 17일 8페소 8페소 4.75페소 4.75페소 Minimum Wage Law Amendment (R.A. 6129) 1976년 6월 1일 10페소 9페소 7페소 6페소 Presidential Decree 928 1978년 7월 1일 11페소 10페소 8페소 7페소 Presidential Decree 1389 1979년 4월 1일 13페소 12페소 10페소 9페소 Presidential Decree 1614 1980년 8월 18일 14페소 13페소 11페소 10페소 Presidential Decree 1713 1981년 1월 1일 18페소 17페소 15페소 14페소 Presidential Decree 1753 1983년 7월 6일 19페소 18페소 16페소 15페소 Wage Order No. 2 1983년 11월 1일 20페소 19페소 17페소 16페소 Wage Order No. 3 1983년 12월 1일 21페소 20페소 18페소 17페소 Wage Order No. 3 1984년 5월 1일 32페소 31페소 27페소 21페소 Wage Order No. 4 1984년 6월 16일 35페소 34페소 30페소 24페소 Wage Order No. 5 1984년 11월 1일 37페소 36페소 32페소 26페소 Wage Order No. 6 1987년 5월 1일 41.5페소¹ 46페소 40.5페소¹ 45페소 35페소¹ 38.5페소 28페소¹ 30페소 Executive Order No. 178 1987년 10월 1일 46페소¹ 54페소 45페소¹ 53페소 38.5페소¹ 44페소 30페소¹ 33.5페소 Executive Order No. 178 1987년 12월 14일 64페소 64페소 54페소 43페소 Republic Act No. 6640 1988년 1월 1일 54페소¹ 53페소¹ 44페소¹ 33.5페소¹ Executive Order No. 178 1989년 7월 1일 89페소 89페소 74페소² 79페소 58페소 Republic Act No. 6727 ¹ 납입자본금이 500페소 이하인 직원 30명 미만의 사업체 근로자에게 적용됨 ² 연매출이 500만 페소 미만인 농장의 근로자에게 적용됨 출처: NWPC, Summary of Wage Legislations Granting Increases in the Basic Minimum Wage (1951 – 1989)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국가임금생산성위원회(NWPC): National Wages and Productivity Commission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반려동물 동반 해외여행: 항공사의 반려동물 운송 규정 및 요금 비교

    필리핀 공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공항·항공사 반려동물 동반 해외여행: 항공사의 반려동물 운송 규정 및 요금 비교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3년 9월 17일 항공기 동반 가능 반려동물 항공사 반입 기준(운송할 수 있는 동물의 종류) 동반 가능 반려동물 수 대한항공 (Korean Air) 생후 8주 이상의 개, 고양이, 애완용 새 수하물로 위탁할 경우에는 생후 16주 이상 탑승객 1인당 기내반입 1마리, 위탁 2마리 - 기내 반입: 반려동물 + 운송 용기 총무게 7kg 이하 - 화물칸 위탁 운송: 반려동물 + 운송 용기 총무게 45kg 이하 아시아나항공 (Asiana Airlines) 개, 고양이, 애완용 새 성인 탑승객 1인당 기내 반입 1마리, 위탁수하물 2마리, 소아는 반려동물 운송불가 (단, 새는 1Cage 당 한 쌍 가능) 에어부산 (Air Busan) 개, 고양이, 애완용 새 탑승객 1인당 기내반입 1마리, 위탁 1마리 에어서울 (Air Seoul) 생후 8주 이상 애완용 개, 새, 고양이 성인 탑승객 1인당 1마리 -기내반입만 가능(위탁수하물 탑재 불가) 제주항공 (Jeju Air) 생후 8주 이상 애완용 개, 고양이, 새 성인 탑승객 1인당 1마리 -항공기당 기내 반입 최대 6마리까지 허용 진에어 (Jin Air) 생후 8주 이상 개, 고양이, 새 성인 탑승객 1인당 1마리 - 항공기당 최대 6마리 티웨이항공 (T'way Air) 반려용 개, 고양이, 새(생후 8주 이상) 이외 동물은 운송 불가 성인 탑승객 1인당 1마리 -국내선 비행기 한 편 당 총 6마리 (기내 6마리) -비즈니스 세이버 존 반입 불가 반려동물 운송 요금 비교 2023년 9월 현재 반려동물 동반 해외여행 시 항공사에 내야 하는 요금(운송 요금)은 아래와 같다. 항공사 운송 요금(편도/1마리 기준) 대한항공 (Korean Air) ▶국내선: 32kg 이하 3만원 / 32kg 이하 초과: 6만원 ▶국제선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몽골: 32kg 이하 15만원 / 32kg 이하 초과: 30만원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괌,팔라우 포함): 32kg 이하 225,000원 / 32kg 이하 초과: 45만원 미주, 유럽, 중동, 아프리카, 대양주: 32kg 이하 30만원 / 32kg 이하 초과: 60만원 아시아나항공 (Asiana Airlines) ▶국내선: 32kg 이하 3만원 / 32kg 이하 초과: 6만원 ▶국제선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몽골: 32kg 이하 14만원 / 32kg 이하 초과: 29만원 그 외 아시아 내 여정(괌,사이판 포함): 32kg 이하 21만원 / 32kg 이하 초과: 44만원 미주,유럽,대양주: 32kg 이하 29만원 / 32kg 이하 초과: 59만원 에어부산 (Air Busan) ▶국내선 기내 반입: 7kg 이내 20,000원/편도 구간 당 위탁: 32kg 이내 30,000원/편도 구간 당 ▶국제선 기내 반입 : 7kg 이내 가능 - 일본 7만원, 동남아 9만원, 미주(괌) 9만원 위탁: 불가 에어서울 (Air Seoul) ▶국내선 : 20,000원 ▶국제선 일본 : 70,000원 중국 : 85,000원 동남아 : 90,000원 제주항공 (Jeju Air) ▶국내선: 20,000원 ▶국제선 일본, 중국 산둥성 지역 : 70,000원 홍콩, 마카오, 대만, 중국(산성 외), 러시아, 몽골 : 85,000원 동남아, 괌, 사이판 : 100,000원 진에어 (Jin Air) ▶국내선 : 20,000원 ▶국제선 일본/중국/대만: 70,000원 동남아/괌: 100,000원 티웨이항공 (T'way Air) 운송용기(Cage)의 무게 포함 9kg 이내: 30,000원 (공항 결제) 필리핀항공 (Philippine Airlines) ▶국제선(한국-필리핀) 5kg 이하: 60달러 5kg 초과: 12달러/1kg 항공사 애완동물 반입 규정 항공사 애완동물 반입 규정 대한항공 (Korean Air) https://www.koreanair.com/mx/ko/airport/assistance/travel-with-pet/permitted-pets 아시아나항공 (Asiana Airlines) https://flyasiana.com/C/KR/KO/contents/traveling-with-pets 에어부산 (Air Busan) https://www.airbusan.com/content/common/service/customer/animal 에어서울 (Air Seoul) http://m.flyairseoul.com/CW/ko/animal.do 제주항공 (Jeju Air) https://www.jejuair.net/ko/linkService/help/main.do 진에어 (Jin Air) https://www.jinair.com/contents/pet 티웨이항공 (T'way Air) https://www.twayair.com/app/serviceInfo/contents/1070 필리핀항공 (Philippine Airlines) · 한글: https://www.philippineair.co.kr/ko/service/pet.asp · 영문: https://www.philippineairlines.com/en/before-you-fly/baggage-information/special-baggage/pets 𖠿 반려동물 동반 해외여행 관련 글 보기 애완동물과 함께 해외여행 시 필수 체크리스트 애완동물과 함께 필리핀 여행 시 필요한 비용 애완동물과 함께 필리핀 입국 시 필요한 서류 목록 필리핀 동물관리국(BAI)의 애완동물 반입 규정 필리핀 동물관리국(BAI)으로부터 수입허가증(SPS) 발급받기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농림축산검역본부: 개고양이 검역절차 · 인천공항: 반려동물 수출검역 · 인천공항: 인천공항 반려동물 동반 가이드 · 김포국제공항: 반려동물 동반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 필리핀 행정구역: 가장 인기 있는 바랑가이(Barangay) 이름 TOP 5

    필리핀 지도와 행정구역 | 필인러브 HOME > 필리핀 정보 > 필리핀 지도·행정구역 필리핀 행정구역: 가장 인기 있는 바랑가이(Barangay) 이름 TOP 5 ⚝ 저작권 안내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 2024년 8월 30일 Barangay San Antonio 바랑가이(Barangay)는 한국의 동(洞)이나 면(面)에 해당하는 필리핀의 최소 행정단위이다. 하지만 필리핀인에게 어디 바랑가이에 사는지 물어서는 사는 곳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필리핀에는 4만 개가 넘는 바랑가이가 있기 때문이다. 바랑가이(Barangay)의 수가 4만 개가 넘다 보니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바랑가이도 많다. 특히 필리핀에서 포블라시온(Poblacion) 바랑가이란 이름만 가지고 동네를 찾기란 불가능하다. 필리핀에는 포블라시온이란 이름을 쓰는 바랑가이가 무려 1,468개나 있다. 마닐라시티(City of Manila)나 칼로오칸(City of Caloocan)처럼 수백 개의 바랑가이가 있는 곳은 바랑가이에 이름을 붙이지 않고 숫자로 구분하기도 한다. 참고로 필리핀 통계청(PSA)에서는 인구조사 때마다 각 바랑가이의 거주 인구를 발표하는데, 그 조사서의 페이지가 무려 500페이지 가까운 것을 볼 수 있다. ‎마카티 포블라시온(Poblacion) 바랑가이. 포블라시온은 스페인어로 마을을 의미한다. 가장 인기 있는 바랑가이 이름 TOP 5 필리핀 통계청(PSA)에 따르면 바랑가이 이름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름 탑5는 아래와 같다. 바랑가이의 수 Poblacion 1,468 San Isidro 358 San Jose 292 San Roque 240 San Roque 233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Barangay Pio Del Pilar 수백 개의 바랑가이가 있는 곳은 바랑가이에 이름을 붙이지 않고 숫자로 구분하기도 한다. BRGY SAN LORENZO SATELITE OFFICE Ugong Norte Barangay Hall (Quezon City)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통계청 : Barangay Facebook X (Twitter) 링크 복사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PC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콘텐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이에 대한 무단배포 및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글, 사진, 영상 등 콘텐츠의 내용을 사전 동의 없이 재편집하여 사용하거나, 출처 없이 필인러브의 콘텐츠를 무단 스크랩하여 사용하실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 Copyright 2025.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