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관과 영사관의 차이: 2020년 대한민국 외교부 재외공관 설치현황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에 있으며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 콘텐츠 등록일:
2020년 8월 18일
재외공관 : 외국에 설치된 공관
한 국가가 자국을 대표하여 외교 활동을 하고, 자국민을 보호하며, 자국민의 영사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타국 혹은 국제기관에 설치한 기구로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외공관(在外公館)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해외 각국에 있는 재외공관은 대사관과 영사관, 대표부로 구분된다.
① 대사관(Embassy)
한 나라를 대표하는 외교관인 대사가 상주하는 재외공관. 대사는 나라를 대표하여 다른 나라에 파견되어 외교를 맡아보는 최고 직급이다. 영어로는 엠버시(Embassy)라고 쓴다.
② 영사관(Consulate)
영사가 주재하는 외교공관을 의미. 영사는 외국에 있으면서 본국의 무역 통상의 이익을 도모하며 아울러 자국민의 보호를 담당하는 공무원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칸설릿(Consulate)이라고 쓴다.
- 영사관에서는 재외국민 보호와 함께 비자 발급 등의 행정업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감독하에 재외선거 업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국민이 외국에서 범죄 혹은 사건·사고에 휘말린 경우, 부당하지 않게 주재국의 법에 따라 처리되는지 감시하기도 한다.
③ 대표부(representative)
아세안이나 유엔 등과 같은 국제기구나 미수교국, 미승인국에 설치되는 외교공관
재외공관 설치현황
- 분관, 출장소는 통계에서 제외
2020년 6월 현재
지역 | 상주대사관 | (총)영사관 | 대표부 | 계 |
아주 | 24 | 22 | 1 | 47 |
미주 | 21 | 13 | 1 | 35 |
구주 | 35 | 9 | 3 | 47 |
중동 | 17 | 2 | 0 | 19 |
아프리카 | 18 | 0 | 0 | 18 |
계 | 115 | 46 | 5 | 166 |
지역별 재외공관 현황
- 지역 구분은 외교부 직제 기준 /분관, 출장소는 통계에서 제외
아주
구분 | 지역 |
대사관 | 네팔, 뉴질랜드,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브루나이,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캄보디아, 태국,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피지, 필리핀, 호주 (24) |
총영사관 | 고베, 광저우, 나고야, 니가타, 다낭, 뭄바이, 삿포로, 상하이, 선양, 센다이, 시드니, 시안, 오사카, 요코하마, 우한, 청두, 첸나이, 칭다오, 호치민, 홍콩, 후쿠오카, 히로시마 (22) |
대표부 | 아세안 (1) |
미주
구분 | 지역 |
대사관 | 과테말라, 니카라과, 도미니카공화국, 멕시코, 미국,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우루과이, 칠레, 캐나다,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트리니다드토바고,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21) |
총영사관 | 뉴욕, 로스앤젤레스, 몬트리올, 밴쿠버, 보스턴, 상파울루,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시카고, 애틀랜타, 토론토, 호놀룰루, 휴스턴 (13) |
대표부 | 유엔 (1) |
구주
구분 | 지역 |
대사관 | 교황청,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벨기에, 벨라루스, 불가리아,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영국,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체코, 카자흐스탄, 크로아티아, 키르기스스탄,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35) |
총영사관 | 밀라노, 바르셀로나, 블라디보스톡, 상트페테르부르크, 알마티, 이르쿠츠크, 이스탄불, 프랑크푸르트, 함부르크 (9) |
대표부 | 제네바, 오이시디(파리), 유네스코 (3) |
중동
구분 | 지역 |
대사관 | 레바논, 리비아, 모로코,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카타르, 쿠웨이트, 튀니지 (17) |
총영사관 | 두바이, 젯다 (2) |
아프리카
구분 | 지역 |
대사관 | 가나, 가봉,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모잠비크, 세네갈, 수단, 앙골라, 에티오피아, 우간다, 짐바브웨, 카메룬, 케냐, 코트디부아르, 콩고민주공화국, 탄자니아 (18) |
⚑ 위의 콘텐츠는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필인러브의 콘텐츠는 사이트 운영자 개인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글 작성 시점에서만 유효한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작성일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